•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 awareness

검색결과 799건 처리시간 0.022초

상황인식기반지능형 홈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Method for Providing of Intelligent Home Services based on Context Awareness)

  • 노영식;변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78-686
    • /
    • 2007
  •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사용자 및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능동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차별화된 고품질의 서비스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중의 하나가 상황인지 미들웨어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 한 사용자 공간에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즉, 다양한 센서로부터 상황 정보를 입력받아 현재의 상황에 적절한 서비스를 추론하여 결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황인식기반 지능형 홈서비스 미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의 상황인지 모델과 이를 활용한 멀티모달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 개발에 관한 연구 (Ubiquitous Context-aware Modeling and Multi-Modal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 김현정;이현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73-282
    • /
    • 2005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구축에 활용하기 위한 상황인지 모델과 이를 활용한 멀티모달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였다. 먼저 상황인지 모델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인터랙션 상황을 파악하는 방법과 수집된 상황의 의미를 추론하여 사용자 요구에 맞는 멀티모달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상황인지 모델(Context cube)을 활용한 멀티모달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였으며, 이 프레임웍의 활용성을 검증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고, 개인화된 유비쿼터스 서비스 도출 및 이 서비스의 산업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상황인지는 사용자의 기본 행위(Basic Activity), 공간에서의 사용자 위치 및 공간내의 기기 및 환경 요소, 시간 요소와 사용자의 일상적인 스케줄 정보 요소에 의해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하여 공간적인 개념의 상황인지 모델(Context Cube)을 개발함으로써, 구체적인 공간 모델 내에서의 다양하고 개인화 된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제안이 가능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사용자 시나리오에 의한 사례연구를 통해 개념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 및 각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보의 유형을 검증하고, 상황인지 모델에서의 구성요소의 내용과 배열 등을 정의함으로써 개념모델의 완성도를 높였으며, 상황인지 모델에서 표현되는 사용자의 인터랙션 특징을 바탕으로 멀티모달 인터랙션 디자인의 접근방법을 개발함으로서 이를 디자인 프레임웍으로 구체화할 수 있었다.

  • PDF

스마트폰의 UI/UX 향상을 위한 상황인식 프레임워크 개발 및 응용 (Context-aware Framework and Applications for Improving UI and UX of Smartphones)

  • 신춘성;박병하;정광모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7-207
    • /
    • 2014
  • With the recent advance in smartphones, users are allowed to use mobile applications anytime anywhere, and change their way to interact with smart environment and people. As a result, the need for developing context-aware applications on smartphones has a great attention from users and developers. This paper proposes a context-aware framework for supporting UI/UX of smartphones. The proposed framework collects a wide range of sensory data from smartphones and allows developers to analyze and model context models for their desired apps. In addition, it also supports real-time inference within the apps to make them to adapt to context. In order to show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we introduce two smartphone apps: context-aware home screen and automatic detection of smartphone problem u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proposed framework will help developers easily implement their apps with respect to context-awareness.

A Dynamic Ontology-based Multi-Agent Context-Awareness User Profile Construction Method for Personalized Information Retrieval

  • Gao, Qian;Cho, Young Im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270-276
    • /
    • 2012
  • With the increase in amount of data and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web, there have been high demands on personalized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s to provide context-aware services for the web user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dynamic multi-agent context-awareness user profile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ontology to incorporate concepts and properties to model the user profile. This method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frequency and the specific of the concept in one document and its corresponding domain ontology to construct the user profile, based on which, a fuzzy c-means clustering method is adopted to cluster the user's interest domain, and a dynamic update policy is adopted to continuously consider the change of the users' interest.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along with the gradual perfection of the our user profile, our proposed system is better than traditional semantic based retrieval system in terms of the Recall Ratio and Precision Ratio.

Delay Tolerant Networks에서 속성정보 예측 모델을 이용한 상황인식 연결성 분석 기법 (Context-aware Connectivity Analysis Method using Context Data Prediction Model in Delay Tolerant Networks)

  • 정래진;오영준;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09-101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클러스터 구조에서 속도, 방향 등의 속성정보를 예측하여 연결성을 분석하는 EPCM(Efficient Prediction-based Context-awareness Matrix)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 DTN에서는 제한 없는 중계노드 선정으로 인한 지연시간이 증가하고, 제한적인 저장용량 및 처리능력의 한계로 패킷손실 및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의 속성정보를 주어진 매트릭으로부터 정의하고 예측하여 베이스스테이션과의 연결성에 따라 중계노드를 선정하는 EPCM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클러스터의 속성정보를 상황정보 매트릭스에 저장 및 분석하고, 적응적 보정가중치의 오차보정으로 클러스터의 속성정보를 예측한다. 또한 예측된 속성정보에 따른 연결성으로 베이스스테이션을 향하여 이동하는 중계노드를 선정하게 된다. 주어진 환경에 따른 모의실험에서 예측된 노드의 속성정보를 통한 연결성으로 중계노드를 선정함으로써 전송능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 높은 패킷 전송률을 보여주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PARLAY X를 이용하는 MDA기반의 적응성 있는 문맥인식 서비스 (An MDA-Based Adaptive Context-Aware Service Using PARLAY X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 홍성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457-464
    • /
    • 2005
  •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PARLAY X기반 서비스 전송 플랫폼상의 MDA(Model Driven Architecture)기반 SCE(Service Creation Environment)를 이용하는 ACS(Adaptive Conte저-aware Service)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망 수준에서 문맥인식성과 더불어 적응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문맥인식성 미들웨어는 적응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문맥인식성과 적응성이 동시에 지원 가능한 PARLAY X기반의 신규 망 서비스 구조 및 PARLAY X API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ACS(Adaptive Context-aware Service)는 사용자 주변에 변화하는 문맥 제약조건을 감지하고, 변화하는 문맥 제약 조건에 따라서 적응성 있는 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ACS를 이용하는 예로 위치와 속도 등의 문맥정보를 인식한 후, 사용자에게 망에서 문맥정보에 따라서 적합한 차별화된 QoS를 지원하는 경우를 보였다. An의 구조는 SCE, Adaptive Context Broker, 그리고 PARLAY G/W로 구성되어 있다. SCE는 기존 지능망의 망 서비스와 같은 망 서비스로서 문맥인식성과 적응성을 표현하고 지원하기 위한 망 서비스 개발 환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CCL(Context-based Constraint Language)을 이용하였다. Adaptive Context Broker는 SCE의 문맥인식성 및 적응성 표현과 기존 PARLAY G/W사이의 브로커 역할을 한다. PARLAY G/W는 PARLAY X기반의 서비스 전송 플랫폼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한다.

Context Awareness in Ubiquitous Computing

  • Park, Young-Tack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9-136
    • /
    • 2004
  • ㆍuT ontologies can enable context awareness to represent more rich information. ㆍOntologies enable uT agents to reason about dynamic contexts. ㆍMulti agents can use ontologies to communicate between agents.

  • PDF

증강현실을 활용한 상황인지기반의 편재형 자동차 정비 서비스 (Ubiquitous Car Maintenance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and Context Awareness)

  • 이규원;서동우;이재열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71-181
    • /
    • 2007
  • Ubiquitous computing is a vision of our future computing lifestyle in which computer systems seamlessly integrate into our everyday lives, providing services and information in anywhere and anytime fashion. Augmented reality (AR) can naturally complement ubiquitous computing by providing an intuitive and collaborative visualization and simulation interface to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space embedded within physical reality. This paper presents a service framework and its applications for providing context-aware u-car maintenance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can support a rich set of ubiquitous services and collaboration. It realizes bi-augmentation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spaces using augmented reality. It also offers a context processing module to acquire, interpret and disseminate context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context processing module considers user's preferences and security profile for providing private and customer-oriented services. The prototype system has been implemented to support 3D animation, TTS (Text-to-Speech), augmented manual, annotation, and pre- and post-augmentation services in ubiquitous car service environments.

위치 인식을 이용한 음식점 추천 시스템의 설계 몇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staura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Location-Awareness)

  • 윤혜진;창병모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2-12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상황 적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 인식 기반의 음식점 추천 서비스를 개발함으로써 이 시스템이 실제 상황 인식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이를 위해 상황 적응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위치 선호도와 검색 히스토리 등의 정보를 이용하는 위치 인식 기반의 맞춤형 음식점 추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상황 적용 시스템은 개발자가 작성한 정책 파일의 내용에 따라 변화된 상황에 맞도록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적응시키고, 응용 프로그램은 위치 등과 같은 변화된 상황을 기반으로 음식점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