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price index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5초

Envisaging Macroeconomics Antecedent Effect on Stock Market Return in India

  • Sivarethinamohan, R;ASAAD, Zeravan Abdulmuhsen;MARANE, Bayar Mohamed Rasheed;Sujatha, S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8호
    • /
    • pp.311-324
    • /
    • 2021
  • Investors have increasingly become interested in macroeconomic antecedent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investment environment and estimate the scope of profitable investment in equity markets. This study endeavors to examine the interdependency between the macroeconomic antecedents (international oil price (COP), Domestic gold price (GP), Rupee-dollar exchange rates (ER), Real interest rates (RIR), consumer price indices (CPI)), and the BSE Sensex and Nifty 50 index return. The data is converted into a natural logarithm for keeping it normal as well as for reducing the problem of heteroscedasticity. Monthly time series data from January 1992 to July 2019 is extracted from the Reserve Bank of India database with the application of financial Econometrics. Breusch-Godfrey serial correlation LM test for removal of autocorrelation, Breusch-Pagan-Godfrey test for removal of heteroscedasticity, Cointegration test and VECM test for testing cointegration between macroeconomic factors and market returns,] are employed to fit regression model. The Indian market returns are stable and positive but show intense volatility. When the series is stationary after the first difference, heteroskedasticity and serial correlation are not present. Different forecast accuracy measures point out macroeconomics can forecast future market returns of the Indian stock market. The step-by-step econometric tests show the long-run affiliation among macroeconomic antecedents.

선형지출체계 수요함수 추정을 통한 수송용 유류 종량세의 물가연동제 도입효과 분석 (Effects of Inflation Indexed Excise Duties on Transportation Fuel Consumption Using Demand Analysis based on the Linear Expenditure System in Korea)

  • 성명재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6권2호
    • /
    • pp.257-286
    • /
    • 2017
  • 본 연구는 에너지세제개편이 종료된 2007년부터 매년 유류세의 종량세액을 소비자물가지수에 연동하여 자동조정해주었다는 가상적인 상황을 전제로 수송용 연료유(휘발유, 경유)의 소비량, 세부담(세수) 및 유류세의 소득재분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 분석하였다. 일반균형적 관점에서 선형지출체계 수요함수를 설정하고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2014년 가계동향조사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추정한 결과, 유류세 물가연동제가 도입되었다면 2014년 현재 일반가계의 휘발유, 경유의 소비량은 각각 8.8%와 5.4% 축소되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소비세는 소득역진적이어서 부(-)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수송용 유류세는 소득분배구조를 소폭 개선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가연동세제의 도입을 유류 소비량을 감소시키지만 세율인상 효과가 소비감소 효과를 압도하여 유류세 세수는 11.9%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류세 부담의 누진도는 미약하게 약화되지만, 세수증가 효과가 이를 압도하여 소득재분배 효과는 소폭 증가($+0.12%{\rightarrow}+0.13%$)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구입능력이 주택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Affordability on Housing Prices Variation in Korea)

  • 정헌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13-118
    • /
    • 2023
  • 본 연구는 주택구입능력을 포함한 거시경제변수와 은행 대출 관련 변수들이 주택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총통화 증가율 및 주택구입부담지수 증가율은 전국 주택가격의 변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의 상승기와 하락기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주택가격 상승 기간 동안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총통화 증가율은 전국, 서울 및 경기의 주택가격에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주택가격 하락 기간 동안 GDP 성장률은 주택가격 상승기와는 달리 주택가격에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증가율도 주택가격 상승기와는 달리 주택가격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반면에 주택담보대출증가율은 주택가격 상승기와는 달리 전국, 서울 및 경기의 주택가격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구입부담지수 증가율은 주택가격 상승기에는 주택가격에 대해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주택가격 하락기에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결정 변수들은 주택가격 상승기와 주택가격 하락기에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농수산물 수출업체의 무역보험상품 이용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 of Trade Insurance by Korea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rading Companies)

  • 박명섭;박영현
    • 무역상무연구
    • /
    • 제66권
    • /
    • pp.285-312
    • /
    • 2015
  • Export and import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fishery products are suffering from low growth rate due to the European financial crisis, global recession, and Japan's 2012 export expansion following the aftermath of 2011 earthquake. Upon the signing and enactment of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and the EU, agriculture and fishery product have become the center of attention. Agriculture and fishery was reported to be 80million dollars, 1.46% of total national export, in 2012. Starting from2000, South Korea's government began its effort to expand agriculture and fishery export and as a result, export has steadily increased despite decreased consumption led by global recession. K-Sure has started an insurance program with the purpose of promoting SME business's export. It protects SME business against risk arising from credit, emergency, bad debt, and domestic price increa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of K-Sure's insurance program via surveying SME businesses in the agriculture and fishery industry. Also this study will identify key service factors for SME businesses and explore ways to expand SME exports of agriculture and fishery by analyzing consumer satisfaction index. Results indicated service product quality factor, service communication quality factor, and social quality factor was key to improving consumer satisfaction for SME businesses in agriculture and fishery industry. Service product quality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in term of variety and results indicated that service communication quality factor's responsiveness element had minimal impact on consumer satisfaction. Conversely, all elements for social quality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Thus,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improvements in service product quality factor and service communication quality factor will indeed increase consumer satisfaction.

  • PDF

경제환경 변화와 항공여객 수요 간의 관계 분석: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hange and Air Passenger Demand: Focus o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김석;신태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2-6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on air passenger demand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airport managers and policymakers. Therefore, using the quarterly macroeconomic indicators from 2002 to 2017, the relationship with air passenger demand was demonstra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previous studies, they used GDP, Korea Treasury Bond, KOSPI index, USD/KRW Exchange Rate, and WTI Crude Oil Price variables. In this study, we used the Coincident Composite Index, Employment Rate, Consumer Sentiment Index, and Private Consumption Rate used as additional variables. It has confirmed that if the consumption of research results expands or the economic environment is right, it will affect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passengers. In other words, it confirmed that the overall economic situation acts as the main factor determining air passenger demand. It confirmed that the economic environment at the pas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ir passenger demand.

Dynamic Interaction between Conditional Stock Market Volatility and Macroeconomic Uncertainty of Bangladesh

  • ALI, Mostafa;CHOWDHURY, Md. Ali Arshad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1권4호
    • /
    • pp.17-29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ynamic linkage between conditional stock market volatility and macroeconomic uncertainty of Bangladesh.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s monthly data covering the time period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8. A comprehensive set of macroeconomic variables, namely industrial production index (IP), consumer price index (CPI), broad money supply (M2), 91-day treasury bill rate (TB), treasury bond yield (GB), exchange rate (EX), inflow of foreign remittance (RT) and stock market index of DSEX are used for analysis. Symmetric and asymmetric univariate GARCH family of models and multivariate VAR model, along with block exogeneity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s, are implemented on conditional volatility series to discover the possible interactions and causal relations between macroeconomic forces and stock return. Results: The analysis of the study exhibits time-varying volatility and volatility persistence in all the variables of interest. Moreover, the asymmetric effect is found significant in the stock return and most of the growth series of macroeconomic fundamentals. Results from the multivariate VAR model indicate that only short-term interest rat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tock market volatility, while conditional stock return volatility is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volatility of industrial production, inflation, and treasury bill rat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an increasing interdependence between the money market and equity market as well as the macroeconomic fundamentals of Bangladesh.

경제적 투자효과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실질할인율 분석 (Analysis on Real Discount Rate for Prediction Accuracy Improvement of Economic Investment Effect)

  • 이치주;이을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1-109
    • /
    • 2015
  • 투자에 의해 기대되는 경제적 효과는 실질할인율의 자승으로 매년 나누어서 현재가치로 전환된다. 따라서 실질할인율이 경제성 분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요인들보다 크다. 실질할인율을 예측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방법은 과거 특정기간의 평균값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질할인율의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실질할인율을 구성하는 기업대출 이자율과 소비자 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변수들을 도출하였다. 기업대출 이자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로는 콜 금리와 환율, 소비자 물가지수에 영향을 주는 경제변수는 생산자 물가지수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실질할인율과 선정된 변수들과의 영향관계를 검정하였다. 영향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관련된 경제 변수들을 기반으로 2008년부터 2010년까지의 실질할인율을 예측하였다. 예측 결과의 정확도는 실측값과 평균값의 결과와 비교되었다. 실측값이 적용된 실질할인율은 -1.58%였으며, 예측 값은 -0.22%, 평균값은 6.06%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금융위기와 같은 특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지만, 평균값보다 예측 정확도가 크게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 예측 (Forecasting Export & Import Container Cargoes using a Decision Tree Analysis)

  • 손용정;김현덕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93-207
    • /
    • 2012
  • 본 연구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을 예측한다.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는데,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수출물량지수와 수입물량지수, 미국과 한국의 산업생산지수, 그리고 원/달러 환율을 선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02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10년간의 월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의사결정나무를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제안되고 있는데, C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컨테이너 수출물동량에 대한 최적분리는 수출물량지수에 의해 분리되었다. 수출물량지수는 115.90으로 분리되어 지는데, 수출물량지수가 115.90보다 큰 경우는 다시 수출물량지수가 152.35보다 큰 경우와 115.90과 152.35사이인 경우로 분리되어진다. 여기서 수출물량지수가 152.35보다 큰 경우는 858,191TEU/(월)이고, 115.90과 152.35사이인 경우는 716,582TEU/(월)로 컨테이너 수출물동량이 예측된다. 둘째, 컨테이너 수입 물동량에 대한 최적분리는 수입물량지수에 의해 분리되었다. 수입물량지수가 116.20에서 분리되어 지는데, 수입물량지수가 116.20보다 큰 경우는 다시 수입물량지수가 134.60보다 큰 경우와 116.20과 134.60사이인 경우로 분리되어진다. 여기서 수입물량지수가 134.60보다 큰 경우는 869,227TEU/(월)이고, 116.20과 134.60사이인 경우는 738,724TEU/(월)로 컨테이너 수입물동량이 예측된다.

On the Inflation and its Modifications in the Era of Global Pandemic: The Case of Some ADB Countries

  • CHARAIA, Vakhtang;PAPAVA, Vladime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8호
    • /
    • pp.7-17
    • /
    • 2022
  • The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s caused by inflation in the developing Asia-Pacific region during the time of the worldwide pandemic and suggests innovative solutions to the problem. The reality is that some of the commodity groups from the consumer basket (e.g., non-seasonal fruits, electronics, furniture, hotel, and restaurant services, etc.) fail to reflect the needs of the low-income earners, which make the majority in developing countries. At the same time, the inflation targeting regime has become outdated and not reliable, because of uncontrolled exogenic factors (imported inflation, fluctuation in oil prices, supply chain disruption, Russia-Ukraine war, etc.) prevailing on endogenic factors and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control the price stability,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Since, the old-fashioned inflation index and inflation targeting mechanisms regrettably fail to fully reflect both the society and governmental/central banks' expectations, based on which we first should have better care and second create better policies; we propose to use a combination of already well-known indexes and policies, with the new statistical indicators, which reflects price fluctuations on the medication, utilities, and nutrition.

우리나라 대기오염배출 원인과 저감 정책 효과 분석 (Causes of Air pollution and Effects of Mitigation Policy in Korea)

  • 배정환;김유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5권4호
    • /
    • pp.545-564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대기오염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이 중요해진 시점에 있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의 원인을 계량경제모형을 통해 찾아보고, 경유가격 인상정책이 경유소비 감소와 대기오염의 저감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해보았다. 대기오염물질로는 TSP, PM10, $NO_X$, $SO_X$, CO, VOC가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CO를 제외하고 모든 오염물질에서 경제성장은 역U자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 물가지수, 화력발전설비, 경유소비, 황사발생일수, 천연가스버스, 운수업체 사업장수, 평균기온, 제조업체 사업장수 등이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경유가격이 1% 상승하면 대기오염물질은 단기적으로는 0.07~0.12% 감소하고, 장기적으로는 0.31~0.5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개선부담금의 형태로 경유가격을 올리고, 그 수입원을 바이오디젤 보급 지원에 사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대기오염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