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ed response item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9초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 소재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A Survey of Perception and Status about Descriptive Assessment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rea-)

  • 김민경;조미경;주유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3-95
    • /
    • 2012
  • 수행평가가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난 현재, 서술형 평가 실시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실태가 어떠한지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11개 지역교육지원청에 소속된 공립 초등학교의 초등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초등 교사들이 수학 교과 서술형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서술형 평가 실시의 목표로는 학습 목표에 근거한 성취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으로 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이 서술형 평가 문항을 제작할 때 가장 많이 참고하는 자료는 교과서 문제로 나타났다. 문항 제작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은 난이도로 나타났다. 서술형 평가의 효과로는 수학적인 사고능력이 뛰어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변별력을 들었으며, 서술형 평가 실시에 대하여 교사들이 언급한 문제점으로는 학급당 학생 수가 과다하다는 점과 수학과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이 어렵다는 점을 들었다.

  • PDF

수학교사들의 서술형.논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행 조사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about and Implementation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 이선비;김구연;노선숙;김민경;김래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75-290
    • /
    • 2014
  • 이 연구는 중등학교의 서술형 논술형 평가에 대해 교사들이 갖고 있는 인식과 실제 서술형 논술형 평가를 학교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인천에 위치한 중학교의 수학 교사들을(189명)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등 수학 교사들은 서술형 논술형 평가의 주된 목표를 학습 목표에 따른 성취도 측정, 학생의 창의성과 사고력 신장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서술형 논술형 평가의 효과에 대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이 향상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서술형 논술형 평가의 실시 현황은 서술형 논술형 문항의 비율이 수행평가에서는 20%미만, 지필평가에서는 20~40%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학과 서술형 논술형 평가를 학교의 정기고사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 PDF

지리과 서답형 문항의 주요 유형에 관한 연구 -NAEP의 지리과 4학년 문항을 사례로-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Constructed-Response Items in Geography Education: In Case of 4th Grade Items of the NAEP)

  • 장의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34-954
    • /
    • 2012
  • 서답형 문항은 장소감, 도해력, 지리적 상상력 등 고차적 사고력을 추구하는 지리과의 주요 목표들에 대한 도달 여부를 측정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이 연구는 서답형 문항의 개념을 알아보고 지리과에서 적용 가능한 서답형 문항의 유형들을 구분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지리과 서답형 문항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서답형 문항의 개념 정리에 이어서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NAEP의 지리과 서답형 문항을 사례로 분석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서답형 문항은 문항 형식의 차원과 문항에서 평가하는 행동 영역의 차원에서 각각 분류할 수 있었다. 문항 형식의 차원에서는 문두 단독형과 자료 첨부형으로, 행동 영역의 차원에서는 지식 요구형, 이해 요구형, 적용 요구형으로 각각 구분하고 그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서답형 문항의 개발과 적용에 관련된 시사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에 정합하는 서답형 문항들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로 하여금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지리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서답형 문항의 성패는 채점의 신뢰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채점의 단계 구분, 채점 기준, 의사 답안 등에 대한 후속적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수학 논술형 문항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수학적 숙련도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and Mathematical Proficiency in Constructed-Response Items)

  • 박석순;김구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63-8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논술형 문항을 해결하면서 무엇을 어렵게 느끼고 있으며 무엇이 문제인지를 알기 위한 것으로, 논술형 문항에 대한 중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을 살펴보고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논술형 문항을 해결하는 동안의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논술형 문항을 주로 풀이과정을 논리적으로 쓰는 것(17%), 설명하면서 풀 줄 알아야 하는 것(7%)으로, 또한 많은 수학적 이해를 필요로 하는 문제, 자신의 생각을 쓰는 것, 주관식 등으로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논술형 문항을 해결할 때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를 읽고 이해하기(26%), 적용하기(12%), 수학적 글쓰기(25%), 계산능력(23%), 추론능력(14%) 등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수학적 숙련도에 대한 분석 결과, 각 비율이 추론의 오류(35%), 문제이해의 오류(31%), 적용의 오류(9%), 계산의 오류(3%) 순서로 나타났다.

  • PDF

서답형 문항 온라인 채점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 Scoring System for Constructed Response Items)

  • 조지민;김경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9-51
    • /
    • 2014
  • 서답형 문항이 포함된 대규모 평가에서 학생들의 답안이 어떻게 채점자들에게 분배되고 어떠한 체계적인 채점 과정을 거쳐야 하는 지에 대한 채점의 효율성은 전반적인 평가의 성공에 중요한 사안이다. 서답형 문항 채점에서 채점자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채점자의 채점 결과가 얼마나 일관성이 있으며, 또한 채점자 간의 채점 결과 또한 서로 일관성을 유지해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필 평가로 시행된 서답형 문항 채점을 위한 온라인 채점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 후, 이를 시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온라인 채점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서답형 문항 온라인 채점은 채점자들의 채점 과정에 대한 정보로, 기존의 전통적인 채점 방식과의 비교와 함께 채점자 내 및 채점자 간의 신뢰도를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로 온라인 채점 시스템이 신뢰롭고 타당한 서답형 문항 채점 결과를 얻는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서술형 평가 문항 분석 :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와의 적합성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Alignment between 2007 Mathematics Curriculum and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 이지현;김구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899-92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정기고사에 제시된 수학 서술형 평가 문항이 2007개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 얼마나 잘 부합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24개 학교에서 제시된 서술형 평가 문항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인지적 노력수준을 요구하고 있는지 수학과제 분석하였고, 또한 서술형 평가 문항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능력을 요구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학적 숙련도를 통해 서술형 문항을 분석하였다. 총 199문항의 서술형 평가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에게 낮은 인지적 노력수준을 요구하는 문항은 70%의 비율로 나타났고, 높은 인지적 노력수준을 요구하는 문항은 30%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대부분의 서술형 평가 문항이 계산 과정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단순한 알고리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서술형 평가 문항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분수 연산 능력과 오류 유형과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Fraction Operation Skills and Error Types on Constructed-response items)

  • 김민경;김서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09-43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연산 중 하나인 분수 연산관련 서술형 평가 문항에서 나타내는 연산 능력과 오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분수 연산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분수의 덧셈과 뺄셈 연산 보다 분수의 곱셈 연산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서술형 평가 문항에 다양한 오류 유형이 나타났는데, 연산 능력별 차이에서는 상 집단 학생들은 '풀이 과정의 비약', 중 집단과 하 집단에서는 모두 '문항 이해의 오류'로 나타났다.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연산 능력은 분수의 곱셈 연산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문항에 대한 이해'와 '풀이 과정에 대한 이해'에서 나타난 오류가 곱셈 연산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을 이용한 중학교 과학 8개 핵심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탐색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Eight Core Concepts of Middle School Science Us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 이기영;동효관;최원호;권경필;이인호;김용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382-40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201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의 서답형 문항을 이용하여 중학교 과학 교과의 8개 핵심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실시된 NAEA 서답형 8개 문항에 대한 중학교 3학년 7,390명의 응답 결과를 전산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답안을 분석하여 수준별로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을 마친 후 각 평가 구인별로 5개 수준을 설정하여 구인구성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구인구성도는 발달 기반의 루브릭 형식으로 작성되었는데, 전체 학생들의 답안에 대해 수준을 부여하는 준거로 활용되었다. 또한, 평가 결과로 얻은 학생들의 점수를 평가 구인에 대한 성취 수준과 연결하기 위하여 통계적 해석으로 응답자의 점수나 성취 정도를 측정하는 Rasch 모델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Rasch 모델 적용 결과를 반영하여 구인구성도를 수정한 예비 학습발달과정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NAEA의 서답형 문항을 활용하여 학습발달과정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작성된 예비 학습발달과정이 개별 학생들 대상으로 종적으로 추적한 것이 아니므로 여전히 가설적이며 추론적이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연구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될 필요가 있다.

중학교 2학년 서술형 평가 문항 반응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 :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Analyzing eighth grade students' errors in the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A case of algebra)

  • 김래영;이민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389-406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오류 유형을 문항별, 학습 수준별로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수 학습 과정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 99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문항 반응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사고와 표현, 현실 맥락과 연결된 문항 혹은 수학 내용들이 연결된 문항 등에서 다양한 오류가 나타났으며 단일 오류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오류 유형도 발견되었다. 학습 수준에 따라서도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복합적 오류 보다는 단일 오류가, 중하위 수준의 학생들은 복합적인 오류가 더 빈번히 나타났으며 오류 유형도 다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항의 유형별, 학습 수준별 학생들의 오류 패턴을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학생들의 오류를 수정하고 수학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서술형 평가 문항과 교수법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IMSS 2011에 나타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과학 성취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TIMSS 2011)

  • 김지영;김수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23-436
    • /
    • 2013
  • This research purports to analyze released items and G4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from TIMSS 2011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gender. By doing so, it aims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Korea from analyses results. Korea showed a lower rate of students at the advanced international benchmark - the highest achievement level - compared to Singapore. The difference was the smallest in Life Science among three content domains and knowing among three cognitive domains.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showed that male students'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hysical Science and Earth Science, and their achievement was also higher in the cognitive domains of Knowing and Applying. From the analysis of the released items,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ents' achievement was low in items related to classification of organisms, functions of heart, matters that combust or emit light, and the concept of rotation. Moreover, students drew some illogical conclusions based on their personal experience. Male students were found to show high achievements in items that were not included in curriculum, constructed-response items in the form of short-answer questions, and multiple-choice items in the Knowing domain.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show high achievement in items that were included in curriculum, constructed-response items that require reasons and methods, and items that represent experimental situations. Male students showed high achievement in forces concept and movements concept of bodies in the universe,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high achievement in solubility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