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xin 43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4초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한 토끼의 승모판막에서 Connexin43 발현의 증가 (Upregulation of Connexin43 Expression in Mitral Valves in a Rabbit Model of Hypercholesterolemia)

  • 권종범;박찬범;사영조;김영두;문석환;김치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356-363
    • /
    • 2010
  • 배경: 승모판막의 석회화는 죽상경화와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승모판막 질환에서 혈관 죽상경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Connexin43 매개에 의한 Gap junction의 신호전달의 변화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승모판막의 퇴행성 변화과정이 Gap junction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의 변화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뉴질랜드산 토끼 20마리를 2군으로 나눈후, 1군(10마리)에서는 정상식이를 시행하였고, 2군(10마리)에서는 1% 콜레스테롤식이를 12주간 시행하였다. 각군의 토끼들의 혈장에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승모판막을 절제하여 Connexin43, 근육섬유모세포 그리고 대식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으며, Connexin43에 대한 정량적 검사를 위하여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 time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근육섬유모세포와 대식세포의 발현은 콜레스테롤 식이를 시행한 군의 승모판막에서 증가되었으며, Connexin43의 발현도 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RT-PCR을 이용한 정량적 검사에서 Connexin43의 발현은 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1). 결론: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유발된 토끼의 승모판막의 변화는 초기 죽상경화와 유사한 과정을 보이며, Connex43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혈증에서의 승모판막질환은 증가된 Connexin43매개 Gap junction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의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connexin 43의 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onnexin 43 i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of Rat)

  • 임정현;강경화;이종진;김은철;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25-534
    • /
    • 2001
  • 치아이동시 골세포간 활성 조차에서 세포간 교통의 중요성이 차츰 인식되고 있으며 세포간 교통을 위한 교통반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동물실험 모델에서 실험적 치아이동을 통해 조성된 압박 및 견인측 치주인대에서 교통반 단백의 일종인 connexin 43의 발현을 관찰함으로써 인접 연조직 및 골 조직 내에서 세포 신호 전달 양상의 한 부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백서 27마리를 대조군(3마리)과 실험군(24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견인력(75g)을 가한 후 12시간, 1일, 4일, 7일, 14일, 28일이 경과한 후 각각 4마리씩 희생시켜, connexin 43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에서의 connexin 43 발현은 치은, 상아질, 치주인대, 치수, 골세포에서 경미하였다. 2. 교정적 치아이동에 반응하는 치수, 치주인대, 골모세포, 파골세포, 골세포부위에서 connexin 43의 발현이 많았으나 치은, 상아질, 상아모세포에서의 발현은 견인력 적용기간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3. 치수에서 connexin 43의 발현은 교정력을 가한 4일에서부터 증가하여 7일째까지 크게 증가한 후 14일째부터 감소되었으며 28일째에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4. 치주인대에서 connexin 43의 발현은 주로 혈관을 중심으로 치조골 면을 따라 압박측에서 주로 나타났는데 교정력을 가한 12시간에서부터 증가하여 4일에서 가장 많은 발현을 보인 후 7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5. 골모세포 및 골세포에서 발현은 실험 1일째부터 출현해 4일째에 가장 많은 발현을 보였고 7일 이후에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파골세포에서의 발현은 골모세포와 골세포보다 실험 4일째에 더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기계화와 자동화(26.2%), 정성부족으로 인한 맛의 감소(21.6%)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p<0.01), 연령별(p<0.05)로 유의적 인 차이를 보였다. 7. 전통음식 패스트푸드점이 생기면 이용도에 관한 견해는 '가끔 이용할 것이다'가 56.5%, '많이 이용할 것이다'가 19.8%로 나타났고, 연령별(p<0.05), 주거상태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많을수록 '이용치 않겠다'는 비율이 높았고, 특히 주거상태별로는 '전혀 이용치 않을 것이다'의 비율이 하숙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행에 민감하고 문화의 변화를 주도하며 패스트푸드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세대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우리의 전통음식을 패스트푸드화 하였을 때의 견해를 알아보고 그 전망을 살피기 위한 연구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유행의 첨단을 달리는 신세대라 하더라도 많은 비율의 대학생들이 전통음식의 패스트푸드화에 전망을 밝게 보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이에 전통음식의 패스트푸드화와 상품화에 대한 인식이 고무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어 앞으로 계속 그 추이를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ematured infants during the early weeks of life. 모든 치근단 수준에서 비표준화 medium 크기 master cone 사용군이 ISO 표준화 규격의 master cone 사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gutta-percha 면적비를 나타내었다 (p < 0.01). 비표준화 medium크기 master cone 사용군에서는 표준화 규격의 master cone 사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수의 accessory cone이 사용되었다 (p < 0.01).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 PDF

Effect of hCG on Connexin 43 mRNA Expression in Goldfish Ovary

  • Choi, Cheol-You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5-217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onnexin (Cx) is an essential protein during oocyte maturation in the ovary of the goldfish (Carassius auratus). In mature female goldfish ovaries, at late vitellogenic stage, human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20 M)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20 IU/㎖) were injected. Twelve hr after the injection, mature female goldfish ovaries were removed and stored at -80C until analysis by RT-PCR. From the goldfish Cx43 cDNA sequence (GenBank accession number AB078505), two degenerate primers were designated. In vivo, 12 hr after the treatment with hCG, goldfish Cx43 mRNA expression level was increased, while the levels of IGF-I was not changed. Goldfish Cx43 mRNA expressed after, but not before the hCG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x43 mRNA was judged to be a gene, which was transcribed during oocyte maturation induced by hCG.

생후 발달과정동안 숫 백서의 Efferent Ductules에서 Connexins 발현 양상 연구 (Expression Profiling of Connexins in the Efferent Ductules of Male Rat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이기호;최인호;정정수;장종수;김지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5-2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후 발달과정에서 숫 백서 생식기의 일부인 efferent ductules (ED)에서 다양한 connexin 이형질체의 발현과 양상을 알아보았다. 1주, 2주, 1개월, 3개월 그리고 6개월령의 백서의 ED로부터 total RNA을 분리하였으며, semi-quantitative RT-PCR 방법을 사용하여 총 14개 connexin 이형질체의 mRNA 발현 양상을 알아보았다. 백서의 ED에서 연구된 14개 중 6개 connexin 이형질체의 발현이 보여졌으며, connexin 26과 30의 mRNA 발현은 연령에 따라 심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Connexin 31.1의 발현은 1달령의 ED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connexin 37과 45는 주로 초기 발달 과정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connexin 43의 발현은 1주령에서 가장 낮았으며 2주령 이후에는 큰 변화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는 백서의 ED에서 다양한 종류의 connexin 이형질체가 발현되며, 이러한 발현은 생후 연령에 따라 서로 다르게 조절됨을 보여준다.

타액선 도관세포의 관류 배양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he Three-Dimensional Perfusion Culture Technology for the Salivary Ductal Cells)

  • 김지원;김정미;최정석
    •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 /
    • 제11권2호
    • /
    • pp.160-166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Salivary hypofunction is one of the common side effects after radioiodine therapy, and its pathophysiology is salivary ductal stenosis resulting from ductal cell injur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functional culture environment of human parotid gland ductal cells in in vitro three-dimensional perfusion culture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plastic dish culture method and three-dimensional culture system containing Matrigel and nanofiber. Morphogenesis of reconstituted salivary structures was assessed by histomorphometry.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quaporin 5, CK7, CK18, connexin 43, and p21). In addition, we designed the media perfusion culture system and identified higher rate of cell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connexin 43 in perfusion system comparing to dish. Results: Human parotid ductal cells were well proliferated with the ductal cell characters under environment with Matrigel. In the presence of Matrigel, aquaporin 5, CK18 and connexin 43 were more expressed than 2D dish and 3D nanofiber setting. In the media perfusion culture system, ductal cells in 3D culture media showed higher cells count and connexin 43 expression compared to 2D dish. Conclusion: This in vitro ductal cell perfusion culture system using Matrigel could be used to study for radioiodine induced sialadenitis model in vivo.

Herpes Simplex Virus thymidine kinase gene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에서 retinoic acid가 bystander effect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tinoic acid on the bystander effect in gene therapy using the Herpes Simplex Virus thymidine kinase)

  • 박재용;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162-174
    • /
    • 1997
  • 연구배경 : HSVtk 유전자를 암세포에 이입하여 GCV에 대해 선택적으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HSVtk/GCV 유전자치료에서 bystander effect는 모든 암세포에 유전자를 이입하지 않고도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viral vector는 유전자이입 효율이 낮아 임상적으로 치료효과를 기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유전자의 이입효율이 높은 새로운 vector의 개발과 함께 bystander effect의 극대화를 통해 치료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등이 요구된다. 최근 gap junction을 통한 세포간의 metablic cooperation이 bystander effect의 주요기전임이 밝혀졌고 retinoids는 gap junction을 통한 세포간의 communication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HSVtk/GCV 유전자치료에서 bystander effect에 미치는 retinoids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 법 : Adenovus와 retrovirus vector를 이용하여 connexin 43를 발현하는 악성중피종세포와 connexin 43를 발현하지 않는 SKHep-J 세포주에 HSVtk 유전자를 이입한 후 HSVtk 유전자가 이입된 세포와 HSVtk 유전자가 이입되지 않은 세포들을 여러가지 비율로 혼합한 mixing study를 시행하였으며 $10^{-10}M-10^{-6}M$ RA 처리 유무에 따른 bystander effect에 의한 살상효과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gap junction을 통한 세포간의 communication에 대한 retinoids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retinoids 처리에 따른 세포간 communication을 FACS를 이용하여 double-dye transfer study로 측정하였다. 결 과 : Connexin 43를 발현하지 않는 SKHep-J 세포주에서는 RA 처리유무에 따른 bystander effect에 의한 살상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connexin 43를 발현하는 악성중피종 세포주에서는 $10^{-8}M-10^{-6}M$ RA처리시 세포간의 communication과 bystander effect가 RA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RA는 gap junction을 통한 세포간의 communication을 증가시켜 HSVtk/GCV 유전자치료에서 bystander effect에 의한 살상효과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HSVtk/GCV 유전자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europrotective potential of imatinib in global ischemia-reperfusion-induced cerebral injury: possible role of Janus-activated kinase 2/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and connexin 43

  • Wang, Jieying;Bai, Taomin;Wang, Nana;Li, Hongyan;Guo, Xiangy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1호
    • /
    • pp.11-18
    • /
    • 2020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neuroprotective role of imatinib in global ischemia-reperfusion-induced cerebral injury along with possible mechanisms. Global ischemia was induced in mice by bilateral carotid artery occlusion for 20 min, which was followed by reperfusion for 24 h by restoring the blood flow to the brain. The extent of cerebral injury was assessed after 24 h of global ischemia by measuring the locomotor activity (actophotometer test), motor coordination (inclined beam walking test), neurological severity score, learning and memory (object recognition test) and cerebral infarction (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stain). Ischemia-reperfusion injury produced significant cerebral infarction, impaired the behavioral parameters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connexin 43 and phosphorylated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p-STAT3) in the brain. A single dose administration of imatinib (20 and 40 mg/kg) attenuated ischemia-reperfusion-induced behavioral deficits and the extent of cerebral infarction along with the restoration of connexin 43 and p-STAT3 levels. However, administration of AG490, a selective Janus-activated kinase 2 (JAK2)/STAT3 inhibitor, abolished the neuroprotective actions of imatinib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connexin 43 and p-STAT3. It is concluded that imatinib has the potential of attenuating global ischemia-reperfusion-induced cerebral injury, which may be possibly attributed to activation of JAK2/STAT3 signaling pathway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connexin 43.

금붕어, Carassius auratus의 성 성숙에 따른 Connexin 43 mRNA 발현량의 변화 (Expression Pattern of Connexin 43 mRNA during SexualMaturation in Female Goldfistl, Carassius auratus)

  • 최철영;김봉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5-129
    • /
    • 2003
  • Conncxin (Cx) is an important and essential protein induction of oocyte maturation, which is present in almost all mammalian tissucs except cirulating blood cells and adult skeletal museles. In this study, goldfish Cx43 cDNA sequence is available in GenBank under the accession number AB078505. Homology analyses using the GenBank and EMBL general database searches indicated that goldfish Cx43 cDNA has a high homology with carp Cx43 (95.1% identity), zebrafish Cx43 (90.5% identity), and chicken Cx43 (81.9% identity). Goldfish Cx43 is similar to the Cx family in its general features, and all the typical Cx consensus sequences are also found. Moreover, significantly increased Cx43 transcrpts were observed in mature goldfish (GSI; 18.3-21.7) pituitary and ovary when compared with immature goldfish (GSI; 4.9-6.0). Cx43 transeripts were weakly detectrd in both liver and kidney of immature and mature goldfish. There is possible that Cx43 nctivity was relation to oocyte maturation in the goldfish.

Effect of Arachidonic Acid on Production of Laminin and Connexin of Granulosa Cells from Chicken Pre-hierarchical Follicles

  • Jin, Yanmei;Tan, Tu Quang;Zhang, Caiqi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350-355
    • /
    • 2009
  • Arachidonic acid (AA) is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that is a normal constituent of membrane lipids in animal cells. In addition to its role as a precursor of prostaglandins, AA itself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cell function. The effect of AA on functions of granulosa cells was investigated in pre-hierarchical small yellow follicles of laying hens. Immuno-cytochemical staining showed that AA ($10^{-7}-10^{-5}$ M)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glycoprotein laminin, gap junction connexin 43 and protein kinase C (PKC). Therefore, mediated by the PKC signal pathway, AA may regulate the intercellular communication of granulosa cells and follicular development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laminin and connexin.

Changes of Bax, Bcl-2, CCR-2, MCP-1, and TGF-β1 genes in the left ventricl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after losartan treatment

  • Lee, Hyeryon;Kim, Kwan Chang;Hong, Young M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3호
    • /
    • pp.95-101
    • /
    • 2019
  • Purpose: Increased apoptosis was recently found in the hypertrophied left ventricl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 Although the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at apoptosis can be induced in cardiac cells by various insults including pressure overload, cardiac apoptosis appears to result from an exaggerated local production of angiotensin in adult SHRs. Altered expressions of Bcl associated X (Bax), Bcl-2, chemokine receptor (CCR)-2,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phosphoryl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PERK), and connexin 43 proteins, and kallikrein mRNA were investiga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losartan on the SHR model. Methods: Twelve-week-old male rats were grouped as follows: control (C), SHR (hypertension: H), and losartan (L; SHRs were treated with losartan [10 mg/kg/day] for 5 weeks). Western blot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s were performed. Results: Expression of Bax, CCR-2, MCP-1, $TGF-{\beta}1$, PERK, and connexin 43 proteins, and kallikrein mRN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 group at weeks 3 and 5. Expression of Bax, CCR-2, MCP-1, $TGF-{\beta}1$, and connexin 43 proteins and kallikrein mRN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losartan treatment at week 5. PERK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losartan treatment at weeks 3 and 5. Bcl-2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 group at weeks 3 and 5. Conclusion: Losartan treatment reduced expression of Bax, CCR-2, MCP-1, $TGF-{\beta}1$, PERK, and connexin 43 proteins, and kallikrein mRNA in SHRs, along with decreased inflammation and apop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