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junction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4초

SEA를 이용한 쉘과 실린더의 최적 용접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n Optimum Welding Position between Shell and Cylinder based on SEA.)

  • 안병하;이장우;양보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69-972
    • /
    • 2003
  • The overall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coupling loss factor of welding point between shell and cylinder using loss factor and structural loss factor. For this purpose, two kinds of loss factor were adopted. One is loss factor of each sub structure, another is structural loss factor based on the complex welded or assembled structure. Using these two parameters,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coupling loss factor which represent characteristic condition of SEA theory. Coupling loss factor of conjunction in complex structure was expressed as power balance equation. The derived equation for a coupling loss factor has been simplified on the assumption of one way(nl- directional) power flow between multi-sub structures. Using these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find the equation of coupling loss factor expressed as above two loss factors.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above equation, this paper used two stage application. The first approach was application between simple cylinder and shell. The next was adopted rotary compressor. Rotary compressor has three main conjunctions between shell and internal vibration part. This equation was applied to find out the optimum welding Point with respect to reduce the noise propagation. It shows the effective tool to evaluate the coupling loss factor in complex structure

  • PDF

안와하연 및 측벽(frontozygomatic suture)에 대한 lateral canthotomy-conjunctival approach를 이용한 협골체 골절의 치료 (LATERAL CANTHOTOMY-CONJUNCTIVAL APPROACH TO THE LATERAL AND INFERIOR ORBIT)

  • 김현철;변숙;윤옥병;이태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1호
    • /
    • pp.99-103
    • /
    • 1994
  • 협골체 골절시 접근방법은 안와하연에 대해 섬모하절개, 하안검절개, 안와하연절개 및 결막절개등이 사용되고 안와측벽, frontozygomatic suture에 대해서는 lateral brow incision, 상안검절개등이 사용되며 관상절개술은 frontozygomatic suture와 협골궁에 접근할 수 있다. 관상절개술을 제외한 접근방법은 한가지 절개술로 단지 한부위의 정복과 고정술이 가능하므로 결국 협골체 골절시 2점이상 고정을 할 경우 2가지 이상의 절개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관상절개술의 적응증이 아닌 협골체 골절에 lateral-canthotomy-conjunctival incision을 사용하여 안와하연 및 측벽의 골절부에 대한 정복술과 고정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관찰하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Do Inner Planets Modulate the Space Environment of the Earth?

  • Kim, Jung-Hee;Chang, Heon-You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7-13
    • /
    • 2014
  • Variabilities in the solar wind cause disturbances throughout the heliosphere on all temporal and spatial scales, which leads to changeable space weather. As a view of space weather forecasting,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know direct and indirect causes modulating the space environment near the Earth in advance. Recently, there are discussions on a role of the interaction of the solar wind with Mercury in affecting the solar wind velocity in the Earth's neighborhood during its inferior conjun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 question of whether other parameters describing the space environment near the Earth are modulated by the inner planets' wake, by examining whether the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and the proton density in the solar wind observed by the Advanced Composition Explorer (ACE) spacecraft, and the geomagnetic field via the Dst index and Auroral Electrojet index (AE index) are dependent up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planets. We find there are indeed apparent variations. For example, the mean variations of the geomagnetic fields measured in the Earth's neighborhood apparently have varied with a timescale of about 10 to 25 days. Those variations in the parameters we have studied, however, turn out to be a part of random fluctuations and have nothing to do with the relative position of inner planets. Moreover, it is found that variations of the proton density in the solar wind, the Dst index, and the AE index are distributed with the Gaussian distribution. Finally, we point out that some of properties in the behavior of the random fluctuation are to be studied.

음의 시각화와 그 표현의 경향 (Trend analysis and shapes of the visual expressions of the sounds)

  • 김민호;정성환;강민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01-110
    • /
    • 2003
  • 인간은 자연현상으로 발생되는 소리와 인공적으로 발생되는 소리 속에 살고 있다. 인간의 생물학적 행동을 유발시키는 것 또한 소리이다. 감각기관 즉, 청각으로만 인식할 수 있는 소리의 또 다른 표현은 예술의 형식을 통해서 가능하다. 음악과 미술은 같은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호서 표현방법만 다를 뿐 둘 모두 우뇌(右惱, dextrocerebral)를 사용하고 직관력이 필요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관계로 지금까지 음과 시각예술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으며, 주관적인 해석의 예술적 작품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음의 시각화 실험은 계속 시도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음의 시각적 표현 중 디자인 저 표현의 본질과 특성을 규명하며, 기존의 학문적 특성과 연구 범주, 최근의 주요 동향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음의 시각표현의 방법론을 정리하고 재해석하여 이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한국음악 특히 사물놀이가 가지고있는 음색적 특색 및 각 악기의 상징을 이용한 시각적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후속연구를 통해 음의 새로운 시각표현의 기능성을 모색코자 한다.

  • PDF

XML 질의처리를 위한 다차원 타입상속 색인구조의 할당기법 (An Assignment Method of Multidimensional Type Inheritance Indexes for XML Query Processing)

  • 이종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XML 데이터베이스에서 XML 질의처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다차원 타입상속 색인구조(MD-TIX)들의 할당기법을 제시한다. MD-TIX는 중첩요소와 여러 타입상속 계층으로 이루어진 중첩술어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다차원 색인구조를 이용하는 색인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타겟 타입 또는 도메인 타입의 대치가 있는 Xpath로 표현된 여러 중첩술어들의 접속으로 구성된 복합질의의 관점에서 MD-TIX 색인들의 할당에 따른 질의처리 기법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로서 가장 효과적인 객인 할당기법을 제시한다. 먼저, XML문서의 변경에 따른 MD-TIX 색인구조의 운용과 하나의 중첩술어를 가지는 질의처리에 대한 MD-TIX 색인의 할당에 대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경로들 사이에 공통의 부경로가 있는 겹침 경로 상에 주어지는 여러 개의 중첩술어들로 구성된 보다 일반적인 질의의 관점에서 MD-TIX 색인의 운용과 그 할당기법을 제시한다.

  • PDF

"동의보감(東醫寶鑑)" 번역서(飜譯書)에 대한 이견(異見) -탕액편(湯液篇)과 초부(草部)를 중심(中心)으로- (Study on the translation of the Dong-uibogam "東醫寶鑑" in Korean version with a different view. -Focused on Tang-aekpyeon(湯液篇) and Chobu(草部) in Dong-uibogam"東醫寶鑑"-)

  • 김용한;김영호;김은하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3-161
    • /
    • 2010
  • The "Dong-uibogam(東醫寶鑑)" is a Korean medical book which represents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compiled by the royal physician, Heo Jun. It was placed on UNESCO's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in the year of 2009. It has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n 7 times so far, and most of them depended on the liberal translation. This study has a purpose to investigate the Korean version in the view of Chinese writing grammar, and the results can be concluded as follows ; 1. The Korean version shows insufficient translation of individual morpheme in the sentence which has the prepositions with the pronouns or the conjunctions. 2. Most of the versions failed to translate the syntax properties of the demonstrative pronoun; '之' and '其'. 3. Some of the versions are not successful i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ent of sentence correctly. 4. Many of the adverbial phrases are not translated, which is the constituent of modifier in the sentence. 5. Some sentences are mistranslated by the paragraphs. 6. Some of them fail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s of the vocabularies.

객체지향 질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다차원 경로 색인구조의 최적 구성방법 (Optimal Configurations of Multidimensional Path Indexes for the Efficient Execution of Object-Oriented Queries)

  • 이종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859-87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객체 데이타베이스에서 객체지향 질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다차원 경로 색인구조(Multidimensional Path Indexes: MPIs)의 최적 구성방법을 제시한다. MPI는 중포속성과 여러 클래스 계층이 포함된 중포술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다차원 색인구조를 이용한다. $B^+$-tree와 같은 일차원 색인구조를 이용한 중포속성 색인구조로서는 이와 같은 술어를 잘 지원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타겟 클래스 또는 도메인 클래스의 대치가 있는 경로식으로 표현된 여러 중포술어들의 접속으로 구성된 복합질의의 관점에서 MPI 색인들의 구성에 관하여 분석한다. 먼저, 데이타베이스의 변경에 따른 MPI 색인구조의 운용과 하나의 중포술어를 가지는 질의의 경우에 대한 MPI 색인의 사용에 대하여 색인구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겹침 경로와 비겹침 경로 상에 주어지는 여러 개의 중포술어들로 구성된 보다 일반적인 질의의 관점에서 MPI 색인의 구성에 관하여 분석한다. 겹침 경로는 경로들 사이에 공통의 부경로가 있는 것이고, 비겹침 경로는 공통의 부경로가 없는 것이다.

  • PDF

SEA 를 이용한 쉘과 실린더의 최적 용접 조건 (Optimum Welding Position between Shell and Cylinder based on SEA)

  • 안병하;이장우;전시문;양보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8-264
    • /
    • 2012
  • The overall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coupling loss factor of welding point between shell and cylinder using loss factor and structural loss factor. For this purpose, two kinds of loss factor were adopted. One is loss factor of each sub structure, another is structural loss factor based on the complex welded or assembled structure. Using these two parameters,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coupling loss factor which represents characteristic condition of SEA theory. Coupling loss factor of conjunction in complex structure was expressed as power balance equation. The derived equation for a coupling loss factor has been simplified on the assumption of one way (uni-directional) power flow between multi-sub structures. Using these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find the equation of coupling loss factor expressed as above two loss factors.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above equation, this paper used two-stage application. The first approach was application between simple cylinder and shell. The next was adopted rotary compressor. Rotary compressor has three main conjunctions between shell and internal vibration part. This equation was applied to find out the optimum welding point with respect to reduce the noise propagation. It shows the effective tool to evaluate the coupling loss factor in complex structure.

  • PDF

Language-Independent Word Acquisition Method Using a State-Transition Model

  • Xu, Bin;Yamagishi, Naohide;Suzuki, Makoto;Goto, Masayuk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224-230
    • /
    • 2016
  • The use of new words, numerous spoken languages, and abbreviations on the Internet is extensive. As such, automatically acquiring word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Internet content is very difficult. In a previous study, we proposed a method for Japanese word segmentation using character N-grams.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 is based on a simple state-transition model that is establish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put document is described based on four states (denoted as A, B, C, and D) specified beforehand: state A represents words (nouns, verbs, etc.); state B represents statement separators (punctuation marks, conjunctions, etc.); state C represents postpositions (namely, words that follow nouns); and state D represents prepositions (namely, words that precede nouns). According to this state-transition model, based on the states applied to each pseudo-word, we search the document from beginning to end for an accessible pattern.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this transition detects some words during the search. In the present paper, we perform experiments based on the proposed word acquisition algorithm using Japanese and Chinese newspaper articles. These articles were obtained from Japan's Kyoto University and the Chinese People's Daily.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depend on the language structure. If text documents are expressed in Unicode the proposed method can, using the same algorithm, obtain words in Japanese and Chinese, which do not contain spaces between words. Hence, we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language independent.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 이해: 레지스터 분석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Earth Science Treatises: Register Analysis Approach)

  • 맹승호;신명환;차현정;함석진;신현정;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785-797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과학 논문 레지스터를 분석하여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자료로 지질과학, 대기과학, 해양과학의 한국어 논문 1편씩을 선정하였다. 지구과학 논문 레지스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부와 설명부 간의 의미적, 지시적 연결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가 제시하려는 메시지와 요점이 통일적으로 응집력 있게 제시되었다. 둘째, 각 텍스트의 장르 요소에 따라 연역적 추론 또는 귀추적 추론 관계 및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술어들이 사용되었으며, 논리적 관계는 접속어구보다는 술어의 유형을 통해 표현되었다. 셋째, 대부분의 논문 텍스트에서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식적 술어를 사용하여 과학자들의 해석과 설명 및 주장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약한 상호관계를 형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생들이 과학 학습 과정에서 과학 텍스트에 대한 문해 능력을 높이고, 과학자들의 지식 구성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 글에서 각 문장을 구성하는 주제부와 설명부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고, 술어의 유형에 따라 논리적 관계를 조사하는 과학 언어 풀어내기 활동이 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