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ifer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6초

산림재해지 복구를 위한 주요 수종의 입지 및 재해 저항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ite Condition and Disturbance Resistance of Tree Species for Damaged Forested Land in South Korea)

  • 강영호;이천용;배영태;김찬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15
    • /
    • 2011
  • We recently witnessed increasingly more natural disturbances on forested land. On the other hand, only limited number of nursery grown tree species are available for restoration projects. At the same time, so little on the disturbance resistance of species has been studied that a selection of right species for right site condition becomes very difficult. This study is a compilation of the site specificities and disturbance resistance of each species native to South Korea. Each species was surveyed for 11 items related to site specificities, and 12 items related to disturbance resistance including the resistance to snow damag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1 tree species from 44 families : 21 evergreen conifer species, 2 deciduous conifer species, 18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118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and 2 monocotyledon species. This study suggests that native species in South Korea show resistance to all types of natural disturbances except drought.

침엽수림에서 토양열 플럭스의 공간 변화 (Spatial Variability of Soil Heat Fluxes in a Conifer Forest)

  • Yun-Ho Park;Byong-Lyol Lee;Kyung-Sook Cho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6
    • /
    • 2003
  • 침엽수림에서 토양열 플럭스의 공간변화를 미기상 관측을 통해 조사하였다. 일평균 최대 하향단파복사(R $s_{dn}$ )와 순복사 (Rn)는 약 260W $m^{-2}$ 와 180 W $m^{-2}$ 였다.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 사이의 일평균 토양열 플럭스는 대체로 순복사의 10% 였다. 연구기간동안 측정된 토양열 플럭스 ( $G_{6}$)와 계산된 토양열 플럭스 (G)와의 오차는 2% 이내였다. 열 저류항에 의한 최대 플럭스의 지연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열 저류항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약 10에서 15W $m^{-2}$ 의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

산불피해지역에서 숲 가꾸기 실행유무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 이시영;이명욱;염찬호;권춘근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53-156
    • /
    • 2008
  •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was studied in this work.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nning slash in forest fire, Gangneung-si Wangsan-myeon, Ulgin-gun Wonnam-Myeon, Samchok-si Gagok-Myeon, in which forest fire broke out, were selected. As a result that investigated forest fire danger ratio between thinning slash and non-thinning slash, leeward scorching ratio(36%), crown damage ratio(29%), mortality of branch at the former are higher than those at the latter, leeward scorching ratio of tree, where thinning slash is around, is 10%-20% higher than that of independent tree. So I estimate that thinning slash has a some effect on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And the result to investigate damage of forest fire according to tree species shows that leeward scorching ratio of conifer is 5% higher than that of non-conifer, and mortality of branch of the former is 19%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It is considered that forest fire may affect directly to a tree trunk if it diffuse to piled thinning tree because there was no space between thinning trees and tre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re-ignition had a chance to occur due to lots of piled thinning trees.

  • PDF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개체 공간정보 구축 및 입지환경 분석 - 반야봉, 영신봉, 천왕봉 일원 구상나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Information and Location Environment of Dead Coniferous Tree in Subalpine Zone in Jirisan National Park -Focus on Korean Fir(Abies koreana) in Banyabong, Yeongsinbong, Cheonwangbong-)

  • 박홍철;문건수;이호;이나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2-54
    • /
    • 2020
  • 지리산국립공원 내 자생하는 아고산대 침엽수(구상나무 등)의 주요 분포지를 대상으로 약 10년 전·후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활용해 고사목 증가량, 확산패턴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침엽수 고사목이 위치한 지점의 해발고도, 지형정보, 일사량, 수분환경 등을 분석하여 고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입지요인을 파악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 반야봉, 영신봉, 천왕봉 지역 모두 최근 10여 년간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목 개체수가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야봉은 약 2배, 영신봉은 약 3.9배, 천왕봉은 약 5.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천왕봉 지역의 증가세가 비교적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높은 경사도로 토양수분함량이 낮고, 남향에 위치하여 높은 일사량으로 증발산량이 많은 건조 환경, 이에 더해 태양광에 의한 강한 일사량 및 강우의 체류시간이 짧아 토양이 건조할 것으로 추정되는 입지환경에 고사목이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건조한 입지환경에서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가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10여 년 전과 비교해도 동일한 경향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몇가지 침엽수(針葉樹) 소경재(小經材) 간벌작업(間伐作業)에서의 일반시간(一般時間)에 대한 관계시간연구(關係時間硏究) (A Relative Time Study on the Allowance Time in Thinning of Some Conifer Species)

  • 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16-324
    • /
    • 1996
  • 본(本) 연구(硏究)는 몇가지 침엽수중(針葉樹中) 소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간벌림(間伐林)에서 기준적(基準的)인 1인(人) 1조(組)의 작업방법(作業方法)을 통하여 임금구성상(賃金構成上) 또는 작업공정구성상(作業功程構成上) 기본적(基本的)인 작업시간(作業時間)과 더불어 대별되는 일반시간(一般時間)을 관계시간연구(關係時間硏究)에 의하여 구명(究明)하였다. 1. 시간연구(時間硏究)에 의해 4가지 수종별(樹種別)로 산출(算出)된 일반시간(一般時間)을 침엽수(針葉樹)에 일반적(一般的)으로 적용(適用)하기 위하여 일반시간(一般時間)의 동일구성(同一構成)으로 부터 최대값을 선정(選定)한 결과 인적여유시간(人的餘裕時間) 1.8%, 휴식시간(休息時間) 14.1%, 물적여유시간(物的餘裕時間) 12.5%, 대기시간(待機時間) 0.4%로 산출(算出)되었으며, 이로부터 작성(作成)된 조정일반시간(調整一般時間)의 비율합계(比率合計)는 28.8%로 나타났다. 2. 시간연구(時間硏究)를 통한 표준작업시간(標準作業時間) 추정식(推定式)을 수종별(樹種別)로 산출(算出)하여 관계시간연구(關係時間硏究)로 부터 조정(調整)된 일반시간(一般時間)을 합산(合算)함으로써 임금표(賃金表)나 공정표(工程表)에 사용(使用)되는 "예상임금(豫想賃金) 기준시간(基準時間)"을 표로 작성(作成)하였다.

  • PDF

자생수목 이식 성공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Ratio of Native Tree Transplant)

  • 이상철;조부연;최송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29
    • /
    • 2015
  • 도로 건설시 훼손될 산림의 자생수목 이식 및 활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한국도로공사의 협조를 얻어 최근 6년간(2008~2013) 자생수목 이식을 시행한 시공현장 자료를 취합하여 수종별, 규격별 이식활착률에 대한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7개 사업단에서 실시한 자생수목 이식현황을 살펴보면 총 22,521주를 이식하였으며 그 중 69%인 15,519주가 이식에 성공하였다. 이식수종별로 살펴보면 소나무가 15,562주로 가장 많았으며, 참나무류(6,156주), 산벚나무(235주), 곰솔(154주) 등의 순이었다. 침엽수 그룹으로 소나무와 곰솔, 활엽수 그룹으로 참나무류와 산벚나무를 선정하여 대비검정을 실시한 결과,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낮은 이식성공률을 보였다. 근원직경과 이식성공률은 근원직경이 커질수록 이식성공률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상관성은 상관계수(R)가 -0.730으로 부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근원직경에 따른 이식성공률 예측모형의 설명력($R^2$)은 0.532였으며, 예측 회귀모형은 Y= -0.811X+88.627(X=근원직경, Y=이식성공률)이다.

산불피해를 줄일 수 있는 조림방안 - 내화수림대 조성 - (Construction Of Fire Resistant Forest Belts)

  • 임주훈
    • 기술사
    • /
    • 제38권3호
    • /
    • pp.1-5
    • /
    • 2005
  • As a method of anti-fire construction in forest region it is proposed to build fuelbreak(vegetated firebreak). Fuelbreak can separate the large area conifer forest into smell parts combined with natural firebreaks. Fuelbreaks can prevent forest fire effectively and also have other functions benefiting the forest ecosystem and environment. 3 kinds of construction skills are introduced for the silviculture technique to build fuelbreaks. And it is proposed to build the firebreaks network in national scale.

  • PDF

Two Species of Endophytic Cladosporium in Pine Trees in Korea

  • Paul, Narayan Chandra;Yu, Seung-Hun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211-216
    • /
    • 2008
  • During our studies on the diverse endophytic fungi resident on conifer needles, many species of Cladosporium previously unreported in Korea were encountered. In this paper, we report on two species of Cladosporium from the needles of pine trees (Pinus spp.). Based on analys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gene sequence, and cultural an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y were identified as C. oxysporum and C. sphaerospermum. Both species have not been hitherto reported in Korea.

천성산지역의 식생구조 - 경부고속철도 원효터널 계획구간을 중심으로 - (Vegetation Structure of Cheonseongsan Area - In the Case of the Wonhyo Tunnel Reserved Section of the Gyeongbu Line for KTX -)

  • 최송현;오구균;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341
    • /
    • 2005
  • 천성산지역을 관통하는 경부고속철로 KTX 원효터널 계획구간은 개발과 보전의 문제가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곳이다. 이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대상지를 중심으로 65개(단위면적 $100m^2$)의 조사구를 설치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존식생조사결과 침엽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군락이 전체 대상지의 $53\%$를 차지하였고, 녹지자연도 분석결과 등급 8이 전체의 $86.68\%$를 나타내었다. 식생구조는 대표적인 군락인 침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소나무-떡갈나무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에 대해 종조성을 알아보았다.

가로변 반송 염해정도에 따른 토양 및 식물체 내 염류이온의 계절별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De-icing Salt Ions Harvested from Soils and Plants according to the Salt Damage of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on Roadsides)

  • 이재만;박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5-402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easonal variations of de-icing salt ions harvested from soils and plants according to salt damage of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a evergreen conifer, on roadsides.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referred to SD, ND, and WD (serious salt damage (SD) = 71-100%, normal salt damage (ND) = 31-70%, and weak salt damage (WD) = 0-30%) based on the degree of visible foliage damage, and measured acidity (pH), electrical conductivity(EC), and de-icing salt ions (K+, Ca2+, Na+, and Mg2+) harvested from soils and pl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idity, electrical conductivity, and de-icing salt ions of soils and pla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easonal variation and salt damage. In addition, a strong positive liner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plant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de-icing salts and salt damage in spring, while the relationship among seasonal variation and salt damage in soil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conifer species in relation to salinity and roadsides mainte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