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firmation measur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GPS를 이용한 가스설비 침하 감시 기술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the subsidence of the gas utilities using GPS techniques)

  • 조성호;전경수;박필호;박종욱;조정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3-61
    • /
    • 1999
  • 가스설비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여러 요소들 중의 하나는 지반 침하 현상이다. 지반 침하는 천연가스 공급배관 뿐 아니라 인수기지 및 공급관리소 등 당 공사 전 설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하를 감시하기 위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적용코자 하였다. GPS기술을 당 설비에 적용하기 전에 GPS의 정밀도와 현장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의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변위측정 능력 및 정밀도를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 mm급의 3차원 변위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한국가스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스공급관리소 중 침하가 우려되는 2곳에 GPS 설비를 설치하여 수개월간 배관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연간 수 mm의 움직임이 있음을 확인하져다. 실험결과로 부터 GPS 시스템이 가스설비의 침하 및 변형감시 현장 업무에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ACCURACY IMPROVEMENT OF LOBLOLLY PINE INVENTORY DATA USING MULTI SENSOR DATASETS

  • Kim, Jin-Woo;Kim, Jong-Hong;Sohn, Hong-Gyoo;Heo, 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90-593
    • /
    • 2006
  • Timber inventory management includes to measure and update forest attributes, which is crucial information for private companies and public organizations in property assessment and environment monitoring. Field measurement would be accurate, but time-consuming and inefficient. For the reason, remote sensing technology has been an alternative to field measurement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Among several sensors, LiDAR and Radar interferometry are known for their efficiency for forest monitoring because they are less influenced by weather and light conditions, and provide reasonably accurate vertical/horizontal measurement for a large area in a short period. For example,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and National Elevation Dataset (NED) in the U.S. can provide tree height information and DSM. On the other hand, LiDAR DSM (the first return) and DEM (the last return) can also present tree height estimation. With respect to project site of loblolly pine plantation in Louisiana in the U.S., the accuracy of SRTM C-Band approach estimating tree height was assessed by the LiDAR approaches. In addition, SRTM X-Band and NED were also compared with the results. Plantation year in inventory GIS,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forest age, is high correla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SRTM C-Band and NED. As a byproduct, several stands of age mismatch could be recognized using an outlier detection algorithm, and optical satellite image (ETM+) were used to verify the mismat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the confirmation of usefulness of the SRTM DSM for forest monitoring and (2) Multi-sensors- Radar, LiDAR, ETM+, MODIS can be used for accuracy improvement of forest inventory GIS altogether.

  • PDF

대표 속성을 이용한 저자 개체 식별 (Author Entity Identification using Representative Properties in Linked Data)

  • 김태홍;정한민;성원경;김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29
    • /
    • 2012
  •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오픈 리소스인 링크드 데이터는 최근 선진국 정부의 많은 관심 속에 데이터 공개 및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신뢰할 수 있는 개체 식별 기술의 부재로 링크드 데이터의 양적 성장에 비해 개체 수 대비 링크의 수가 적은 현상과 일부 데이터 셋에 링크가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링크드 데이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체 간 관계(owl:sameAs, owl differentFrom 등)를 이용하거나 Curation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링크드 데이터 기반 개체 식별 방식의 문제를 다중 온톨로지의 개체 식별이 가능한 자동화된 개체 식별 방식을 통해 개선하고 저자 개체의 대응 속성과 개체 유형의 논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개체 식별 정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다중 온톨로지 기반의 실시간 저자 식별 방법을 제안하고 평가한다. 본인의 확인을 거친 29명의 저자 정보를 이용해 개체 식별 정확성 결과를 평가하여 평균 0.8533 (K measure)의 긍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컨테이너 위치 추적에 활용되는 GPS/GLONASS 안테나 설계 및 성능 검증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GPS/GLONASS Antenna used for Container tracking)

  • 이은규;최성필;문영식;김재중;최형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544-1550
    • /
    • 2013
  • 최근에는 미국에서 개발 및 관리하는 위성항법시스템과(GPS)와 러시아에서 운용하는 위성항법시스템(GLONASS)을 함께 수신하여 컨테이너 보안 장치에 활용함으로서 물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화물 안전수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위치 수신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는 물류시스템에 운영할 수 있도록 물류 환경에 맞춰 광대역 원편파 특성과 GPS/GLONASS 듀얼 주파수 지원 가능하도록 성능을 최적화 하였다. 정재파비(VSWR) 2:1에서 대역폭은 26.1MHz이며 GPS(1575.42MHz)와 GLONASS(1602MHz)의 반사손실은 -9.54dB로 나왔다. 개발 완료한 안테나는 실제 한국간 러시아 물류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GPS/GLONASS 신호가 국가 간 이동에도 정상적으로 수신됨을 시범 운영 테스트를 통해 성능 검증을 확인 하였다.

Anabaena cylindrica 분해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Lysing Anabaena cylindrica)

  • 최영길;홍엽;신규철;김민성;한명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7-112
    • /
    • 2002
  • 남조류 분해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창, 팔당 저수지와 석촌 호수로부터 저층시료를 채취하였다. Anabaena cylindrica lawn에 각각의 시료를 도말한 후 11 일간 배양하였고 석촌 시료를 접중한 Anabaena cylindrica lawn에서 Anabaena cylindrica에 분해능을 가지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해능 화인은 남조류와 분해세균을 혼합한 후 chlorophyll a간의 측정과 분리세균의 cell counting방법으로 확인하였고, 세포외 물질이 Anabaena cylindrica를 분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리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과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동정하였다. 분리균주의 165 rDNA염기서열을 기초로한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Bacillus속에 포함하는 계통학적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Bacillus sp. CHSl으로 명하였다.

물류트랙킹 장비에 활용되는 WCDMA/GSM 이중 대역 안테나 설계 및 성능 검증 (Efficient Multicasting Mechanism for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 이은규;최성필;문영식;전미진;조재희;김재중;최형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96-897
    • /
    • 2013
  • 최근에는 WCDMA와 GSM를 함께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물류운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화물 안전수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이동통신 안테나로 활용하여 물류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광대역 원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WCDMA/GSM 듀얼 주파수 지원 가능한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설계된 안테나는 WCDMA(1920~2170MHz), GSM(824~960MHz)에 동작되며 VSWR 3:1에서 리턴로스가 -10dB이하로 나왔으며 이득이 27dB이 나왔다. 제작된 안테나는 실제 러시아 물류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WCDMA/GSM 신호가 국가 간 이동에도 정상적으로 수신됨을 검증하였다.

  • PDF

퀴즈게임의 체감형 제스처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개발 (A Study on Tangible Gesture Interface Prototype Development of the Quiz Game)

  • 안정호;고재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35-245
    • /
    • 2012
  • 우리는 본 논문에서 사용자 제스처 인터페이스 기반 퀴즈게임 콘텐츠를 제안한다. 우리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으로 수행해 오던 퀴즈게임의 요소들을 파악하여 디지털화함으로써 퀴즈 진행자의 역할을 콘텐츠 프로그램이 담당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는 키넥트 카메라를 사용하여 깊이영상을 획득하고 깊이영상에서 사용자 분할, 머리 위치 검출 및 추적, 손 검출 등의 전처리 작업과 손들기, 손 상하이동, 주먹 모양, 패스, 주먹 쥐고 당김 등의 명령형 손 제스처 인식기술을 개발하였다. 특히 우리는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물리적인 객체를 조작하는 동작으로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스처를 정의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선택, 확인 등의 추상적인 개념을 인터페이스 과정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앞서 발표되었던 선행 작업과 비교할 때, 우리는 승리 팀에 대한 카드보상 절차를 추가하여 콘텐츠의 완성도를 높였으며, 손 상하이동 인식과 주먹 모양 인식 알고리즘 등을 개선하여 문제 보기선택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고, 체계적인 실험을 통해 만족할 만한 인식 성능을 입증하였다. 구현된 콘텐츠는 실시간 테스트에서 만족스러운 제스처 인식 결과를 보였으며 원활한 퀴즈게임 진행이 가능하였다.

다양한 시험생물종을 이용한 산업폐수 생태독성 평가 및 원인물질 탐색 (Ecotoxicity Test of Wastewater by a Battery of Bioassay and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 류태권;조재구;김경태;양창용;정기은;윤준헌;최경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3호
    • /
    • pp.207-214
    • /
    • 2010
  • Toxicity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dustrial effluent on the aquatic environment. In order to measure the potential and real toxicity of mixed chemicals in the effluents, the biological method (i.e., WET test) should be used as well as chemical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we conducted WET test for various kinds of industrial effluents using aquatic organisms such as water flea (Daphnia magna), algae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fish (Oryzias latipes, Danio rerio), and microorganism (Vibrio fisheri). In addition, we carried out chemical analysis and TIE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for efflu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substances causing toxicity. Among the 30 kinds of wastewater, S13 showed the highest eco-toxicity and $Ca^{2+}$ and $Cl^-$ ion were suspected as major compounds causing toxicity for aquatic organisms. In order to confirm these suspected compounds, various confirmation procedures need to be carried out.

수영자 탐지 소나에서의 해상실험 데이터 분석 기반 자동 표적 추적 알고리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utomatic target tracking algorithms based on analysis of sea trial data in diver detection sonar)

  • 이해호;권성철;오원천;신기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15-426
    • /
    • 2019
  • 본 논문은 연안 군사시설 및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침투세력을 감시하는 수영자 탐지 소나에서의 자동 표적추적 알고리즘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수영자 탐지 소나에서의 해상실험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클러터 환경에서 자동표적 추적을 위한 트랙평가수단으로서 트랙존재확률 기반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특히 트랙초기화, 확정, 제거, 합병 등의 트랙관리 알고리즘과 단일표적추적 IPDAF(Integrated Probabilistic Data Association Filter), 다중표적추적 LMIPDAF(Linear Multi-target Integrated Probabilistic Data Association Filter) 등의 표적추적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해상실험 데이터 및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물-공기 수평 성층류 유동조건에서 액적이탈 현상에 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Droplet Entrainment in the Air-Water Horizontal Stratified Flow)

  • 배병건;윤병조;김경두;배병언
    • 에너지공학
    • /
    • 제24권1호
    • /
    • pp.114-122
    • /
    • 2015
  • 수평 성층류 2상 유동에서 기체의 속도가 액체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큰 고유속 유동조건에서는 불규칙한 파형들이 생성되고 이때 상 경계면에서는 액적이탈이 발생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에서는 이러한 상 경계면에서의 액적이탈 현상을 기구학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전단력, 표면장력, 그리고 중력 항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액적이탈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액적이탈 모델 내부에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모델 계수가 존재한다. 모델 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두 상 사이의 계면파 특성과 관련되는 물리변수들에 대한 실험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하다. 주요 물리변수들에는 파의 기울기, 파의 빗변길이, 파의 속도, 파의 주파수, 그리고 파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면파 특성과 관련된 주요 물리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폭 40 mm, 높이 50 mm, 길이 4.2 m의 수평사각유로에서 가시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1기압의 물-공기 성층류 유동에서 액적이탈이 발생되는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 계면 형상을 2차원적으로 가시화하고 계면파에서 국소적인 물속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로 측면에서 PIV기법을 적용하였다. 추가적으로, 가시화실험을 통해 획득한 계면 이미지로부터 측정된 계면 높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행 와이어 전도도 센서를 개발하였다. 가시화방법과 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위를 비교한 결과, 두 가지 방법론에 의해 측정된 수위결과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측정기법을 적용하여 액적이탈 조건에서 계면파 특성과 관련된 주요 물리변수들을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