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ditioned medium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1초

신경세포에서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의 조절에 미치는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 열수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on the Regulation of Nerve Growth Factor in Neuronal Cells)

  • 이현아;김지은;송성화;성지은;정민기;김동섭;손홍주;이충열;이희섭;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09-518
    • /
    • 2016
  •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은 북아시아 지역에서 열병, 감기, 신장질환, 유방암, 염증질환, 뇌질환 등의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약용식물(medicinal plant)이다. 비록, 천문동의 항염증(ani-inflammatory) 효능에 대한 일부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신경세포에서 항염증작용과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된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세포에서 신경성장인자의 분비와 작용기전에 대한 천문동 열수추출물(aqueous extract from A. cochinchinensis, AEAC)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AEAC로 처리된 B35세포의 배양액에 NGF단백질의 농도는 대조물질(vehicle)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별한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NGF mRNA의 발현도 단백질의 농도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B35세포로부터 분비된 NGF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AEAC-조정배지(conditioned medium)를 미분화된 PC12세포에 처리한 후 이들 세포의 신경염성 성장(neuritic outgrowth)을 관찰하였다. PC12세포의 수상돌기 길이(dendritic length)는 vehicle처리군에 비하여 AEAC-조정배지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High affinity NGF 수용체의 하위신호전달에 포함된 p-TrkA와 p-ERK의 발현은 AEAC-조정배지처리군에서 높았지만, low affinity NGF 수용체의 하위신호전달에서는 낮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EAC가 신경세포에서 NGF발현과 분비의 조절에 기여하기 때문에 신경퇴행성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치료제로서 우수한 후보물질임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 난관 상피세포와의 공동배양이 생쥐와 인간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arly Mouse and Human Embryonic Development in vitro by Co-culture with Human Oviduct Epithelial Cells)

  • 고정재;정미경;도병록;엄기붕;윤태기;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9권2호
    • /
    • pp.133-141
    • /
    • 1992
  • We examined effects of co-culture with human oviduct epithelial cells (HOEC) on the development of mouse and human embryos from early embryonic· stage to late morula or blastocyst stage (LM or B). In human, embryos were transferred and pregnancy rate was investigated. The HOEC, collected from surgically removed fallopian tube, were cultured in medium-199 supplemented with 20 % fetal cord serum (FCS). The HOEC were characterized by using immunocytochemical staining with anticytokeratin antibody and then used for cultures of mouse and human embryos. Results obtained from co-culture system were as follows. Development rate of mouse embryos was improved by co-culture system at late developmental stage (p<0.025). Human supernumerary embryos remained after transfer, unsuitable for freezing because of their poor quality, were co-cultured for 72hrs. Co-culture (78.79%) or conditioned medium (78.26%) system improved the developmemt rate, significantly, in comparision with control (11.11%)(p<0.00l). Co-cultured (85.71%) human zygotes for 24hrs showed the better development rate in comparision with control (50.00%) (p<0.01). When we transferred embryos cultured with the HOEC to patients, we obtained one pregnancy. Co-cultured human zygotes for 24hrs showed the better quality and viability for the replacement in comparision with control (p<0.01). In addition, improved pregnancy rate was obtaine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culture system can rescue early degenerating embryos by improving early development and yield a resonable number of blastocyst for the appropriate replacement. The effect provided by cultured HOEC is not species specific for the development of embryos and it can be used to overcome in vitro blocks for the development. And also the co-culture system offers the possibility to freeze embryos at blastocyst stage which is more sucessful stage for the freezing. The HOEC monolayer may provide some stimulus via specific factor, which is unknown, to the development of embryo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culture system with HOEC can be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ulture system.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가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Proliferation of the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 김은지;조한진;김석종;강영희;하영래;윤정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8호
    • /
    • pp.896-904
    • /
    • 2001
  • Conjugated linoleic acid(CLA) is a group of 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 of linoleic acid(LA) and exhibits anticarcinogenic activity in multiple experimental animal models. Cis-9,trns-11(c9t11) and trans-10,cis-12(t10c12) CLA are the principal isomers found in food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CLA and the two isomers inhibits HT-29 cell proliferation and to assess whether such an effect was related to changes in secretion of eicosanoids. Cells were incubated in serum-free medium with various concentrations(0 to 20$\mu$M) of CLA or LA. CLA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maximal inhibition(70 $\pm$ 1%) observed at 20$\mu$M concentration after 96 hours. However, LA had no effect at the same concentration range. To compare the ability of c9f11 and t10c12 to inhibit cell proliferation, cells were incub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0 to 4$\mu$M) of these isomers. T10c12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 66 $\pm$ 2% decrease in cell number was observed within 96 hours after addition of 4$\mu$M t10c12. By contrast, c9t11 had no effect. The concentrations of CLA and the two isomers in the plasma membrane were increased when they were added to the incubation medium. However, they did not alter the levels of arachidonic acid in plasma membrane. To assess whether the proliferation inhibiting effect of CLA was related to changes in eicosanoid production, prostaglandin E$_2$(PGE$_2$) and leukotriene B$_4$(LTB$_4$) concentrations in conditioned media were estimated by a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Both CLA and t10c12 increased the production of materials reactive to PGE$_2$ and LTB$_4$ antibodies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contrast, c9t11 had no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hibition of HT-29 cell proliferation by CLA is attributed to the effect of the t10v12 isomer. The materials reactive to PGE$_2$ and LTB$_4$ antibodies may inhibit growth stimulatory effect of arachidonic acid-derived eicosanoids on HT-29 cell proliferation.

  • PDF

Expression and Secretion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System Components by Pig Liver Cells

  • Kim, I.;Jin, E.J.;Baik, K.;Park, C.H.;Kim, W.K.;Kang, C.W.;Ko, Y.;Jang, I.;Choi, W.S.;Lee, C.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1244-1251
    • /
    • 2008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lineate the expression and secre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system components by pig liver cells. Hepatocytes were prepared from 3-wk-old weanling piglets following a two-step collagenase perfusion procedure, after which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24 or 48 h at a density of $2{\pm}10^5$ cells per 35-mm dish in 2-ml Williams' medium E. The cells were found to express the genes encoding IGF-I, IGF-binding proteins (IGFBPs)-2 and -3 and acid-labile subunit (AL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following the culture. However, IGF-I was localized to hepatocytes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hereas IGFBP-3 was localized to endothelial cells, but not to hepatocytes. This indicated that the IGFBP-3 gene expression detected by RT-PCR was likely to have been contributed by unidentified non-parenchymal cells that had not been removed during the hepatocyte preparation. The conditioned culture medium (CCM) of the cells contained immunoreactive IGF-I and IGF-II, with the latter being seven-fold more abundant than the former. The CCM also contained 43-, 40-, 34-, 31-kDa doublet and 26-kDa IGFBPs as examined by Western ligand blotting. The 40-, 34- and 31-kDa doublet IGFBPs were approximately three-fold as abundant as the 43- and 26-kDa IGFBPs. Moreover, the 43- and 40-kDa doublet and the 34-kDa IGFBPs were immunoprecipitable with IGFBP-3 and IGFBP-2 antibodies, respectively. Overall,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known in the rat, which suggests that the IGF system components are likely to be expressed and secreted in pig liver in a manner similar to that in rat liver.

Methyl jasmonate 처리에 의한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 부정근의 이차대사산물 및 항산화활성 증가 (Increasement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Panax ginseng Adventitious Root by Methyl Jasmonate)

  • 임순;배기화;신차균;김윤영;김윤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225-231
    • /
    • 2005
  • 인삼부정근 배양에서 MeJA 처리가 부정근내 진세노사이드와 페놀화합물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이차대사 산물의 증가에 따른 인삼부정근의 항산화활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MeJA를 인삼부정근에 처리한 결과, $100\;{\mu}M$ MeJA에서 부정근내 진세노사이드의 생산은 26.6 mg/g dry wt로 대조구보다 약 8배 이상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MeJA의 처리는 부정근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놀화합물의 생산 역시 MeJA처리에 의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50\;{\mu}M$ MeJA에서 0.38 mg/g dry wt로 대조구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MeJA의 처리효과는 조건배지 (CM)를 이용하는 것이 신선배지 (FM)를 이용하는 것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지성분이 결핍된 조건배지에서의 진세노사이드 생산은 신선배지에서 보다 약 1.7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페놀화합물 역시 조건배지에서약 1.2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MeJA 처리에 의한 진세노사이드와 페놀화합물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인삼부정근의 항상화활성을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서 약 72%이상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RAW 264.7 세포에서 음양곽(淫羊藿) 물 추출물의 nuclear factor-κB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pimedii Herba Water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Nuclear Factor-κB in RAW 264.7 Cells)

  • 정지윤;변성희;박정아;조일제;김상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28
    • /
    • 2018
  • Objectives : Epimedii Herba has been frequent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impotence, spermatorrhoea, exophthalmos, and forgetfulness.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pimedii Herba water extract (EWE) and attempted to elucidat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Methods : To explor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WE,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were pretreated with $10-100{\mu}g/m{\ell}$ of EWE, and then subsequently exposed to $1{\mu}g/m{\ell}$ of lipopolysaccharide (LPS). Levels of nitric oxide (NO), interleukin-6, $interleukin-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were monitored in the medium. Expression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were determined by immunoblot and real-time PCR analyses. Signaling pathways related with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were monitored to elucidat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Finally, the role of three flavonoid compounds in EWE on LPS-mediated NO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 In conditioned medium, pretreatment of EWE ($100{\mu}g/m{\ell}$) significantly inhibited LPS-stimulated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addition, EWE attenuated the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by LPS. EWE prevented the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inhibitory ${\kappa}B{\alpha}$, nuclear translocation of $NF-{\kappa}B$, and DNA binding of $NF-{\kappa}B$, while EWE did not change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by LPS. Moreover, icariin, icaritin, and quercetin partly, bu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stimulated NO produc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WE has an ability to prevent inflammation in macrophages through inhibition of $NF-{\kappa}B$ signaling pathway.

내피 세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PXDN의 peroxidase 활성 (Peroxidase Activity of Peroxidasin Affects Endothelial Cell Growth)

  • 함경아;조성빈;이민주;조영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4
    • /
    • 2023
  • Peroxidasin (PXDN)은 촉매 도메인 외에도 세포외기질 모티프를 포함한 다양한 도메인을 가진 heme peroxidase로서, collagen IV (Col IV)에서 sulfilimine 가교를 형성하여 Col IV의 스캐폴드를 강화한다. 우리는 이전 논문에서 PXDN이 sulfilimine 가교 의존적인 기질 assembly를 통하여 내피세포 생존 및 성장 신호전달에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내피세포에서의 PXDN 기능에 있어 peroxidase 활성의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첫번째로 peroxidase 도메인의 활성 부위에 존재하며 고도로 보존된 Q823과 D826을 각각 W823, E826으로 치환한 돌연변이체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돌연변이 단백질을 높게 발현하는 HEK293 클론을 분리하였고, 이들 세포를 무혈청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조건 배지를 확보하여 평가하였다. 조건 배지에 대해 비환원 조건으로 West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돌연변이 단백질은 삼량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proprotein convertase에 의해 야생형 PXDN처럼 절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peroxidase 활성은 돌연변이 PXDN이 포함된 조건 배지에서 야생형 PXDN과는 대조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sulfilimine 가교 형성 능력도 돌연변이 PXDN에서 소실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더하여, PXDN이 depletion된 내피세포에 돌연변이 PXDN이 포함된 조건배지를 가하였을 때, 야생형 PXDN 조건배지와 달리 증식을 촉진시키지 못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PXDN의 peroxidase 활성이 sulfilimine 가교를 형성하여 내피세포 성장에 영향을 미침을 제안한다.

돼지 난포란으로부터 체외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항산화제의 첨가가 배 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ntioxidants for Porcine Oocytes during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 박향;김재영;김자영;이정형;박흠대;김재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5-255
    • /
    • 2004
  • 포유동물 난자의 체외수정은 외래유전자 도입에 의한 형질전환동물 생산과 우수한 형질을 가진 개체의 보존, 인간의 불임연구 등과 같은 수정란이식 기술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돼지 난포란을 이용한 체외수정란의 생산은 초기단계인 체외성숙 기술의 미확립, 그로인한 체외수정 시 높은 다정자 침입율과 불완전한 웅성전핵 형성 몇 체외발달능 정지현상(cell blocking) 등 어려움 때문에 아직도 다른 가축보다 양질의 수정란을 생산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은 배양액내에 hormon, growth factor, antioxdants 등과 같은 외인성 인자들을 첨가하고 있다. 이들 인자 중 antioxdant는 free radical을 소거하고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여 난자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으로부터 체외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배양액내 cysteine, catalase 및 glutathione의 첨가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체외배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험 1은 체외성숙용 배양액인 TCM-199 용액에 catalase(100, 200, 500U/$m\ell$)와 glutathione(0.5, 1.0, 1.5mM/$m\ell$)의 첨가, 실험 2는 성숙된 난자의 체외수정용 배양액인 mTBM 용액에 cysteine(0.1, 1.6, 1.0mM/$m\ell$), catalase(100, 200, 500U/$m\ell$)와 glutathione(0.5, 1.0, 1.5mM/$m\ell$)의 첨가, 실험 3은 체외성숙 및 체외수정된 난자의 체외배양용 배양액인 NCSU-23 용액에 cysteine(0.1, 1.6, 1.0mM/$m\ell$), catalase(100, 200, 500U/$m\ell$)와 glutathione(0.5, 1.0, 1.5mM/$m\ell$)을 첨가하여 배반포로의 배 발달율을 관찰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외성숙시 catalase의 경우는 500U 첨가군의 27.2%로 무첨가군의 15.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편 glutathione의 경우 배반 포로의 배 발달율은 무첨가군과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1.0mM 첨가군에서 상실배까지의 배 발달율인 72%는 무첨가군의 53.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체외수정시 여러 종류의 항산화제 첨가는 첨가하는 농도와 관계없이 배반포로의 배 발달율은 무첨가군과 차이가 없었다. 3. 체외배양시 여러 종류의 항산화제 첨가는 첨가하는 농도와 관계없이 배반포로의 배 발달율은 무첨가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하면 돼지 난포란을 이용한 배반포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배양액내 항산화제의 첨가는 체외성숙단계에서만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아마도 항산화제가 체외성숙 시 난포란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화학 반응의 처리시간과 관련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난포란의 생존력을 높인 것이라고 사료되기 때문에 앞으로는 돼지 난포란의 효율적인 체외성숙에 대해서 배양액내 첨가물질은 물론 나아가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더욱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온화 방사선에 의한 TIMP1, TIMP2 유전자 발현 측정 (Expression of TIMP1, TIMP2 Genes by Ionizing Radiation)

  • 박건구;진정선;박기영;이연희;김상윤;노영주;안승도;김종훈;최은경;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71-180
    • /
    • 2001
  • 목적 :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 (TIMP)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에 작용하여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고 염증, angiogenesis, fibrosis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IMP 유전자는 여러 cytokine 및 signal molecule에 의하여 조절되는 유전자이므로 방사선에 의한 TIMP의 발현을 측정하고 전사 조절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두경부암 환자의 병변에서 유도하여 확립한 두경부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방사선에 의한 TIMP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각 세포주의 방사선 민감도를 측정하고 transwell을 이용한 invasion assay로 전이성을 측정하였다. TIMP1, TIMP2 발현은 conditioned medium을 취해 ELISA assay로 측정하였다. 방사선조사는 2 Gy, 10 Gy 군으로 나누어 관찰했고 조사 후 시간 간격은 24, 48시간이었다. MTT assay로 생존세포 수를 측정하여 방사선 세포치사로 인한 발현 변화를 보정하였다. hTIMP1 promoter region을 PCR하여 pGL2-basic luciferase reporter vector에 cloning하여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에 이입하여 functional TIMP1 발현이 증가하는지 확인하였고 protein kinase C (PKC) activator인 PMA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와 Ras에 의한 TIMP1 발현이 유도되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 HN-1, HN-2, HN-3, HN-5, HN골 세포주의 $D_0$는 각각 1.55 Gy, 1.8 Gy, 1.5 Gy, 1.55 Gy, 2.45 Gy 이었다. 각 세포주의 방사선조사 후 MTT assay에 의한 cell viability는 24, 48시간에서 2 Gy인 경우 모두 $94\%$ 이상 그리고 10 Gy에서는 $73\%$ 이상의 생존 세포를 확인하였다. TIMP1, TIMP2 단백의 basal 농도는 24시간 48시간에서 점점 증가하여 세포에서 계속 합성되어 분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Gy 조사 후 24시간에서 TIMP2는 HN-1, HN-9 세포주에서 감소하였으나, 10 Gy 조사 후에는 두 세포주에서 모두 증가하여 방사선량에 따라 반응이 달랐고, 방사선조사 후 48시간에는 HN-9 세포주에서는 증가하나 HN-9 세포주에서는 감소하여 세포주에 따라 반응이 달랐다. 그러나 방사선에 의한 TIMP1 발현 변화는 미미하였다. TIMP1 reporter gene을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에 transfection하고 PMA (100 ng/ml)을 가한 경우 HN-1세포주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고 HN-9 세포주에서는 감소하였다. Ras 발현 벡터와 co-transfection한 경우 TIMP1 promoter가 활성화 되었다. 결론 : 모두 두경부 암에서 유래된 세포주 이지만 방사선에 의한 TIMP의 발현 및 전사조절 기전은 세포주 마다 차이가 있었고 이온화 방사선의 용량에 따라서, 방사선조사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서도 TIMP 발현에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TIMP의 전사 및 발현이 여러 종류의 signal molecule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이 signal molecule들이 각 세포주 마다 다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인간자궁내막의 탈락막화 (Decudualization)에 있어서 TGF-$\bet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역할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s a Possible Paracrine Mediator in the Human Endometrial Decidualization)

  • 박동욱;최동순;김미란;황경주;조미영;안성희;민철기;유희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1호
    • /
    • pp.65-75
    • /
    • 2003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G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volved in the paracrinic communication during decidualization between UEC (uterine epithelial cells) and USC (uterine stromal cells), we have employed a co-culture system composed of human endometrial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in defined hormonal conditions. Design: In the co-culture,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cultured in the matrigel-coated cell culture insert are seeded on top of the endometrial stromal cells cultured within a collagen gel. The co-culture was maintained for 48 hours under the following hormonal conditions: progesterone dominant condition (100 nM P4 and 1 nM E2) or estrogen-dominant condition (100 nM E2 and 1 nM P4). 10 ng/ ml HGF and/or 10 ng/ml TGF-$\beta$1 are added. Methods: RT-PCR is utilized to detect mRNAs quantitativel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re utilized to detect proteins in the tissue. Results: Prolactin mRNA is expressed in the co-cultured stromal cells under the progesterone dominant condition. TGF-$\beta$1 and its receptors are expressed in both the co-cultured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irrespective of the steroid present, which is in contrast with no or negligible expression of TGF-$\beta$1 or its receptor in cells separately cultured. Both estrogen and progesterone significantly elevate the concentration of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in the conditioned medium of the co-culture with the value of 4, 325 pg/ml in E2-dominant and 2, 000 pg/ml in P4-dominant condition compare to 150 pg/ml in no hormone. In separately cultured stromal cells, administration of HGF induces the expression of TGF receptor 1 in both hormonal conditions, but induction of TGF receptor 2 is only manifest in the P4-dominant condition. Administration of TGF-$\beta$ and HGF directly induce the decidualization marker prolactin mRNA in separately cultured stromal cells. Conclusion: It is likely that steroid hormones induces prolactin mRNA indirectly by promoting the cell to cell communication between the stromal and the epithelial cells. TGF-$\beta$ and HGF are two possible paracrine mediators in the human endometrial decidu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