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ditional indirect effec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사회적 배제가 전위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Displaced Aggression: the Mediatingon Effect of Stress and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 노윤재;윤상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4호
    • /
    • pp.455-476
    • /
    • 2023
  • 본 연구는 묻지마 범죄가 주로 대인관계 문제에서 비롯되었고 제3의 무고한 대상에 대한 보복행위라는 특징에 착안하여,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인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등 관련 요인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49세 이하의 성인 남성 35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 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조절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사회적 배제는 전위된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트레스는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사회적지지가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검증되지 않았으나, 매개모형에서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를 매개한 간접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 간의 직접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배제가 전위된 공격성을 예측하는 것은 사회적 지지 평균집단(mean)과 고집단(M+1SD)에서만 유의했으며 고집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에서 오히려 전위된 공격성을 스트레스 조절 전략으로 사용한다는 의미로, 사회적 지지가 공격성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선행 연구들과는 상이한 결과다.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사회적 배제 경험에도 불구하고 전위된 공격성의 사용빈도가 낮다는 의외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의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구체화할 추가적인 연구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The link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Knowledge Hiding Behaviors and Innovative Behavior: A Moderated Mediation Model

  • Choi, Suk-Bong;Jeong, Jae-Geum;Jung, Ki-Baek;Ullah, S.M. Ebrahim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36
    • /
    • 2022
  • Purpose - Previous studies tried to find antecedents of innovative behavior. However, research on knowledge hiding behavior, psychological mechanism,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has been relatively limited. In this sense,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explor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bove relationship. Especially, this study tested the 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ing roles of knowledge hiding behavior in this causal relationship. Moreover,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justice to innovative behavior is assumed to be influenced by leadership style. Therefore,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knowledge hiding behavior. Design/methodology/approach - For the empirical test, we collected data via a questionnaire survey of a sample of 252 employees from Korean firms.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test hypothese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was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and negatively related to knowledge hiding behavio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nowledge hiding behavior nega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we found the moderating role of authentic leadership. More importantly, we found tha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innovative behavior via knowledge hiding behavior was depending on authentic leadership. Un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hiding behavior and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authentic leadership has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als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y providing several limitations.

Korean Executive Trust, Social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 Jang, Sumi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1호
    • /
    • pp.1-24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s of Korean executives' trust on a firm'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CFP), which depends on their individual social responsibility (ISR).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survey was conducted, and 273 Korean executives were recruited. I used SPSS version 25.0, AMOS version 26.0, SmartPLS version 3.2., and PROCESS Macro 3.4.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was employed to confirm the propos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Findings -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executives' trust is positively related to CSR. I also found that Korean executives' trust is positively related to CFP. Moreover, I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a firm's CSR activities on the trust-CFP relationship. However, I didn't find conditional indirect and 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oposed constructs. The findings overall suggest that Korean executives' trust is such an important mechanism that will affect firm-level CSR and CFP.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Although prior studies reveal that executives' trust in their subordinates positively influences cooperation, creativity, and innovation among subordinates in a team, it is still unclear whether executives' trust in their employees or strangers impacts firm-level CSR and CFP. Moreover, not many studies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SR on executives' trust and CFP especially in the Korean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fill the knowledge gap by focusing on South Korea. This study also contributes to extant CSR and trust literature, and practically contributes to executives,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in South Korea.

긍정적 정서성향과 조직시민행동 :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효과와 집단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rait Positive Affect and OCBI :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Group Positive Affect and the Mediating Role of Group Identification)

  • 김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416-423
    • /
    • 2021
  • 조직구성원이 상사나 동료를 위해 자발적으로 도움을 베푸는 행동(OCBI)은 조직의 성공과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기업의 현실에서 OCBI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OCBI의 선행요인으로 긍정적 정서가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긍정적 정서-OCBI 관계의 기저에 있는 매개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OCBI의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집단 정체감의 매개역할에 주목한다. 또한,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과 상호작용하여 OCBI의 활성화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66개 작업집단에 속한 293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 정서성향이 집단 정체감을 거쳐 OCBI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낮을 때만 유의하며,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을 대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낮을 때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집단 정체감을 높여주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여 OCBI를 높이지만, 긍정적 집단분위기 인식이 높을 때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수행하는 역할이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역할과 중복되어 대체된다는 연구 시사점을 제공한다.

해외전시회 품질특성이 재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가성과의 매개효과 및 정책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verseas Exhibition's Quality Characteristics on Re-Participation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y Support)

  • 김용국;동학림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235-251
    • /
    • 2020
  • 본 연구는 해외전시회 참가를 통해 기업의 해외마케팅 확대와 성과제고에 도움을 받으려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시회 품질특성 및 정부의 정책지원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16~2018년까지 3년간 정부 및 정책기관의 지원을 받아 해외 전시회에 참가한 기업의 전시관계자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71부 중 346부의 유효 표본을 가지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해외전시회 품질특성은 재참가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은 주최기관역량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 전시회명성과 전시장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품질특성은 참가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참가성과는 재참가의도에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정책지원은 참가성과와 재참가의도 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특성이 재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참가성과가 조건부 간접효과(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시도된 전시회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및 참가성과, 행동의도 및 재참가의도 와의 영향관계 규명뿐 아니라 참가성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정부의 정책지원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는 것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

중국 대학생의 학업소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의 매개효과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in the impact of academic burnout on academic self-efficacy in Chinese college students)

  • 오미평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285-294
    • /
    • 2024
  • 본 연구는 학업적 소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의 매개효과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은 중국 광동성의 한 대학에서 의도적으로 표본을 추출한 광저우 의과대학 구강학과 및 구강과학 기술을 전공하는 대학생 300명이다. 자료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Win Ver.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간접효과 및 조건부 직접 효과분석 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소진은 교사지지, 성장 마인드셋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사지지는 성장 마인드셋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업소진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사지는 매개역할을, 그리고 성장 마인드셋은 조절역할을 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학업소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시키는 교사지지와 완충시키는 성장 마인드셋의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Multicentre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in Shanghai, China

  • Fan, Rong;Zhang, Lu-Yao;Wang, Hong;Yang, Bo;Han, Tao;Zhao, Xiao-Li;Wang, Wei;Wang, Xiao-Qin;Lin, Guo-W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329-3334
    • /
    • 2012
  • Background: Several potential risk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for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however, epidemiological studies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risk factors and DLBCL have yielded inconsistent results. Objectives: To investigate potential medical, lifestyle,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DLBCL in Shanghai, China through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Method: One-hundred-and-forty-seven newly diagnosed DLBCL patients and 294 sex- and age-matched controls were recruited from 11 hospitals in Shanghai between 2003 and 2007. A standardize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patient data on demographics, medical history, family history, lifestyle, and environmental exposures.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risk associated with each data category. Results: History of tuberculosis (TB) infection and "living on a farm"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LBCL (TB: OR=3.05, 95% CI: 1.19-7.80; farm: OR=1.82, 95% CI: 1.21-2.73). In contrast, tak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LBCL (OR=0.36, 95% CI: 0.14-0.89).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LBCL risk was found for any of the other potential risk factors (p>0.05),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air dyes, alcohol drinking, smoking, and home/workplace renovation within one year. Conclusions: Consistent with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in other DLBCL case population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ppeared to have a direct or indirect protective effect against DLBCL. However, this study also identified a possible predisposition for DLBCL in TB sufferers and farmers.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fforts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n Teacher Efficacy: Focused on Comparison among Types of School Climate)

  • 최원석;길혜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72-48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수업변화 경험과 사기 열의, 학교 풍토가 어떻게 매개 조절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에 경기도의 197개 중학교 3학년 학생 표집과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된 경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등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사기 열의라는 개인 수준의 변수가 조절하는지에 대해 조건부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학교풍토 유형 간에 조절된 매개효과가 상이할 수 있다고 보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학교 풍토를 보수적, 허용적, 혁신적 풍토로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로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수업변화 경험이 매개하는 효과는 혁신풍토 학교에서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의 사기 열의가 조절하는 효과는 허용적 및 혁신적 풍토에서만 발견되었다. 끝으로 교사의 사기 열의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는 허용적 풍토에서보다 혁신적 풍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장애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on the Externalizing Behaviors of Child with Disability :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hild's Effortful Control through Defense Style of Mother and Child)

  • 이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50-563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외현화된 문제행동이 어머니와 아동의 심리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물임을 인식하고, 이의 체계적 인과구조와 다차원적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외현화 행동의 감소를 통한 장애아동 및 장애아동 가족의 순적한 정상화과정(normalization process)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동 및 어머니 1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외현화 행동 간 관계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매개변인으로,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을 조절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조건부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은 아동의 외현화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이에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전제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행동지원 등의 효과적 전략 기틀 위에 과보호 행동변화를 위한 직접적 전략, 아동의 의도적 통제성향과의 병행전략, 어머니의 대처전략 적용을 통한 차선적 전략 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직업 스트레스와 전문적 가치가 제품 디자이너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조절된 매개모형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Professional Value on Happiness of Product Designer: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Grit)

  • 유리사;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69-79
    • /
    • 2023
  • 본 연구는 직업스트레스가 직업적 가치를 경유하여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그릿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중국 제품디자이너의 행복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중국 남부 광둥성에 살고 있는 의도적으로 표집한 335명의 중국 제품 디자이너를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 Win. Ver. 26.0과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였다. 적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스트레스는 직업가치 및 그릿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행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를 제외한 다른 변수들 간에는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M-SD, M, M+SD일 M+SD일때 조건부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릿의 조절된 매개역할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직업적 가치가 높아질수록 그릿은 행복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으나, 직무스트레스->직업적 가치->행복의 경로에서는 그릿이 직업적 스트레스를 통해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시키지 못했다. 직업적 가치와 그릿을 활용한 제품 디자이너들의 행복 증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