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ntration of nitrite

검색결과 578건 처리시간 0.024초

Lipopolysaccharide Inhibits Proliferation of the Cultur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y Stimulat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Subsequent Activation of Guanylate Cyclase

  • Choi, Hyoung-Chul;Lee, Sang-Gon;Kim, Jong-Ho;Kim, Joo-Young;Sohn, Uy-Dong;Ha, Jeoung-Hee;Lee, Kwang-Youn;Kim, Won-J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4호
    • /
    • pp.343-351
    • /
    • 200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lipopolysaccharide (LPS) and nitric oxide (NO) as a regula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proliferation. VSMC was primarily cultured from rat aorta and confirmed by the immunocytochemistry with anti-smooth muscle myosin antibody. The number of viable VSMCs were counted,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was measured to assess the degree of cell death. Concentrations of nitrite in the culture medium were measured as an indicator of NO production. LPS was introduced into the medium to induce th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 VSMC, and Western blot for iNOS protein and RT-PCR for iNOS mRN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presence of iNOS. Inhibitors of iNOS and soluble guanylate cyclase (sGC), sodium nitroprusside (SNP) and L-arginine were employed to observe the action of LPS on the iNOS-NO-cGMP signalling pathway. LPS and SNP decreased number of VSMCs and increased the nitrite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u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LDH activity. A cell permeable cGMP derivative, 8-Bromo-cGMP, decreased the number of VSMCs with no significant change in LDH activity. L-arginine, an NO substrate, alone tended to reduce cell count without affecting nitrite concentration or LDH level. Aminoguanidine, an iNOS specific inhibitor, inhibited LPS-induced reduction of cell numbers and reduced the nitrite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um. LY 83583, a guanylate cyclase inhibitor, suppressed the inhibitory actions of LPS and SNP on VSMC proliferation. LPS increased amounts of iNOS protein and iNOS mRNA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PS inhibits the VSMC proliferation via production of NO by inducing iNOS gene expression. The cGMP which is produced by subsequent activation of guanylate cyclase would be a major mediator in the inhibitory action of iNOS-NO signalling on VSMC proliferation.

  • PDF

막/생물반응기에서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한 질산화 미생물 분포특성 및 질소제거 연구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Distribution of Nitrifiers and Nitrogen Removal in Membrane Bioreactor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 임경조;김선희;김동진;차기철;유익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7-264
    • /
    • 2006
  • 침지형 막/생물반응기에 암모니움 합성폐수를 공급하여 약 350일 동안 운전하면서 질산화 특성 및 미생물의 분포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수의 암모니움 농도는 500-1000 $mgNH_4-N/L$, 질소 부하는 $1-2\;kgN/m^3{\cdot}d$로 공급하였고, 용존산소(DO)농도, 슬러지 체류시간(SRT), 온도 변화에 따른 질산화 효율, 아질산성 질소의 비율, 슬러지 농도, sludge volume index(SVI)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DO 농도, 온도, SRT 증가에 따라 암모니움 산화율은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암모니움 산화율의 감소로 MBR 내에서 free ammonia($NH_3-N$)농도가 증가할 경우 처리수에서 아질산성 질소의 비율이 높아졌다. 운전 기간 중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질산화 효율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는데, 이때 슬러지 벌킹 및 SVI 값의 증가가 동시에 수반되었다. 운전 후반부에 질산화균이 우점된 MBR에 추가로 유기물을 공급하면, SVI 값이 2배로 증가하였고 암모니움 산화율은 감소하였다. FISH 분석에서 나타난 MBR내의 미생물 분포는 암모니아 산화균의 경우 Nitrosomonas가 우점하였으나 운전 후반부로 갈수록 Nitrosospira의 비율이 Nitrosomonas와 비슷할 정도로 증가하였다. 아질산 산화균은 Nitrospira가 우점하였지만 Nitrobacter 역시 운전기간 내내 관찰되었는데, 이는 MBR 내에서 높게 유지된 아질산성 질소가 Nitrobacter의 성장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미환경청 분류 11종 상위 환경오염 페놀들의 나이트로소화 (Nitrosation of U.S. E.P.A. Classified Eleven Priority Pollutant Phenols)

  • 정용순;이성훈;모토미즈 쇼지
    • 분석과학
    • /
    • 제17권5호
    • /
    • pp.393-400
    • /
    • 2004
  • 페놀 (POH) 용액에 염산과 아질산나트륨을 가하고 이 혼합물 용액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POH의 나이트로소화 반응의 최적조건을 발견하였다. 염산과 아질산나트륨 농도, 반응온도, 그리고 반응시간 변화가 나이트로소페놀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함으로서 발견한 것이다. 결과, POH의 나이트로소화의 최적조건은 0.10 M 이상의 HCl 농도, $5.0{\times}10^{-4}{\sim}2.0{\times}10^{-3}M$ 범위의 $NO{_2}^-$ 농도, $80^{\circ}C$의 반응온도, 그리고 3시간의 반응시간이었다. POH 이외의 10종 미국환경청 분류 상위환경오염페놀들의 나이트로소화 반응도 이 조건에서 진행시켰다. 나이트로소화 반응을 받는 페놀은 POH, 2-클롤로페놀 (2ClPOH), 2,4-다이클롤로페놀 (24diClPOH), 2,4-다이메틸페놀(24diMPOH), 4-클롤로-3-메틸페놀 (4Cl3MPOH), 그리고 적은 양의 2-나이트로페놀 (2NPOH)이었다. 산성 용액에서 나이트로소화된 페놀이나 되지 않은 페놀 여러 종의 최대흡광파장(${\lambda}_{max}$)은 300 nm 부근이었고, 염기성 용액에서는 2,4,6-트리클롤로페놀 (246triClPOH)과 펜타클롤로페놀 (pentaClPOH)을 제외하고, 그 외 모든 페놀들의 ${\lambda}_{max}$는 400 nm부근이었다. 염기성 용액에서 나이트로소화된 POH 및 그 유도체들의 400 nm에서의 몰흡광계수 (${\varepsilon}$)는 이들의 산성 용액 300 nm에서의 ${\varepsilon}$보다 1.5~2.0배 정도였다. 모세관-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Capillary-HPLC)의 크로마토그램에 의하여 반응용액 중 $NO{_2}^-$ 농도가 0.003 M 이상일 때는 과량의 $NO{_2}^-$가 나이트로소 페놀의 생성을 방해함도 발견하였다.

수온별 아질산 급성 노출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의 영향 (Effects of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plasma component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acute nitrite exposure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 홍수민;조아현;김다은;박연숙;이혜성;전유현;김석렬;김대희;강예재;김준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1-212
    • /
    • 2021
  •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ight 110.9±17.1 g, length 22.3±1.2 cm) were exposed to waterborne nitrite at 0, 30, 60, 120, 240, 480 and 960 mg NO2-/L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at 20℃ and 25℃ for 96 hours. The lethal concentration 50 (LC50) of olive flounder, P. olivaceus exposed to waterborne nitrite was 513.87 mg NO2-/L at 20℃ and 208.35 mg NO2-/L at 25℃, which mean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C50 by the water temperature.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waterborne nitrite exposure. The inorganic component, plasma calci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organic components such as plasma glucose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showing a similar tendency with calcium. In enzymatic components, the AST and ALP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by nitrite expo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xposure to nitrite can affect the survival and hematological physiology of P. olivaceus, and the effect of exposure to nitri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itrite toxicity depending on the water temperature.

재래(在來) 간장덧 숙성중(熟成中) 식염농도(食鹽濃度)와 Nitrate함량(含量)에 따른 Nitrosamine 관련물질(關聯物質)의 변화(變化) (Changes of Nitrosamine-Related-Compounds by Salt Concentration and Nitrate Content during the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 김미성;고무석;권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9-338
    • /
    • 1985
  • 재래식(在來式) 간장에서 발암성(發癌性) 화합물(化合物)인 nitrosamine의 생성가능성의 규명(糾明)을 위한 연구(硏究)의 일환(一環)으로 식염농도(食鹽濃度)와 $NO_3-N$의 함량(含量)에 따른 nitrosamine의 전구물질(前驅物質)인 $NO_3-N$와 dimethylamine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덧의 효효(酵酵)는 용수중(用水中) $NO_3-N$의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식염농도(食鹽濃度)가 낮을수록 비정상적(非正常的)이었다. 2. 식염농도(食鹽濃度)가 높을수록 $NO_3-N$의 환원(還元)과 $NO_2-N$의 생성(生成)은 지연되었으나 용수(用水)의 $NO_3-N$ 함량(含量)의 고저(高低)에는 관계없이 장기간 $NO_2-N$가 잔존(殘存)하였다. 3. Ascorbic acid의 첨가(添加)는 $NO_3-N$의 환원(還元)을, $NO_2-N$의 생성(生成)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하였다. 4. Dimethylamine의 함량(含量)은 용수중(用水中) $NO_3-N$의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5. NDMA는 $0{\sim}261.34\;ppb$가 검출(檢出)되었다.

  • PD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oots Extracts from Calystegia japonica

  • Lee, Yang-Suk;Choi, Bok-Dong;Joo, Eun-Young;Kim, Nam-W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5-342
    • /
    • 2009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Calystegia japonica roots for making good use of their functional materials. The roots of C.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water (WE), ethanol (EE) and hot water (HWE) by different methods. Among these extracts, the highest extracting yield was 30.30% of HWE, while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ere 40.85% and 6.40% of WE, respectively.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ranged from 31.31% (HWE) to 37.46% (EE) at pH 1.2 and 1.0 mg/ml concentration. In the measurements of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E showed the highest effect as 91.83% at 0.3 mg/ml assay concentration, an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decreased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the results of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HWE showed the highest effect as 7.15% at 1.0 mg/ml.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WE and EE were 15.28% and 14.97%, respectively.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were ranged from 97.50 to 99.28% at 1.0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 japonica extract has a good antioxidant effects and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 PDF

Antioxidant Activities of Mulberry (Morus alba L.) Leaf Extrac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OH

  • Kim, Bum-Keun;Park, Kee-Jai;Lim, Jeong-Ho;Jeong, Jin-Wo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76-1480
    • /
    • 2009
  • Antioxidant activities of mulberry leaf extrac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OH were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extract from 70% EtOH were the highest. Extracts obtained from EtOH-water mixtur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er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than other treatment (p<0.05).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was the greatest at 50% EtOH concentration (p<0.05). The extracts from 30-70% EtOH exhibited higher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value than rest of the concentration (p<0.05). In case of nitrite scavenging activity, much higher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when the extraction was performed with EtOH or EtOH-water mixture (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centration of EtOH as extraction solvents can affec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f, which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optimal solvent conditions for the extraction.

수은에 의한 EMT-6 세포의 $NO_2^-$ 및 ATP 생성 ($NO_2^-$ and ATP synthesis in the EMT-6 cell stimulated by mercury chloride)

  • 오경재;고대하;염정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495-505
    • /
    • 1996
  • 수은이 세포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와 그 기전을 밝히기 위해 cytokine-EMT-6 cell-NO 모형에 대조군에는 수은을 첨가하지 않았고 나머지 실험군에는 $0.05-0.8{\mu}M$의 mercury chloride를 처리하였다. 그리고 배양시간별, 수은농도별로 세포생존율, 세포성 면역의 지표인 NO를 nitrite로 간접정량하고 대사과정에 필수 에너지요소인 nitrite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EMT-6세포의 세포생존율은 대조군과 36시간째 $0.8{\mu}M(89.50%)$을 제외한 모든 수은첨가군에서 모두 90%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배양시간 및 첨가한 수은농도별 군간 차이는 없었고 모든 수은첨가군과에서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2. 수은에 노출된 EMT-6 세포의 nitrite 생성량 및 ATP생성량은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nitrite 생성량과 ATP 생성량은 첨가한 수은농도의 변화에 따라 각 군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시간경과의 영향을 보정한 상태에서도 첨가한 수은농도의 변화에 따라 각 군간 차이는 모두 현저하게 나타났다. 한편, Nitrite 생성량과 ATP 생성량은 둘 다 수은첨가군 모두에서 대조군의 값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첨가된 수은농도와 nitrite 생성량 및 ATP 생성량 사이에는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어 수은농도의 증가에 따라 용량-반응의 관계(dose-dependent)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배양조건에 수은의 첨가로 인하여 nitrite 생성량과 ATP 생성량이 동시에 감소하는 바, 수은에 의한 세포성 면역의 저하는 면역세포의 NO 생성량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수은이 세포내 에너지생산에 관련된 대사과정을 억제시키므로 나타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 PDF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항돌연변이 효과 (Nitrite-scavenging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 심기환;배영일;정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2-96
    • /
    • 2002
  • 비파 부위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출용매 중 활성이 높게 나타난 메탄올 추출물을 비극성∼극성 용매별로 계통분획한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잎은 80%, 씨를 제거한 과실 81%, 과피 73% 및 종자 63%로 아질산염 소거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과 씨를 제거한 과실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각각 53.1%, 48.3%로 높게 나타났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잎과 씨를 제거한 과실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5 mg과 5.0 mg 첨가시 각각 65.5%, 71.2%와 63.4%, 69.2%로 분획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돌연변이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자소엽 추출물 첨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Emulsion Sausages with Added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ed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 이선민;조경;정사무엘
    • 동물자원연구
    • /
    • 제30권2호
    • /
    • pp.69-78
    • /
    • 2019
  • 본 연구는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자소엽 추출물이 첨가된 소시지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자소엽 추출물에 대기압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7.5g kg-1의 아질산 이온이 함유된 자소엽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아질산염(Control), 셀러리 분말(Celery) 및 자소엽 추출물 분말(PTP)를 이용 아질산 이온이 70mg kg-1첨가된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소시지의 잔존 아질산 이온 함량 측정결과 PTP에서 저장 21일 동안 잔존 아질산 이온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Control 및 Celery와 비교하여 PTP에서 저장 중 총 호기성 미생물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소시지의 저장 중 malondialdehyde 함량은 PTP에서 Control 및 Celery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음이 확인되었다(p<0.05). 소시지의 육색 측정 결과 모든 저장일차에서 PTP가 낮은 L* 값과 높은 b*값을 보였다(p<0.05). 이로 인해 소시지의 관능평가에서 PTP가 Control 및 Celery와 비교하여 낮은 육색 선호도를 보였으며, 풍미 또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자소엽 분말은 천연 아질산 소재로서 염지식육 가공식품 제조에 이용이 적합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천연물 추출물에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아질산 이온을 생성하여 천연 아질산 소재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염지 식육 가공식품의 관능적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천연물을 탐색하고 이를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천연 아질산 소재로 개발하면 합성 아질산염 대체가 가능한 천연 아질산 소재로서 육가공품의 염지 공정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