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ntration juice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28초

Polygalacturonase와 젤라틴을 병용한 과실쥬스의 청징화 (Clarification of Fruit Juice by the Use of Polygalacturonase and Gelatin)

  • 허병석;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67-373
    • /
    • 1989
  • 과실 쥬스에 대한 polygalacturonase의 청징에서 gelatin 농도, 과실쥬스 pH 등의 영향을 알기 위한 연구 결과 polygalacturonase를 사용한 청징에 적당량의 gelatin을 첨가하면 효과가 큰데, 쯔가루 사과 쥬스 및 Campbell Early 포도 쥬스는 0.04%, 골드 딜리셔스 사과 쥬스 0.02%, 마그놀리아 골드 및 홍옥 사과 쥬스 0.01%, 조나골드 사과 쥬스는 0.06%가 각각 gelatin 최적 첨가 농도였다. Polygalacturonase의 pectic acid 분해 최적 pH는 4.8이나 polygalacturonase와 gelatin을 병용한 청징 최적 pH는 $3.2{\sim}3.5$였으며, gelatin 농도에 따라 청징도는 큰 차이를 보이나 점도는 별차이가 없었다. 0.01mg/ml의 polygalacturonase 농도로써 $45^{\circ}C$에서 반응시키면, 과실의 종류 및 품종에 관계없이 60분에도 잘 청징되지 않았으나, 조나 골드 사과 쥬스는 gelatin 0.06% 첨가로 30분 정도, 마그놀리아 골드 및 홍옥 사과 쥬스는 0.01% 첨가로 각각 30분, 60분 정도, 쯔가루 사과 쥬스 및 Campbell Early 포도 쥬스는 0.04% 로 첨가로 40분 정도, 골든 딜리셔스 사과 쥬스는 0.02%첨가로 40분 정도에서 각각 완전히 청징되었다.

  • PDF

칼슘을 첨가한 어린이용 포도편의 제조 및 품질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Calcium Added Grape Jelly Developed for Children)

  • 정혜경;장영은;송은승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61-565
    • /
    • 1997
  •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the standard recipe for nutritious cowpea starch based grape jelly. The effects of grape juice concentration (4, 8, 12%) and 0.2% calcium addition were evaluated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rape jelly through the instrumental analysis using rheometer and sensory evaluation.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that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grape jelly was incerased significantly In jelly made of higher concentration of grape juice, and also in 0.2% calcium containing jelly.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higher grape juice contains jelly showed advantages in preference of color and overall quality. Calcium addition increased sourness in sensory score. Overall, 12% grape juice and 0.2% calcium containing jelly was most preferable, which means calcium fortified cowpea starch based grape jelly was successful try for nutritious and practical food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 PDF

양파농축액에 대한 일부 항갈색화제의 효과 (Effects of some Antibrowning Agent on Onion Juice Concentrate)

  • 손종연;손흥수;조원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29-534
    • /
    • 1996
  • Using cystine, ascorbic acid and citric acid, retarding and synergistic effect on the browning reaction of onion juice concentrate was evaluated. Cysteine retarded the browning reaction most effectively followed by citric acid ; on the contrary, ascorbic acid accelerated rather than retarded the rea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0.1%. The retarding effect of cysteine increased abruptly up to concentration of 0.3% and remained unchanged. Citric acid acted more effectively than ascorbic acid in terms of synergism. The browning reaction of onion juice concentrate exhibited activation energies of 62J/mol with cysteine and citric acid as compared to 73J/mol for control. $Q_{10}$ was determined to be 2.52 and 2.38 for control, 2.2 and 2.09 for treatment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0~4$0^{\circ}C$ and 40~5$0^{\circ}C$, respectively.

  • PDF

캔 오렌지쥬스의 중금속 함량 및 개봉 저장 중의 변화 (Heavy Metal Content and its Change in Open Storage of Canned Orange Juice)

  • 이혜선;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5-170
    • /
    • 1993
  •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캔 오렌지 쥬스의 중금속(Pb, Sn) 함량과 쥬스의 개봉 저장중 이들 중금속의 함량변화를 습식 분해 후 추출과정을 거쳐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오렌지 쥬스 53개 시료중 중금속의 평균농도는 Pb 0.225 mg/kg, Sn 40.7 mg/kg이었다. 쥬스의 유통기간 경과에 따라 Pb 농도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Sn 농도는 한달이 경과할 때마다 평균 0.66 mg/kg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봉한 시료를 그대로 실온과 냉장고에 보관한 결과 Pb 농도는 7일 경과 후에 저장 전의 $1.7{\sim}1.8$배로 증가하였고 Sn 농도는 1일 평균 20%씩 증가하여 7일 경과 후에 저장 전의 악 3배로 증가하였다. 또한 개봉한 시료를 유리 용기에 옮겨 담아 실온과 냉장고에 보관한 결과 Pb와 Sn 농도는 저장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보아 유통되고 있는 캔 오렌지 쥬스는 권장 유통기한 이내의 제품에서도 Pb 함량이 법적 기준을 초과하는 빈도가 18%나 되므로 생산 공정 또는 유통 기간 중의 규제용 검색을 강화해야 될 것이며 캔 오렌지 쥬스를 개봉한 후에는 Pb나 Sn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므로 사용상의 주의를 필요로 한다.

  • PDF

Sodium metabisulfite와 adipic acid가 마늘 농축액의 저장 중 갈변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dipic Acid on Browning of Garlic Juice Concentrate during Storage)

  • 배수경;김미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3-80
    • /
    • 2002
  • 마늘즙을 9$0^{\circ}C$에서 가열, 45$^{\circ}C$에서 감압 가열, -5$0^{\circ}C$에서 동결 농축하여 마늘 농축액을 제조하였고 이 때 농축 전후로 1% adipic acid와 1%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하였다. 제조된 마늘 농축액을 4$^{\circ}C$$25^{\circ}C$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이들의 갈변도및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adipic acid나 sodium metabisulfite가 첨가된 마늘 농축액이 무첨가 마늘 농축액에 비해 갈변이 억제되었으며 adipic acid 보다는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농축액에서 갈변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첨가물의 첨가시기에 따른 효과를 보면 9$0^{\circ}C$ 가열 농축액에서는 농축 후에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것이 가장 갈변이 억제되었으며, 45$^{\circ}C$에서 감압 가열 농축액과 -5$0^{\circ}C$ 동결농축액에서는 농축 전에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농축액에서 갈변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5$0^{\circ}C$ 동결농축액은 저장동안 무첨가액의 갈변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갈변억제제의 사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9$0^{\circ}C$ 가열 마늘 농축액의 저장 중 색도 변화에서는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농축액의 L값이 adipic acid 첨가액보다 높고 a값과 b값은 낮아 갈변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45$^{\circ}C$에서 감압 가열 농축액과 -5$0^{\circ}C$ 동결농축액에서도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농축액의 a값과 b값이 adipic acid를 첨가한 농축액보다 낮아 갈변억제에 sodium metabisulfite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지 케일 및 Sodium Dextrothyroxine 이 고콜레스테롤 혈증 흰쥐의 Hormone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1. 혈청중 Triiodothyronine Thyroxine 혈당 농도 및 지질 성분 (Effects of Water Soluble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Kale Juice and Sodium Dextrothyroxine on Hormone and Lipid Metabolism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2. Concentrations of Triiodothyronine Thyroxine Blood Sugar and Lipid Composition in Serum)

  • 정승용;김성희;김한수;강진순;정효숙;김군자;김행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81-386
    • /
    • 1990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ater soluble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kale juice and soidium dextrothyroxine on lipid components in serum of hypercholesterolmemic rats in vivo in order to prevent in cardiovascular diseas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eeding cholesterol die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eeding cholesterol die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were lower in Ganoderma lucidum kale juice and sodium dextrothyrioxine diet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Ratio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st in sodium dextrothyroxine fed groups among diet groups and were higher in Ganodrma lucidum and kale juice fe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Phospholipid concentrations in seur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anoderma lucidum kale juice and sodium dextrothyroxine(1.25mg/kg diet) fed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Ganderma lucidum sodium dextrothyroxine fed groups than in other groups. Triiodothyronine concentration in serum were lower in Ganoerma lucdum and kale juice fed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while it was higher in sodium dextrothyroxine diet group than in other groups. Tetraiodothyronine concentrations is serum were remakably higher in sodium dextrothyroxine fed group than in other groups. Blood glucose concentration was lower in cholesterol diet group than in other groups but was higher in sodium dextrothyroxine diet group than in other groups.

  • PDF

멸치볶음의 조리방법에 따른 Nε-(carboxymethyl)lysine 함량 변화 (Determination of Nε-(carboxymethyl)lysine in Stir-fried Anchovy Under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 전현진;박호영;이상훈;김윤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81-486
    • /
    • 2017
  • The content of $N^{\varepsilon}$-(carboxymethyl)lysine (CML), an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 in stir-fried anchovy prepared under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was determined, along with their sensory properti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optimize cooking conditions of stir-fried anchovy for minimal CML production by using different sugars, sugar concentrations, pH levels, and cooking times. The results showed that CML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sugar concentration. Cooking time did not affect CML content but lowering the pH with lemon juice decreased it significantly. The CML content of samples with a high sugar concentration, and without lemon juice was $4.67{\mu}g/mL$, and that of samples with both a low sugar concentration and lemon juice was $2.49{\mu}g/mL$, indicating a 47% reduction in the CML content of sir-fried anchovy. We conclude that stir-fried anchovy cooked with less sugar and the addition of lemon juice can reduce CML content while maintaining sensory characteristics.

흰쥐에서 내측 편도체가 위산 분비와 혈장 Gastrin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al Amygdala on Gastric Acid Secretion and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in Conscious Rats)

  • 윤신희;김정진;김명석;조양혁;한상준;김미혜;최현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1호
    • /
    • pp.119-127
    • /
    • 198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al amygdala on the gastric acid secretion and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in the rats with chronic gastric fistula. After the medial nucleus of amygdala was damaged bilaterally by radiofrequency a. c. through stereotaxically inserted electrodes, the gastric juice was collected in the basal and histamine-stimulated states for 1 hour. The gastric juice was also collected while the medial nucleus of amygdala was stimulated with biphasic square wave in the both states. After the collection of the gastric juice,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the abdominal aorta for the radioimmunoassay of plasma gastr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amage of the medial amygdal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gastric juice volume and the acid output in the histamine-stimulated state. 2)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astric juice volume and the acid output in the histamine-stimulated state, and the acid output in the basal state. 3) The damage of the medial amygdal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but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a did not affect the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medial amygdala has a facilitatory influence on the histamine-stimulated gastric acid secretion in rats, and the influence may not be attributed to gastrin release.

  • PDF

유동 초고압 공정을 이용한 딸기 주스의 미생물 안정성 향상 및 품질보존 (Preservation of Strawberry Juice by Dynamic High-Pressure Processing)

  • 원진성;김명환;한귀정;노봉수;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80-485
    • /
    • 2015
  • 딸기 주스에 단독 DHP 처리 또는 열처리와 병합된 DHP 처리를 하였을 경우 6 log CFU/mL 이상의 토착 미생물 저해를 보여 주었다. 단독 DHP 처리와 열병합된 DHP 처리는 딸기 주스의 비타민 C와 색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당도를 상승시켰고 $4^{\circ}C$ 저장 중 색도와 당도를 유지시켰다. 특히 열병합된 DHP 처리는 저장 중 일반 가열처리와 유사한 미생물 안정성을 보이면서도 가열처리 보다 높은 비타민 C 함량과 색상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DHP 처리(단독 또는 열병합)는 딸기 주스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 시키면서 미생물 저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최신 살균 공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알로에(Aloe arborescens M.)의 항진균성 검정을 통한 생물농약 가능성 탐색 (Study on Antifungal Activity of Aloe arborescens M. for a Potential Bio-Pestcide)

  • 고성욱;소인섭;허무룡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35-44
    • /
    • 2009
  • 알로에 껍질과 육질 추출물이 Collectrichum gloeosporioides, Fusarium oxysporum, and F. solani의 세 가지 식물병원균에 대한 알로에 추출물의 용매 및 농도별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용매의 종류에 따른 알로에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은 C. gloeosporioides, F. solani에 대하여 물>메탄올>에탄올의 순서로 항균활성이 높았다. 알로에 껍질과 육질추출물의 항균활성에 있어서 F. oxysporum은 껍질 추출물에서, C. gloeosporioides와 F.sloani는 육질 추출물이 활성이 높아 껍질 보다는 육질에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알로에 육질의 물 추출물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은 F. oxysporum는 $100{\mu}l/L$의 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100,000{\mu}l/L$의 농도에서 9.5%의 항균율을 보인 반면, C. gloeosporioides $100{\mu}l/L$의 농도에서 활성반응을 시작하여 $100,00{\mu}l/L$의 농도에서 최고 29.3%의 항균율을 나타내었다. F. oxysporum에 대한 알로에 육질 추출물 엽면살포 처리의 방제효과는 육질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방제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10g/L 농도 엽면살포 처리는 대조구에 비하여 62%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In vivo에서도 F. oxysporum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내어 예방차원에서의 알로에 육질 추출물 엽면살포 처리는 F. oxysporum에 의한 시들음병 방제에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