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rification of Fruit Juice by the Use of Polygalacturonase and Gelatin

Polygalacturonase와 젤라틴을 병용한 과실쥬스의 청징화

  • Hur, Byung-Su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Ze-Uoo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허병석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재욱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9.12.30

Abstract

The effect of gelatin concentration, pH of fruit juice and other factors for the enzymatic clarification of fruit juice by the use of polygalacturonase was studied. The proper addition of gelatin was much effected on clarification by polygalacturonase and optimum concentrations of gelatin for the enzymatic clarification of Zugaru juice, Magnolia Gold juice, Golden Delicious juice, Jonagold juice, Jonathan juice, Campbell Early juice were 0.04, 0.01% 0.02%, 0.06% 0.01%, and 0.04%, respectively. Optimum pH for the clarification by the use of polygalacturonase and gelatin was $3.2{\sim}3.5$ contrary to optimum pH 4.8 of polygalacturonase for the hydrolysis of pectic acid. At the reaction temperature of $45^{\circ}C$ and polygalacturonase concentration of 0.01mg/ml, fruit juices were completely clarified by optimum addition of gelatin for 60min.

과실 쥬스에 대한 polygalacturonase의 청징에서 gelatin 농도, 과실쥬스 pH 등의 영향을 알기 위한 연구 결과 polygalacturonase를 사용한 청징에 적당량의 gelatin을 첨가하면 효과가 큰데, 쯔가루 사과 쥬스 및 Campbell Early 포도 쥬스는 0.04%, 골드 딜리셔스 사과 쥬스 0.02%, 마그놀리아 골드 및 홍옥 사과 쥬스 0.01%, 조나골드 사과 쥬스는 0.06%가 각각 gelatin 최적 첨가 농도였다. Polygalacturonase의 pectic acid 분해 최적 pH는 4.8이나 polygalacturonase와 gelatin을 병용한 청징 최적 pH는 $3.2{\sim}3.5$였으며, gelatin 농도에 따라 청징도는 큰 차이를 보이나 점도는 별차이가 없었다. 0.01mg/ml의 polygalacturonase 농도로써 $45^{\circ}C$에서 반응시키면, 과실의 종류 및 품종에 관계없이 60분에도 잘 청징되지 않았으나, 조나 골드 사과 쥬스는 gelatin 0.06% 첨가로 30분 정도, 마그놀리아 골드 및 홍옥 사과 쥬스는 0.01% 첨가로 각각 30분, 60분 정도, 쯔가루 사과 쥬스 및 Campbell Early 포도 쥬스는 0.04% 로 첨가로 40분 정도, 골든 딜리셔스 사과 쥬스는 0.02%첨가로 40분 정도에서 각각 완전히 청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