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hensivenes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5초

YouTube as a source of patient education information for elbow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a quality control content analysis

  • Yu, Jonathan S;Manzi, Joseph E;Apostolakos, John M;Carr II, James B;Dines, Joshua S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2호
    • /
    • pp.145-153
    • /
    • 2022
  • Background: While online orthopedic resources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avenue for patient education, videos on YouTube are not subject to peer review.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YouTube videos for patient education in ulnar collateral ligament (UCL) injuries of the elbow. Methods: A search of keywords for UCL injury was conducted through the YouTube search engine. Each video was categorized by source and content. Video quality, reliability, and accuracy were assessed by two independent raters using five metrics: (1)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AMA) benchmark criteria (range 0-4) for video reliability; (2) modified DISCERN score (range 1-5) for video reliability; (3) Global Quality Score (GQS; range 1-5) for video quality; (4) ulnar collateral ligament-specific score (UCL-SS; range 0-16), a novel score for comprehensiveness of health information presented; and (5) accuracy score (AS; range 1-3) for accuracy. Results: Video content was comprised predominantly of disease-specific information (52%) and surgical technique (33%). The most common video sources were physician (42%) and commercial (23%). The mean JAMA score, modified DISCERN score, GQS, UCL-SS, and AS were 1.8, 2.4, 1.9, 5.3, and 2.7 respectively. Conclusions: Overall, YouTube is not a reliable or high-quality source for patients seeking information regarding UCL injuries, especially with videos uploaded by non-physician sources. The multiplicity of low quality, low reliability, and irrelevant videos can create a cumbersome and even inaccurate learning experience for patients.

Factors Associated With Failure of Health System Refor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 Mahboubeh Bayat;Tahereh Kashkalani;Mahmoud Khodadost;Azad Shokri;Hamed Fattahi;Faeze Ghasemi Seproo;Fatemeh Younesi;Roghayeh Khalilnezhad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2호
    • /
    • pp.128-144
    • /
    • 2023
  • Objectives: The health system reform process is highly political and controversial, and in most cases, it fails to realize its intended go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nthesize factors underlying the failure of health system reforms. Methods: In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we searched 9 international and regional databases to identify qualitative and mixed-methods studies published up to December 2019. Using thematic synthesis, we analyzed the data. We utilized the Standards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hecklist for quality assessment. Results: After application of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40 of 1837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content analysis. The identified factors were organized into 7 main themes and 32 sub-themes. The main themes included: (1) reforms initiators' attitudes and knowledge; (2) weakness of political support; (3) lack of interest group support; (4) insufficient comprehensiveness of the reform; (5) problem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reform; (6) harmful consequences of reform implementation; and (7)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society in which the reform takes place. Conclusions: Health system reform is a deep and extensive process, and shortcomings and weaknesses in each step have overcome health reform attempts in many countries. Awareness of these failure factors and appropriate responses to these issues can help policymakers properly plan and implement future reform programs and achieve the ultimate goals of reform: to improv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health services and the health of society.

챗봇 활용 핵심광물 탐구에서 나타난 학생과 생성형 인공지능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Critical Mineral Inquiry Using Chatbots)

  • 정수임;김정찬;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75-692
    • /
    • 2023
  • This study used a Chatbot, a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atbot and students when exploring critical minerals from an epistemological aspect. The results, issues to be kept in min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using AI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ole of the teacher, the goals of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three-session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a Chatbot for 19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reports written by the students. As a result, in terms of form, the students' questions included search-type questions and non-search-type questions, and in terms of content, in addition to various questions ask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there were also questions requiring a judgment by combining various data. In general, students had a questioning strategy that distinguished what they should aim for and what they should avoid. The Chatbot's answer had a certain form and consisted of three parts: an introduction, a body, and a conclusion. In particular, the conclusion included commentary or opinions with opinions on the content, and in this, value judgm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were reveal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atbot and the student was clearly evident in the process in which the student organized questions in response to the Chatbot's answer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based on the answer, independent or derived questions appeared, an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mprehensiveness and specificity, superordinate, subordinate, or parallel questions appeared. Students also responded to the chatbot's answers with questions that included critical thinking skill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overed that there are inherent limitations between Chatbots and students, unlike general classe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interact. In other words, there is 'limited interaction' and the teacher's role to complement this was discussed, and the goals of learning using AI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they provide were also discussed.

A review on the risk, prevention and control of cooling water intake blockage in coastal nuclear power plants

  • Heshan Lin;Shuyi Zhang;Ranran Cao;Shihao Yu;Wei Bai;Rongyong Zhang;Jia Yang;Li Dai;Jianxin Chen;Yu Zhang;Hongni Xu;Kun Liu;Xinke Zh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2호
    • /
    • pp.389-401
    • /
    • 2024
  • In recent decades, numerous instances of blockages have been reported in coastal nuclear power plants globally, leading to se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power reduction, manual or automatic power loss, or shutdown of nuclear power units. Loss or shortage of cooling water may compromise the reliability of the cooling water system, thus threatening the operational safety of power plants and resulting in revenue reduction.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urrent state of cooling water system safety in coastal nuclear power plants worldwide and the common challenges they face, as well as the relevant research on cooling water system safety issues. The research overview and progress in investigation methods, outbreak mechanisms,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and practical cases of blockages were summarized. Despite existing research, there are still many shortcomings regarding the pertinence, comprehensiveness and prospects of related research, and many problems urgently need to be solved. The most fundamental concern involves understanding the list of potential risks of blockages and their spatially distributed effects in surrounding waters. Furthermore, knowledge of the biological cycles and ecological habits of key organisms is essential for implementing risk prevention and control and for building a scientific and effective monitoring system.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 모형의 타당화 (Validation of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Procedures Developing Models Recognized 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Experts)

  • 김동연;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4-86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NCS 국내 외 관련 선행 및 문헌 연구 고찰, 전문가의 심층 면담(검토 자문) 내용과 델파이 예비 조사를 거친 결과를 토대로 델파이 연구를 3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 모형의 타당화에 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개념적 모형(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델파이 예비 조사 도구 검증 위원 10명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전체 평균이 4.70 이상이고 내용 타당도는 모두 1.00으로 매우 타당하게 나타났다. 둘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 모형(안)에 대한 타당성을 델파이 예비 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델파이 예비 조사 도구 검증 위원 1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검증한 결과, 개발 절차 모형(안)의 영역별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가 모두 1.00이고 내용의 구성 요소에 대한 내용 타당도 또한 모두 1.00으로 매우 타당하였다. 그리고 개발 절차 모형(안)의 구성 요소 간 상호 연계성과 통합성에 대한 내용 타당도도 모두 1.00으로 조건을 만족하는 매우 타당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델파이 패널 위원 26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본 조사를 제1, 2, 3 라운드별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개발 절차 모형(안)의 영역별 문항, 내용의 구성 요소, 구성 요소 간 상호 연계성과 통합성에 대한 제1, 2, 3 라운드의 합의도가 모두 .75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타당하였다. 여기서 제3 라운드의 합의도가 전체 1.00이며 수렴도 역시 모두 .00으로 조건을 만족하는 매우 타당한 결과(29개 문항 중 1개 문항 제외)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제3 라운드 델파이 조사 연구에서 델파이 패널 위원들의 의견이 완전하게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당초 델파이 패널 선정 기준을 엄격하게 강화한 결과이며, 동시에 델파이 패널 위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대학간호교육목표의 시안개발 (Development of the Tentative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e Nursing College)

  • 이화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2-45
    • /
    • 1995
  • This thesis is a study to develop the tentative objectives and present the professional and courses for the nursing college. The conclusions conducted by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of the nursing and the view-points of nursing education, the tentative goals for the nursing education are set up as follows. 1. To understand human being's life, dignity and their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2.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and the principles of human scienc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To apply their knowledges to nursing practices. 3. To diagnose and assess the problems of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in terms of nursing practice. To develop the ability of planning, negotia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for the nursing education. 4. To develop appropriate knowlege, attitudes, and skills to promote the clients' health and treat their illness. 5. To accomplish all tasks effectively as a trained and qualified professional nurse through the endless studies. Second, the nursing areas and courses for the nursing college in terms of validity, Importance, continuity, relationship, utility and appropriateness are listed as follows. 1. Fundamental courses of the nursing. (1) General courses communication human development, behavior science, biochemistry, microbiology, pharmacology (2) Medical courses physiology, anatomy, pathology 2. Basic courses in nursing (1) General nursing fundamental nursing, introduction of nursing, nursing history, nursing process, health education, health assessment, philosophy of nursing, nursing psychology (2) Maternal-Child nursing child-health nursing, child-disease nursing, adolescent nursing, obstetric nursing, post-partum nursing, gyneco-pathy nursing (3) Adult nursing adult health nursing, adult disease nursing I(fluid & electrotonic, shock, anoxia disorder), adult disease nursing II(nutrition-excretion disorder, sexual dysfunction), adult disease nursing III(sense-, control-, activity-, sleep disorder), adult disease nursing IV(operation, rehabilitation, emergency), gerontological nursing (4) Psychiatric nursing child-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adult psychiatric nursing, gerontological psychiatric nursing, spiritual nursing (5) Community health nursing community nursing, school nursing, industrial nursing, family nursing, nursing epidemiology 3. Nursing management and research skills (1) Nursing management nursing administration, nursing ethics, laws related to nursing (2) Research skills nursing statistics,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Finally, the principles of the statement of the specific objectives are the followings : 1. To state the specific objectives on the basis of the syllabus of each courses. 2. To match a content with a verb or gerund as the basic form of objectives. 3. To control the level of the objectives according to the rule 'the higher the level of a content, the lower the level of a verb or a gerund'. This rule applies in the reverse, as well. 4. To decide the number of the objectives in each course on the basis of the numbers of the syllabus and the level of its comprehensiveness, 5. To correct, supplement or eliminate the stated objectives by a professional or professional groups in that area.

  • PDF

농촌 지역 보건소 일차의료의 질 평가 (Evaluating the Primary Care Quality of a Public Health Center in a Rural Area)

  • 변영관;최용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2권1호
    • /
    • pp.24-3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일차의료 평가 도구(KPCAT)를 이용하여 한 농촌 지역 보건소의 일차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 이 연구에서는 KPCAT 적용 및 결과 해석과 관계된 몇 가지 방법론적 이슈를 검토하였다. 농촌 보건소 진료 의사에게 4회 이상 진료받은 환자 79명이 KPCAT 설문에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 중앙값과 사분위 범위, 평균과 표준 편차로 제시하였다. 일차의료의 질은 KPCAT 총점과 영역별 점수의 중앙값과 사분위 범위로 제시하였고 최댓값과 최솟값, 기대 점수와 함께 방사형 도표로 제시하였다. KPCAT 문항별 점수와 중앙값과 사분위 범위, 기대 점수 이상 응답자 비율, 잘 모름 응답자 비율을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 농촌 지역 보건소 일차의료 질의 중앙값과 사분위 범위는 각각 45점, 16점이었다. KPCAT 영역별 점수 중앙값이 기대 점수에 이른 영역은 최초 접촉 하나였다. KPCAT 문항별 점수가 기대 점수 이상인 응답자 비율이 50% 미만인 문항은 포괄성 4문항 중 2개, 조정 기능 3문항 전부, 전인적 의료 5문항 중 2개, 가족 및 지역 사회 지향성 4문항 전부였다. 잘 모름 응답의 처리 방침 개선, 잘 모름 응답률이 높은 문항의 타당성 검토, 응답 척도의 내용과 점수의 일치 등이 방법론적 개선 과제였다. 농촌 지역 보건소 일차의료의 질은 개선할 여지가 많았다. 특히 조정 기능과 가족 및 지역 사회 지향성 영역의 개선 필요성이 두드러졌다. KPCAT의 방법론적 개선을 통하여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일차의료 평가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사회경제적 지리정보 활용 및 데이터 요구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Requirements of Socioeconomic GIS Data)

  • 남광우;김호용;이성호;이상학;하수욱;최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4-54
    • /
    • 2005
  • 지리참조된 사회경제적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하는 GIS 선진국의 경우는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경제적 분야에서 많은 이득을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형 지물 관련 데이터에 비해 사회경제적 지리정보의 구축은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는 사회경제적 데이터의 구축단계부터 활용에 이르는 과정상의 특성들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축단계에서부터 지형지물위주의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잦은 변동성의 해결이 요구되며 또한 개별 개체의 위치표현이 어려움으로 인해 적절한 공간집계단위의 설정을 통한 정보구축이 이루어진다. 데이터의 활용단계에서도 사회경제적 현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다른 사회경제적 데이터와의 잦은 결합이 요구되는 특성 등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사회경제적 분야의 GIS 선진사례 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분야에서의 GIS 활용의 유용성 및 사회경제적 정보의 공간적 차원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 구축단계 및 활용단계에서 나타나는 사회경제적 지리정보의 데이터 요구조건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해결방안과 함께 제시하였다.

  • PDF

치과용 스캐너 평가를 위한 국제표준모델의 재료 및 표면 상태에 따른 스캔 영상 결과물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of scanned images from varying materials and surface conditions of standardized model for dental scanner evaluation)

  • 박주희;설정환;이준재;이승표;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2호
    • /
    • pp.104-11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구강스캐너를 사용하여 구강스캐너 정확도 평가를 위해 국제표준이 제안하고 있는 모형의 스캔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표준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ISO12836과 ANSI/ADA no.132에서 규정하는 국제표준을 참고하여 3D 프린터기를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모델스캐너와 두 가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을 하였다. 스캔이미지 획득 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여 스캐너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모델 표면의 상태에 따른 이미지 획득 능력도 비교하였다. 결과: 모델 스캐너가 모든 모델에서 가장 우수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으며 TRIOS3는 둥근 형태의 구조물, CS3500은 각진 형태의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 재현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표준 모델의 표면상태에 따른 스캔이미지 재현에서는 초경석고 모델이 스캐너 종류와 관계없이 가장 우수하였다. 3D 프린팅 모델의 경우, 표면에 파우더 처리를 한 모델에서 가장 우수한 스캔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ISO12836과 ANSI/ADA 132의 표준모델의 경우, 구강스캐너의 field of view (FOV)를 벗어나는 구조물을 스캔할 때 서로 다른 면인 것을 구분하는 기준점이 존재하지 않게 되면 연속적인 스캔 및 정합과정에서 정확한 이미지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단순한 패턴의 반복과 대칭구조를 가지지 않는 새로운 표준모델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정보화 투자 사전평가방법론: Best practice 평가기법 및 적용사례의 통합 (Ex Ante Evaluation Methodology for IT Investment Decision Making: Integrating the Current Best Practice Methods and Applications)

  • 이국희;박소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35-16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무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구체적, 실용적 정보화 투자 사전평가방법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시점에서 Best practice로 인식되고 있는 4개 조직의 사전평가 제도, 방법론, 수행사례를 벤치마킹하고, 그 프로세스, 지표, 측정기법을 통합하여 일관성있는 방법론 체계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택한 Best practice 사례는 각각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서비스 분야와 제조 분야, 평가체계와 개별 평가사례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사전평가방법론은 크게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 투자계획 타당성 분석에서는 제안된 정보화 계획 자체의 타당성을 사업계획 충실성, 추진의지, 투자비용 적정성, 중복투자, 조달가능성, 리스크 등의 관점에서 판단한다. 그리고 2단계에서는 정보화가 창출하는 효과의 타당성을 경제적, 전략적, 기술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3단계에서는 다양한 관점의 평가결과를 정량적으로 종합 평점화한다. 이 방법론은 Best practice사례가 축적한 수년간의 노하우와 검증된 가이드라인을 담고 있으며, 특히 리스크 분석, 화폐가치 산출, 종합평점 산출을 위한 정량화 기법은 여러 기업의 사전평가 담당자에게 유용한 참조모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그 동안 여러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제기해 오던 문의와 요청에 대한 일괄적 대응으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