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sition and decomposition of numb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우리나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지도 내용 검토 - 짝수.홀수, 수의 합성.분해, 받아올림.받아내림이 있는 계산 - (A review on teaching contents in area of Korean math textbook for first grade - even and odd number, composition and decomposition of numbers, calculation with carrying or with borrowing -)

  • 이승은;최경아;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짝수와 홀수, 수의 합성과 분해,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각각 있는 (몇)+(몇), (십 몇)-(몇)과 관련된 지도 내용의 개선을 위해 ${\ll}$수학 1-1${\gg}$, ${\ll}$수학 1-2${\gg}$에서의 해당 지도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짝수와 홀수의 정의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또, ${\ll}$수학 1-1${\gg}$에서 짝수와 홀수를 취급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20 이하의 수의 합성 분해를 취급할 필요가 있다. 즉, 10을 기준으로 하여 '10과 (몇)으로 (십 몇)', '(십 몇)으로 10과 (몇)'이라는 합성 분해의 취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10의 합성 분해를 (십 몇)의 합성 분해보다 먼저 취급하는 지도 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계산 과정에서의 논리적 비약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즉, 받아올림이 있는 (몇)+(몇)과 받아내림이 있는 (십 몇)-(몇)의 계산에서 10을 기준으로 하여 '10과 (몇)으로 (십 몇)', '(십 몇)으로 10과 (몇)'이라는 수의 합성 분해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필산 형식의 지도에서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비교 연구: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s First Grade Math Textbooks: centered on Area )

  • 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35-24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을 비교하고 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개선을 위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자리 수의 구성을 설명할 때 먼저 구체물로 나타낸 것을 수학적 표현으로 바꾸고, 그 다음에 그것을 수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의 합성과 분해와 관련하여, '(몇)과 (몇)'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등호가 있는 덧셈식과 뺄셈식을 읽을 때, 각각 '합'과 '차'를 사용하여 읽는 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첨가 상황과 합병 상황, 제거 상황과 비교 상황을 각각 구별해 주는 표현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받아내림이 있는 (십 몇)-(몇)을 설명하기 위해 두 수의 뺄셈을 세 수의 뺄셈 또는 세 수의 혼합산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약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 싱가포르, 미국, 일본의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덧셈과 뺄셈 도입에 대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roducing Addition and Subtraction in the Korean, Singaporean, American, and Japanese Elementary Textbooks)

  • 방정숙;김리나;김소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29-252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싱가포르, 미국, 일본의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모으기와 가르기, 덧셈 및 뺄셈의 도입 단원을 비교하고 분석한 것이다. 분석의 초점은 시각적 모델 및 제시된 문제 상황과의 연결성, 언어적 표현 및 시각적 모델과의 연결성, 관계적 이해 및 추가 활동이다. 분석 결과, 교과서에 따라 문제 상황, 시각적 모델, 언어적 표현이 다르게 구현됨에 따라 연결성도 다르게 나타났다. 각 교과서는 문제 상황의 제시 방법과 순서에서 차이가 있었고, 시각적 모델 측면에서도 하나의 모델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다양한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언어적 표현 측면에서는 각 교과서 마다 다른 특징이 있었으며, 관계적 이해 측면에서는 모든 교과서가 등호 양변의 값이 같다는 것을 강조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덧셈과 뺄셈 도입과 관련된 문제 상황, 시각적 모델의 활용, 언어적 표현 방안 등 후속 교과서의 단원 개발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Soil Oribatid Mite (Acari Settling in the Forest Litter in the Different Microenvironments in Mt. Jumbong, Korea

  • Kang, Banghun;Lee, Joon-Ho;Park, Seong-Si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4호
    • /
    • pp.233-237
    • /
    • 2001
  • Changes of the oribatid mite species composition during the litter decomposition was investigated in the north-facing and south-facing slopes with different lower vegetation (annual herbaceous plants in north and perennial Sasa in south) in the altitude 1,000 m of Mt. Jumbong, a nature reserve area in Korea, from August 1994 to September 1995. Total 58 species of oribatid mites were collected. The values of O1son's negative exponential index (k) were -0.56 in the south-facing slope and -0.49 in the north-facing slop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decomposition rate of litter increased rapidly until Oct. 1994, and decreased thereafter. Intensive settlement of the forest litter by oribatid mites was recorded in the autumn periods and it decreased in the next spring and summer. Species diversity index (H'), and species evenness (J') ranged from 1.74 to 2.69, and from 0.57 to 0.93, respectively, and the values were lowest in spring. In the successive periods of growing season, there followed great changes in the structure of species dominance. Heminothrus minor was one of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autumn in the first year when litter were placed, but was never recovered next seasons. In contrast, Platynothrus yamasakii was also dominant in the first autumn, then decreased very low in numbers in next spring and summer, but regained its number in autumn. On the other hand, an increase of the number during these periods was observed by Epidamaeus sp.2. Ceratopia bipilis and Epidamaeus sp.1 were abundant both in the north-and south-facing slopes. Trichogalumna nipponica was only found in the south-facing slope, and Nanhermannia elegantula was only found in the north-facing slo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