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mer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초

자이오머와 컴포머의 치과용 접착제를 통한 불소 유리에 관한 연구 (Fluoride Release of Giomer and Compomer Through the Dental Adhesive Layer)

  • 황민선;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0-187
    • /
    • 2017
  • 본 연구는 접착층을 통한 자이오머(Beautifil Injectable)와 컴포머($Dyract^{(R)}$ XP)의 불소 유리를 직접적으로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자이오머와 컴포머 그리고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복합레진의 원통형 시편을 각각 20개씩 제작하였다. 20개 중 10개의 시편은 접착제(Scotchbond Multi-Purpose)를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각 시편은 2 mL 탈이온수에 넣어 $37^{\circ}C$에서 보관하였으며 1, 3, 7, 14, 21, 28일째 유리된 불소를 측정하였다. 접착제를 적용한 추가적인 시편을 제작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자이오머와 컴포머에 접착제를 도포한 군은 3일째까지 불소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7일째부터는 불소가 검출되었다. 접착제는 불소의 유리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였으며, 접착제를 투과하는 자이오머와 컴포머의 불소 유리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불소의 유리량 감소는 컴포머보다 자이오머에서 더 현저했다.

컴포머 충전과정에 따른 상아질 투과도의 변화 (DENTIN PERMEABILITY CHANC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OMPOMER RESTORATION)

  • 조혜진;이경하;이세준;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382-388
    • /
    • 2002
  • Compomer is composed of matrix and filler : matrix is made of the combination of resins and polycarboxylic molecules that are light-cured, and a filler is a glass component which is capable of ion-release. The resin content of compomers produces polymerization shrinkage which can adversely affect marginal adaptation. Pretreatment is a fundamental step which is treated with conditioner or primer in the use of these materials. Microleakage of restorative materials has been investigated mostly by dye penetration method. Dye penetration method was not quantitative and not measured repeatedly. Fluid filtration method, introduced and developed by Pashley's group, has been extensively used for 20 years for research purpose to understand the physiology of dentin, as well as the effects of various restorative treatments on dentin permeability. It permits quantitative, nondestructive measurment of microleakage in a longitudinal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dentin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ompomer restoration. In this study. Cl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surface of thirty extracted human molars. The prepared cavities were etched by 37% phosphoric acid. The experimental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group was treated with following materials Group 1 : Prime & Bond NT/Dyract AP, Group2: Single Bond/F2000 compomer, Group 3 : Syntac Single Component/Compoglass. The bonding agent and compomer were applied for each group following manufacturers information. Dentin permeability of each group was measured at each process by fluid filtration method; Step 1 : preparation(smear layer). Step 2 : etching(smear layer removal), Step 3 : applying the bonding agent, Step 4 : filling the compomer. Dentin permeability was expressed by hydraulic conductance ($\mu\textrm{l}$ min$^{-1}$cm$H_2O$$^{-1}$). The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One-way ANOVA and Sheffe's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ntin permeability differences between each process were significant except between step 1 and step 2(p<0.01). 2. Dentin permeability after removal of smear layer was highly increased(p<0.01). 3. In most case, decrease of dentin permeability was obtained by applying bonding agent(p<0.01). 4. Dentin permeability differenc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ignificant(p>0.05). 5. None of compomers used in this study showed perfect seal at the interface.

컴포머의 재석회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REMINERALIZING EFFECT OF COMPOMERS)

  • 정회민;김용기;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8-508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서 심미수복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컴포머의 불소 유리양상과 수복물 인접 우식법랑질에 대한 재석회화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복합 레진인 Z-100을 I 군으로, 양성 대조군으로 글라스 아이오노머인 Fuji II LC를 IV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Dyract AP와 F-2000을 II군과 III군으로 설정하였다. 불소 유리량의 측정을 위하여 각 군에 따라 동일한 디스크를 제작하여 증류수에 담근 후 1일부터 14일까지 매일 측정하였다. 또한 협면이 건전한 우전치를 대상으로 인공 우식을 유발시킨 후 각 군별로 수복물을 충전한 다음 가철성 장치에 이를 부착하여 구강 내에서 2주간 유지시킴으로써 수복물 주위 우식법랑질에 대한 각 수복재의 재석회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I군은 불소 유리를 하지 않았으며, IV군에서 가장 높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다(p<0.05). II군과 III군은 IV군보다 낮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으며(p<0.05), III군이 II군보다 불소 유리량이 많았다(p<0.05). 편광 현미경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병소가 거의 소실되거나 흔적만 남아있는 양상이 다수 관찰되어 각 군 공히 상당한 재석회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I군과는 달리 II, III, IV 군에서는 수복물의 변연부에 Inhibition zone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II, III, IV 군으로 갈수록 재석회가 충실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미세경도 측정 결과 우식부위가 대조부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II, III, IV 군의 경우 수복물 인접부의 미세경도치는 대조부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수복물 변연에서 멀어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컴포머의 불소 유리 및 항우식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FLUORIDE RELEASE AND ANTICARIOGENIC EFFECT OF COMPOMERS)

  • 황규선;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심미수복 재료인 컴포머의 불소 유리와 수복물 인접 법랑질에 대한 항우식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복합레진인 Z-100을 I군으로, 양성 대조군으로 글라스 아이오노머인 Fuji II LC를 IV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Dyract AP를 II군으로, F-2000을 III군으로 설정하였다. 불소 유리 량은 1일부터 7일까지는 매일, 그 후로는 각각 2일, 3일 또는 4일 간격으로 4주간 측정하였다. 또한 우전치의 순면에 동일한 와동을 형성하고 각 실험재료를 충전한 후 인공 우식을 유발시켜 항우식 효과 비교실험을 시행하였다. 음성 실험군인 I군은 불소유리를 하지 않았으며, IV군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불소 유리량을 나타냈다. II군과 III군은 IV군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으며, III군은 II군보다 불소 유리량이 많았다. 우식 병소의 관찰 결과 복합레진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는 수복물 인접부 우식 병소가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컴포머 군인 F-2000과 Dyract AP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구치부 복합레진 수복을 위한 와동 이장용 재료의 방사선투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diopacity of Cavity Lining Materials for Posteri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문주훈;최의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0권4호
    • /
    • pp.243-248
    • /
    • 200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ve radiopacities of cavity lining materials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Compomer and Plowable resin) for posteri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Material & Methods: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Fuji II LC, Vitrebond/sup TM/), Compomers (Dyract /sup (R)/ Compoglass, F2,000, Dyract/sup (R)/ flow Compoglass Flow) and Flowable resins (Tetric/sup (R)/ flow, Aeliteflo/sup TM/ Revolution/sup TM/) were used. Five specimens of 5 mm in diameter and 2 mm thick were fabricated with each material. Human molars were horizontally sectioned 2 mm thick to include both enamel and dentin. The radiopacities of enamel, dentin, cavity lining materials, aluminum step wedge were obtainded from conventional radiograph and NIH image program. Results: All the tested lining materials showed levels of radiopacity the same as or greater than that of dentin. All compomer tested (Dyract, Compoglass, F2,000, Dyract flow, Compoglass Flow) and Vitrebond/sup TM/, Tetric/sup (R)/ flow were more radiopaque than enamel. The radiopacities of Fuji II LC and Revolution/sup TM/ were between enamel and dentin and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Compomer and Tetric/sup (R)/ flow were greater than those of Revolution/sup TM/, Aeliteflo/sup TM/ or dentin. The level of radiopacity of the tested materials was variable; those with low radiopacity should be avoided in class II restorations, where a clear determination of recurrent caries by the examining clinician could be compromised. Conclusion: Clinician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these cavity lining materials radiographically from recurrent decay, voids, gaps, or other defects that lead to clinical failure. Utilization of materials ranked more radiopaque than enamel would enable clinicians to distinguish the lining material from tooth structure.

  • PDF

컴포머의 수화팽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GROSCOPIC EXPANSION OF COMPOMER)

  • 박경진;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8
    • /
    • 2002
  • 컴포머는 산성화된 이중 기능성 레진 단량체와 fluoro-alumine-silicate 글라스 입자로 구성되어 초기에는 복합레진과 같이 광원에 의해 중합되며 이차적으로 구강내 수분을 흡수하면서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유사한 산-염기 반응으로 중합되고 이의 결과로 물성의 저하없이 지속적으로 불소를 유리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물분자를 흡수하여 수화됨에 따라 서서히 팽창하여 광중합시의 수축을 보상하고 미세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확립되어 있지는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소아치과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있는 컴포머를 대상으로 초기의 중합수축에 의한 미세누출이 수화 평창에 의해 감소되는지 여부를 복합레진과 비교하기 위하여 5급 와동의 교합면측과 치은면측의 미세누출양을 1일과 30일 후에 측정한 결과 30일 후 컴포머의 치은면측에서 현저히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 PDF

광중합방식이 콤포머의 변연폐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YMERIZATION TECHNIQUES ON THE MICROLEAKAGE OF COMPOMER)

  • 조옥환;한진순;임미경;이수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1호
    • /
    • pp.32-40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polymerization techniques on the microleakage of compomer restorations. Fifty extracted human premolars and molar were used and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fter cavity preparation, compomer (F2000$^{\circledR}$) was fill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irections. All groups, except group 5, were filled using an incremental technique. Group 1 was polymerized for 40 seconds at a continuous 485mW/$\textrm{cm}^2$ with a VIP$^{\circledR}$(Bisco, USA) light cure unit. Group 2 was polymerized for 20 seconds at 345mW/$\textrm{cm}^2$ and then for 20 seconds at 645mW/$\textrm{cm}^2$ with the VIP equation omitted light cure unit. Group 3 was polymerized at 400mW/$\textrm{cm}^2$, gradually increased to 50mW/$\textrm{cm}^2$ 10 seconds until 550mW/$\textrm{cm}^2$ was reached; total 40 seconds with a Spectrum 800$^{\circledR}$ (Dentsply Caulk, USA) light cure unit. Group 4 was polymerized for 3 seconds using an incremental technique with a Flipo$^{\circledR}$ (LOKKi, France) light cure unit. Group 5 was polymerized for 3 seconds using a bulk fill technique with the Flipo$^{\circledR}$ light cure unit. The specimens were embedded with acrylic resin, and were sectioned with diamond saws in a mesiodis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ooth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and three surfaces (occlusal, pulpal, and gingival) were examined with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roup 5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gaps compared to other groups on the gingival, occlusal, and pulpal walls. 2. All groups except group 5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on the gingival, occlusal, and pulpal walls.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enamel on the gingival and occlusal walls and polymerization shrinkage.

  • PDF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컴포머와 레진 시멘트로 접착한 교정 밴드의 결합력 (Bond Strength of Band on Zirconia Crown with Compomer and Resin Cement)

  • 박찬희;이종형;이한길;김지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대한 교정용 밴드의 접착제로서 컴포머 시멘트와 레진 시멘트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30개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상악 우측 제 2유구치의 스테인리스 스틸 기성관에 컴포머 시멘트로 교정용 밴드를 접착한 I군과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컴포머 시멘트로 밴드를 접착한 II군,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레진 시멘트로 밴드를 접착한 III군으로 나누었고 밴드의 결합력을 측정하기 위해 인장력을 가하였다. I군, II군과 III군의 결합력의 평균값은 각각 0.79 MPa, 1.09 MPa 그리고 1.56 MPa였다. II군이 I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합력을 보였고, II군과 III군 의 결합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컴포머 시멘트와 기능성 단량체를 포함한 레진 시멘트는 유구치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대한 교정용 밴드의 시멘트로서 양호한 결합력을 보였다.

타액 오염하에서 수복방법에 따른 컴포머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ACCORDING TO RESTORATION METHOD OF COMPOMER UNDER SALIVA CONTAMINATION)

  • 공석배;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3-80
    • /
    • 2007
  • 소아 환자의 인접면 우식을 치료할 때 컴포머는 불소를 방출하는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구강내 환경은 항상 습윤한 상태로 타액은 컴포머와 치질 사이의 접착을 방해할 수 있다. 수복시에 타액이 게재하게 되면 미세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그로 인해서 수복의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포머를 수복할 시에 타액의 영향과 수복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컴포머로서 Dyract $AP^{(R)}$(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Dentin bonding agent로는 Prime and $Bond^{(R)}$ NT (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고, 광중합을 위해서 Elipar Trilight (3M ESPE, USA)를 사용하였다. 구강내 환경을 재현하기 위해서 saliva pool을 제작하였다. 소구치 2개를 인접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에 2급 와동을 형성하여 수복 환경을 다르게 하여 컴포머를 충전한 후에 500회 thermocycling하였다. 그 후 0.5% methylene blue 용액에 24 시간 동안 담근 후에 실체 현미경을 통해서 교합면과 치은면에서의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각 군간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면에서의 각 군간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5). 2. 치은면에서 $Oraseal^{(R)}$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타액 오염을 시키지 않은 4군과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3. 치은면에서 1군과 2군 사이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4. 치은면에서 $Oraseal^{(R)}$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1, 2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낮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다(p<0.05).

  • PDF

APF Gel이 심미 수복재료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3% APF GEL ON THE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 최원혁;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81-289
    • /
    • 2006
  • 현재 소아치과 영역에서 소아의 치아 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불소 도포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들은 법랑질 내 불소함량을 증가시키고 보다 안정된 결정 구조를 형성하게 하여 치아 우식증을 예방한다는데 근거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불소도포제재가 심미 수복재료의 표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종의 심미 수복재료의 표면에 APF gel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표면 조도를 측정한 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lass ionomer cement와 compomer를 이용한 실험에서 APF gel 4분 침적군과 pH 순환군은 인공타액 침적군에 비해 표면 조도가 증가하였다(p<0.01). 2. composite resin인 Charisma와 Z250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모든 군간의 표면 조도의 차이는 없었다(p>0.05). 3.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glass ionomer cement, compomer, composite resin의 순으로 filler의 소실이 많았으며 군별로는 pH 순환군, APF gel 4분 침적군 인공타액 침적군의 순으로 filler의 소실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