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nsation plan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1초

국책은행의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에 관한 효율성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National Policy Bank's Support for SMEs Policy Funds)

  • 윤미;이철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147-16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자금 지원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통하여 국책은행에서 정책자금 지원의 실무적인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책은행에서 '17년과 '18년에 연속해서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현황에 대한 특성 분석과 재무적 성과의 효율성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특성 분석결과 외부에서 조성된 재정자금이 대부분이고, 업종별로는 제조업에 집중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 서부지역에, 신용등급별로는 A등급 구간이 가장 많았다. 기술등급은 T5 등급에, 자금 용도는 시설자금에 대부분 지원되었다. 둘째, 효율성 분석결과 수익성은 총자산순이익률, 안정성은 이자보상비율, 활동성은 총자본회전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성장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의 수요에 적합한 자금 배분과 성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책자금을 지원하는 실무적인 개선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에 있어 우주법의 주요내용, 논평과 장래의 과제 (The Main Contents, Comment and Future Task for the Space Laws in Korea)

  • 김두환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9-152
    • /
    • 2009
  • 한국은 우주 탐사 프로그램에 대한 포부와 함께 급속하게 확장내지 발전하고 있다. 정부는 항공우주산업에 우선권을 주고 있으며, 더 좋은 기반위에, I987년의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 2005년의 우주개발진흥법과 2007년의 우주손해배상법을 제정하여 시행 해오고 있다. 필자는 위성의 발사허가, 우주물체의 등록, 위성정보의 이용, 우주비행사의 구조, 손해배상, 지상 제3자에 대한 책임보험, 우주개발지원계획 등이 포함된 전기 세 가지 우주관계법의 입법경위, 주요내용 및 논평을 하고자 한다. 더욱이 필자는 한국의 우주산업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영국의 국립우주센터(BNSC), 국립우주연구센터(CNES), 독일의 항공우주센터(DLR), 스웨덴의 우주공사(SSC), 중국의 항천과공집단공사(CASIC) 등과 유사한 한국의 새로운 우주항공개발공사 (KADA: 가칭)의 창설할 수 있는 입법이 필요로 하며 또한 정부기구로서 캐나다의 우주청(CSA), 러시아의 우주청(RSA), 이탈리아의 우주청(ISA), 이스라엘의 우주청(ISA), 인도의 우주성(IDS), 미국의 항공우주청(NASA)과 중국의 국가항천국(CNSA)등과 유사한 한국의 새로운 우주청(KSA: 가칭)을 창설할 수 있는 입법조치가 필요하다. 만약 한국 정부가 장차 정부 조직으로 한국의 우주청을 설립시키려면 정부조직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동양적인 사고와 창의력에 근거하여 아시아 여러 나라들 간에 우주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연구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아시아우주기구(ASA)" 의 설립이 필요하다.

  • PDF

병원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rnal Marketing on Customer Orientation and Loyalty in Hospital)

  • 강천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74-185
    • /
    • 2016
  • 내부마케팅이란 외부고객의 만족을 위해 직원들에게 만족을 주고 서비스 마음을 갖도록 하는 조직의 마케팅 활동이다.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기도 일개 종합병원 731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리더십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훈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부마케팅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리더십 및 커뮤니케이션, 근무환경, 보상 및 복리후생, 교육훈련이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고객지향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고객지향성이 높아지면 충성도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지향성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내부마케팅 활동에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되기를 바란다.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 도서관 관련 주체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of Subject Specialist Upbringing Plan :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ubjects Related to Library)

  • 정재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91-409
    • /
    • 2007
  • 본 연구는 도서관 관련 주체들 즉, 기관 단체 및 협회, 학계, 그리고 도서관 현장의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화적용 대학도서관과 주제전문사서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주체들의 역할과 협력 방안을 조사하였다.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해서는 도서관 관련 주체들의 개별적 노력과 함께 이들의 협력과 공동대응이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즉, 도서관 관련기관, 단체 및 협회는 주제전문사서와 관련된 정책 및 재정적 지원에 대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학계는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 현장은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동기부여와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의 채용과 대우를 위한 제도마련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도서관관련 주체들의 대표로 구성된 주제전문사서양성위원회를 구성해 주제전문사서 양성과 확보를 위한 각각의 역할을 조율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Paid Peering: Pricing and Adoption Incentives

  • Courcoubetis, Costas;Sdrolias, Kostas;Weber, Richard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8권6호
    • /
    • pp.975-988
    • /
    • 2016
  • Large access providers (ISPs) are seeking for new types of business agreements and pricing models to manage network costs and monetize better the provision of last-mile services. A typical paradigm of such new pricing norms is the proliferation of paid peering deals between ISPs and content providers (CPs), while on top of this, some ISPs are already experimenting with usage-based tariffs, usually through data-plans, instead of the typical fixed-based charging. In this work we define as common platform, the infrastructure in which a single ISP transacts with several CPs through peering agreements. In this context, we examine whether, and under which market conditions, the profitability of the involved stakeholders improves when the establishment of this platform is accompanied by a monetary compensation from the CPs to the ISP (paid peering), v.s. a scenario where their deal is a typical settlement-free one. In both cases, we assume that the ISP implements a usage-based access pricing scheme, implying that end-users will pay more for higher transaction rates with the CPs. Our framework captures some of the most important details of the current market, such as the various business models adopted by the CPs, the end-users' evaluation towards the ISP's and CPs' level of investments and the traffic rates per transaction for the offered services. By analysing the equilibrium derived by a leader-follower game, it turns out (among other practical takeaways) that whether or not the profitability of a CP improves, it highly depends on whether its business model is to sell content, or if it obtains its revenue from advertisements. Finally, we extract that consumer surplus is considerably higher under paid peering, which in turn implies improved levels of social welfare.

수목장지 님비현상의 해결 사례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Solved Cases of NIMY Syndrome to Tree Burial Sites)

  • 우재욱;박원경;변우혁;권병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309-318
    • /
    • 2015
  • 본 논문은 수목장지 공급이 님비현상으로 정체되고 있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님비현상의 해결에 성공한 국내외 수목장지 조성사례에 대해 현지 방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사례지에서 수목장지가 장사시설의 이미지로 받아들여짐에 따라 발생하는 지역주민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사례에서는 경제적 보상 제공, 공동묘지 내 조성, 사찰림을 활용한 조성을 통해 님비현상을 해결한 유형이 도출되었다. 해외 사례에서는 수목장지가 장사시설이 아닌 명소의 이미지를 갖도록 한 유형과 경제적 유인을 통해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조성 참여를 유도한 유형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동묘지의 재개발, 수목장지의 명소화, 공모방식을 통한 지역주민의 PIMFY 유도를 수목장지에 대한 님비현상의 해결방안으로 제언하였다.

보호대상해양생물종인 잘피의 보전을 위한 해역이용협의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arine Protected Seagrass Species)

  • 오현택;이용민;김혜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957-970
    • /
    • 2016
  • This study diagnosed the status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MEIA) for project near the habitat of marine protected seagrass species such as Zostera caespitosa, Zostera asiatica, Phyllospadix iwatensis. For the preparation of a marin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different monitoring parameters are used without any specific guideline for the assessment of current status. And also, both tools and techniques for MEIA are needed to improve for implementing. The monitoring plans and parameters are not considered well with the accuracy of the environmental predictions and effectiveness of any applicable mitigation measures. This study suggested the reasonable standard of the MEIA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arine protected seagrass species which have the habitat located near affected area. The inshore seagrasses need to be monitored including shoot count based on the "No Net Loss of Seagrass" as part of the monitoring parameters to assess the status of marine environment of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In a process of effect prediction, we suggested a concentration of 10 mg/L suspended solids which added by the new developmental project near seagrasses habitat, referring to study of overseas case. But a further study for an appropriate standard is necessary effectively. In a mitigating process, priority needs to be considered in order of avoidance, minimization, reduction, compensation. In a post-monitor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seagrass species abundance to identify the variation of b/a (before and after) project. And in a case of implementing transplantation, survival rate need to be included to determine a success of project.

한국과 미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현황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on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Design Consultancies between Korea and America)

  • 이진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1호
    • /
    • pp.95-103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현황을 미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현황과 비교해 보고 향후 디자인컨설팅 산업이 질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 109개 디자인컨설팅기업과 미국의 97개 디자인컨설팅기업을 대상으로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특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특성인 클라이언트기업과의 장기적인 파트너쉽 관계형성, 다학제적 조직구성, 결과중심의 보상체계 운영, 클라이언트기업의 전략적 수준에서의 디자인컨설팅서비스 제공, 능동적인 디자인비즈니스의 실행, 기업간의 융합 네트워킹, 디자인서비스의 전문화 등 7가지 분야에 있어서 한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이 미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우리나라의 디자인컨설팅산업이 질적 성장을 거두고 안정적인 산업구조를 이루기 위해 7개 분야의 운영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도시철도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Coping Plans for Urban Railroad Drivers)

  • 박태수;이진선;김홍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33-23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개인은 물론 조직에 치명적인 해악을 초래하고 엄청난 경쟁력 상실을 가져오는 도시철도기관사의 스트레스를 알아보고 기관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도시철도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러 스트레스에 미치는 악영향의 요인을 최소한 줄이기 위해서는 첫째,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확대 및 사고발생시 기관사에 대한 보호조치로 시설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정신적 보상이나 조직시스템 등이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므로 경영자의 리더십 교육과 같은 전형적인 조직차원의 접근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개인적 차원에서의 규칙적인 운동, 금주 등의 바른 생활습관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낮춘다. 넷째, 과도한 성과 지향과 불공정한 평가를 피하고 기관사의 심리상태를 이해함으로써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등의 조직적 차원에서의 복합적인 건강증진 및 관리프로그램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이슈 및 문제해결에 기반한 전략적 관점에서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activation from strategic perspectives based on autonomous vehicle issues and problem solving)

  • 조재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241-246
    • /
    • 2021
  • 자율주행자동차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연구는 많았지만, 전략적 관점에서의 자율주행자동차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이슈 및 해결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적 관점에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이슈 및 문제 해결을 위해 안전성 강화를 기반으로 법·제도 표준에 대한 명확한 정립이 필요하며, 교통사고시 책임의 소재와 배상책임의 확보가 선행 되어야 한다. 전략적 관점에서 자율주행자동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율주행단계에 따른 확산전략을 수립하고, 정부지원정책을 초기 활성화의 트리거로 활용하고,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타켓팅(targeting), 포지셔닝(positioning) 전략을 기초로 효과적인 마케팅믹스(4P Mix)전략이 실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