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welfare

검색결과 1,864건 처리시간 0.03초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개발의 가능성 - 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Healthy Families Center - Focused on the Community Organization -)

  • 송혜림;김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2호
    • /
    • pp.1-18
    • /
    • 2006
  •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possibilities for th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Focused on the community organization this study analized 3 cases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the analized case studies this study concluded some scheme as follows : 1. For the effective community organization the Healthy Families Center has to give emphasi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rete objects, the system of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2. The professionals of the Healthy Families Center have to possess the knowlegement of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this point porposed the necessities for enlargement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PDF

북한이탈주민의 지방정착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동원전략 : 부산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for Facilitating North Korean Refugees' Resettlement in Local Areas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이기영;윤경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103-130
    • /
    • 2003
  • 이 연구는 지방으로 분산 정착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상황을 서울 수도권지역의 사람들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노동시장활동, 생활만족도, 민간기관으로부터의 지원내용 등에서 불리한 것으로 나타나 지방정착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제도에 정책적 실천적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실증분석과 함께 북한이탈주민을 지원하는 전국의 지역사회종합복지관의 사업내용을 분석하였고, 지역차원의 북한이탈주민 지역협의회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지방의 사례로서는 부산지역을 선택하였는바 연구의 편의성과 함께 서울수도권지역 이외의 지역으로서 가장 많은 북한이탈주민이 거주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민간의 사업이 영세하나마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 글의 사회복지학 분야의 기여는 기존의 지역사회자원동원과 지역네트워킹에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 배경을 북한이탈주민 지원사업분야에 접목하였다는 것이다.

  • PDF

소도시 사회복지관의 재가복지부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Domiciliary C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한인웅;채희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84-92
    • /
    • 2005
  • The recent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he configuration of space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so the relation of space and function required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The social welfare center fills the role of family welfare, domiciliary care, community organization etc. In such sence, this study explore the conditions of spatial configuration for the domiciliary and community care unit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small city. For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space role and funtion, the service program, the usage characteristics, the room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sum, the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colligated by case study. It could be used in the design criteria of domiciliary care unit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PDF

사회복지 분야 NCS기반의 교육요구 분석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NCS Base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 진선미;장혁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71
    • /
    • 2016
  • 본 연구는 2014년 개발된 사회복지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교육요구분석을 통해 사회복지분야 직무별 직무능력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시급성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교육요구조사 및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이 높은 직무능력요소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공무원 583명, 민간종사자 644명 등 총 1,22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18.0과 Microsoft Excel 2013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무원의 경우에는 사회복지개발 직무의 지역사회분석, 욕구조사, 지역사회자원구축,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회문제사정, 주민조직화, 복지계획수립의 6개 능력, 공공복지 직무의 복지특이민원관리, 자원발굴민간협력 2개 능력, 사회복지행정 직무의 사회복지조직재무관리, 복지계획수립 2개 능력 등 총 10개 능력이 능력개발 시급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자원 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후원을 중심으로

  • 김미숙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61-297
    • /
    • 2004
  •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provide the socially disadvantaged with proper social services, face financial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not only of the lack of governmental support, but also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lack of skills in developing abundant resources from the private sect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find factors affecting resource mob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devise policies in resource development. Mail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Employees in charge of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study population were two types of welfare faciliti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 total of 293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632 residential care facil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ponse rate was about 62%.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study was the amount of resource mobilization in the year 2001 which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donors, the total amount of donation, and estimated amount of gift-in-kind. Three types models were constructed per each welfare facil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community environment factor, structural factor, and resource development factor.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 in various models. In the models of donors, the amount of donation, and the amount of gift-in-kind, at least one out of four variables in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was significant. Welfare centers which establish the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hire employees to take care of resource development, and adopt computer software in managing donor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eir counterparts. Interestingly, the centers where employees take the responsibility of resource development as well as other responsibilities (dual duty), did not have more resources mobilized than those with no employees for resource development. Using computer software in managing donors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many models, except for the donor model. In additio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located in urban area have more donors and donations, and among residential facilities those for the elderly, children, and the mentally retarded and those hiring more employee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ose for the disabled and those hiring less employees. As for the gift-in-kind model, the centers located in high income area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women and mentally retarded receive less gift-in-kind than those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mobilize resources the welfare centers as well residential care facilities need to hav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resource development staffs, and adopt computer software to systematically organize donors.

  • PDF

농촌지역 공공부조사업의 차별성 반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erentiate Performance of Public Assistance Program in Rural Community)

  • 김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107-138
    • /
    • 2000
  • Today,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in Korea is provided mainly for the livelihood protection beneficiary in urban area. The fact that the urban community-centered program is also applied to the livelihood protection beneficiary in rural area brings about some problems in fitness and effectiveness of resource distribution. The purpose of my study is to present my opinion that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for the rural community should be put in practice after being fully distinguished from the urban program for the effective distribution of limited social welfare resources to insure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and seek the self-support contribution which is the purpose of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livelihood protection beneficiaries living in both rural and urban area. And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is parts: first, the way of life in them, second, the contents of 6 main public assistance programs being carried out. Total number of the livelihood protection beneficiaries are 279 case: 143 case from 15 Dong in 5 cities, and 136 case from 15 Myun in 5 counties. And the social worker who are performing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are consisted of 50 case: 25 case from 5 Dong in 5 cities, and 25 case from 5 Myun in 5 counties. This research reach the result that the differentiate performance of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in rural community would be an effective device for self-support to be freed from the vicious circle of poverty.

  • PDF

지역사회복지관 조직풍토와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과의 관계: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resource linkage skills of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 박미진;현안나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203-231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자원연계기술에 지역사회복지관 조직풍토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 자원연계기술, 성찰적 사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전수를 대상으로 이들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우편설문조사방법으로 실시하였고, 52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는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복지사들이 조직풍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원연계기술의 활용정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와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과의 관계에서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자원연계기술향상과 성찰적 사고의 실천적 방안들을 제언하고, 실천적 함의 및 추후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가족.국가.공동체의 소득 안정화 효과 분석 (Family, State, and Community Sources of Income Stability)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321-345
    • /
    • 2003
  • 오늘날 개인이 소득을 획득하는 주된 원천은 노동시장이지만, 가구 내에서의 재분배나 사적 이전, 공적 이전 또한 개인에게 소득을 제공하는 소득원이다. 이 연구는 개인 소득의 안정성이 가족 국가 공동체라는 소득원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은 사회복지의 제공주체들이 제각기 작동시키는 사회복지의 논리와 그 결합구조를 파악하려는 시도의 하나라는 점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지금까지 주로 분석되어 오지 않았던 사회보장제도의 또 다른 목표, 즉 소득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가구 구성의 안정성은 개인이 소득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사적 이전과 공적 이전은 가족으로부터 소득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인구집단에게 특히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득의 안정화를 위한 공동체나 국가의 역할은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가구 구성의 안정성 약화가 지속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피코크리켓을 활용한 지역아동센터의 녹색성장연계 융합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Study Program for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linked Green Growth Using Pico-Cricket)

  • 허정호;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83-90
    • /
    • 2010
  • 본 연구는 빈곤및 결손가정등의 이유로 소외되어있는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교육경쟁력 향상과 '글로벌창의 인재 양성' 이라는 국가의 미래지향적인 정책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색성장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융합의 틀 안에서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아동센터 고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에너지 절약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녹색성장연계 융합프로그램이 기존의 프로그램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었으며,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에너지 절약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교육적 필요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