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practice

검색결과 1,528건 처리시간 0.029초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성찰 연구 -참여실행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ons on the Supportive Practice for Community Welfare Center Single Parent Self-Help Groups based o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양혜원;최정숙;김희수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2호
    • /
    • pp.103-139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방안 모색을 위한 참여실행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사회복지사들이 참여실행연구과정에서 성찰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참여실행연구에는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의 어려움을 공유한 사회복지사와 교수자 9명이 참여했고, 10회기의 연구모임을 통해 동료 수퍼비전을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사회복지사들이 소속된 기관의 4개 자조집단 실천에대한 계획-실행-성찰-재계획을 반복하는 순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 밀착된 다양한 실천방안이 도출되었는데, 그 중 핵심은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실행연구에서의 성찰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변화된 것에 주목하고, 연구모임 녹취록 등 참여실행연구에서 생성된 자료를 활용하여 성찰의 구체적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조집단에 적합한 실천이 미흡했음을 깨닫고 고민함', '회원-사회복지사 관계에 대한 변화된 관점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역할을 다시 알아감', '당사자 주도 실천의 가능성을 확인함',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을 더 세밀하게 이해함',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의 발전을 새롭게 인식함' 등 5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을 중심으로 역량강화 실천과 성찰?반성적 실천에 대해논의하였다.

지역사회구강보건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일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보건소실습 만족도 조사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of a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 for quality improvement of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 김명희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8-44
    • /
    • 2017
  • 치위생(학)과 간 지역사회치위생학의 교육과정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한 근거 마련 등의 연구 활동이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바,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첫 단계로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지역사회구강보건 교과목의 현장 실습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학문체계 확립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보건소 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둘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조사하여 교과목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보건소 실습 기간의 적절성을 파악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수도권에 위치한 일개 치위생학과 학부생 105명을 대상으로, 경기지역에 위치한 11개 현장실습 보건소에 대하여 실습 후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11개 보건소의 만족도 분석결과, 7점 만점에 전체 평균 5.3점으로 나타났으며 최저 3.7점, 최고 6.8점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영향을 준 긍정적인 요인은, '편한 실습환경'이 55.2%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접근성(46.7%)', '많이 배울 수 있음 (31.4%)', '기타(6.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족도의 요인은 학년별로 다른 분포를 보였다. 교육의 수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지역사회 구강보건실습 현황 및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은, 사회치위생 학문의 발전과 지역사회현장실습의 표준화를 위한 초기 근거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대상 실천역량 향상 프로그램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Enhancement Program of the Social Work Practice Competency for children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 배은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127-1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대상 실천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10명을 대상으로 매 120분간 주1회로 5주간 실행되었다. 양적 평가를 위하여 유사실험설계의 비동일 비교집단 설계가 사용되었으며, 질적 평가를 위하여 프로그램관련 기록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적 평가에서는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숙련도와 클라이언트관계변화 임파워먼트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평가에서는 종사자의 실천역량 향상, 아동의 변화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의 강점 및 보완점 인식이라는 주관적 경험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전달체계인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 실천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실천에 있어 전문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아동의 건강한 발달 및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식경영시스템의 사용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실행공동체 특성요인을 중심으로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ocused on the Quality of Community-of-Practice)

  • 유일;고준;김재전;박성종
    • 지식경영연구
    • /
    • 제7권1호
    • /
    • pp.31-47
    • /
    • 2006
  • In order to manage organizational knowledge efficiently,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is considered as mandatory.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KMS performance model to predict user satisfaction as well as KMS usage, considering the unique features of KMS. By analyzing 261 surveys with LISREL, we found that community of practice(CoP) characteristics - participation and interactivity among users - significantly affects KMS user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the development of KMS should focus on facilitating users' interactivity and participations such as CoP activity, which differs from the general information system context. We also found that KMS usage is influenced by CoP interactivity, not by CoP participation, and that KMS usage as well as user satisfaction leads to user performance.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PDF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CoP 운영전략 : S사의 지식경영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ccessful Community of Practice Strategy and Implementation : Case Study of 'S' Corporation's Knowledge Management)

  • 방유성;이명성
    • 지식경영연구
    • /
    • 제1권1호
    • /
    • pp.127-137
    • /
    • 2000
  • Effective knowledge sharing and creating requires human networking as well as system. Corporation 'S' organized 'community of practice(CoP),' which is a virtual group based on work process, skill, and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CoP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methods, based upon 'S' experience. The effective methods this study suggests are : setting up clear CoP objectives by each CoP; dual CoP system with career centered and subject centered; alignment with business strategy; guide by knowledge integrator, and professional competence development as CoP purpose. Key success factors to CoP activities also include effective communication, facilitators' competency, and managers' support.

  • PDF

창의적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차세대 지식경영 구현사례 : 포스코 (A Case Study for Implementing Next-Generation Knowledge Management at POSCO through Creative Community of Practice)

  • 최종진;정남호;조용말
    • 지식경영연구
    • /
    • 제9권1호
    • /
    • pp.147-161
    • /
    • 2008
  • In the previous KM (Knowledge Management) studies, it has been repeatedly pointed that CoP (Community of Practice) should be used as a platform for boosting up corporate innovative activities. Despite this, it is very rare to find relevant literature in which real-world cases are introduced show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mplemented strategies, and objective analysis of results. In this sens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very timely- to introduce a real-world CoP case in which POSCO, world-leading steel company, sorted out creative CoP strategies to nurture knowledge-sharing activities to solve various kinds of problems at hand, and maintain appropriate level of knowledge circulation throughout all the working units of company. In a nutshell, POSCO has been successful in any measure in utilizing the creative CoP activities as strategic means to change the paradigm of innovation and extract fruitful outcomes from integrating three important individual activities such as work, learning, and innovation.

  • PDF

희망의 공간을 향하여: 개인의 윤리적 실천과 공동체 (The Space of Hope: the Individual′s Ethical Practice and Community)

  • 박상진
    • 인문언어
    • /
    • 제1권1호
    • /
    • pp.323-345
    • /
    • 2001
  • My purpose in this paper is to construct what I call "the space of hope" for the individual′s unfettered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nd examine its ethical and political potential. 1 discuss the network of context to define the nature and scope of the space and also suggest that the individual′s interpretation of the world should be deemed a form of ethical practice or commitment. 1 would like to add that the term context, which refers, among other things, to the organic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community, is meant to be strategic: it presupposes productive malleability, even slipperiness, in order to destabilize the institutional or ideological hierarchy between center and margin and enhance the individual′s self-conscious negotiation with his or her own community. It is my contention that every act of interpretation is always under some kind of contextual pressure and that the individual is able, in turn, to define and construct the context. This interaction represents a way to guard against the inimical force of totalization in the realms of theory and practice and can be summed up, that is, tentatively and strategically, in the idea of positionality.

  • PDF

일개 약학대학 실무실습교육 후 학생의 실무교육기관 및 프리셉터 평가 (The Students' Evaluation of Practice Sites and Preceptors in Pharmacy Experiential Education)

  • 윤정현;서혜선;제남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9-76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experiential education, by analyzing pharmacy students' satisfaction and evaluation for practice sites and preceptors for 3 years from 2014 through 2016. Methods: Students evaluated the practice sites and preceptors using a 5-point and a 4-point Likert scale, respectively.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types of curriculums and practice sites. In addition, sub-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ypes of health-system pharmacy and the community pharmacy. Results: Total 203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s. The 3-year average score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practice sites was 4.25. In the sub-analysis conducted based on the types of health-system pharmacy, the score was higher in the tertiary hospital pharmacies than that of the general hospital pharmacies (4.49 vs. 4.06, P<0.001). For community pharmacy,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3-year analysis was not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types (4.51 vs. 4.33, P=0.054). The average score of students' evaluation on the preceptors was 3.37 in the 3-year analysis. Th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preceptors of tertiary hospital pharmacies than those of general hospital pharmacies (3.61 vs. 3.25, P<0.001). For community pharmac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s of pharmacy (3.53 vs. 3.43, P=0.309). Conclusion: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practice sites and preceptors in pharmacy experiential education was high. However, it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Mutual effort between universit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s required, to narrow the gap in the degree of students' satisfaction.

마을미디어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마을미디어 활동에 대한 근거이론을 통한 분석 (Exploratory Research about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Grounded Theory Based Analysis about Seoul Community Media Practice)

  • 이희랑;김희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1권
    • /
    • pp.75-121
    • /
    • 2017
  • 마을미디어는 미디어교육이 마을공동체 운동과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서 등장하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미디어 활동이다. 2012년 서울시의 지원 정책과 함께 등장하여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는 마을미디어 활동가들의 실천 과정을 이해하고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근거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활동해온 영상 및 라디오 분야 활동가를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라서 개방코딩한 결과 16개의 범주와 59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 결과 지속가능한 마을미디어 활동 욕구라는 중심 현상을 발견하였으며, 마을 채널의 부재와 공적 지원의 불안정한 정황에서도 운영의 안정화와 마을미디어네트워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스페이스미디어 발명, 다각적 배급방법 모색, 네트워크 공동행동의 전략적 실천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마을의 현안을 발굴하고 의제화하면서 마을공동체와 시민사회와 네트워크됨으로써 마을의 공론장 역할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한층 더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