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archive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의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에 의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분류(分類) (Classification of Herbicidal Spectrum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in Soybean Field)

  • 강병화;김한수;김태완;용필순;안창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2-196
    • /
    • 1990
  • Two-dimensional 분석법(分析法)이 잡초(雜草)와 제초제(除草劑) 군락형(群落型)을 분류(分類), 제초제(除草劑)의 합리적(合理的)인 혼합처리(混合處理) 방법(方法) 모색(摸索) 및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 발생(發生)한 잡초군락(雜草群落)에 따른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을 예찰(豫察)하기 위한 방법(方法)으로 이용되었다.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되었다. 1. 11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피(56%) - 명아주(10%)-쇠비름(8%)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인 덕소의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11개(個) 군(群)으로 분류(分類)되었고 쇠비름(58%) - 피(29%) - 참비름(5%) - 바랭이(3%)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인 연천의 대두포장(大豆圃場)에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9개군(個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Clomazone 처리구(處理區)에서는 Quzalofopmethyl, Haloxfop 및 Kusagard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쇠비름, Bentazon 처리구에서는 피의 우점(優占)이 뚜렷하였다. 3.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이 단순히 유하성계수(類似性係數)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效果的)으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증대 및 혼합처리(混合處理) 또는 체계처리(體系處理)를 위한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資料) 제공(提供)이 더 용이하였다.

  • PDF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 양상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oix lacryma-jobi var. mayuen Fiel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한정아;김경훈;김미선;송희근;김덕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02-109
    • /
    • 2014
  •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발생양상과 잡초로 인한 피해정도를 파악하여 율무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3회 조사하였다.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3과 98종으로 일년생잡초가 58종(59.2%), 월년생잡초 21종(21.4%)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19종(19.4%)이었다. 이 중 외래잡초는 31종이나 덩굴성 외래잡초인 둥근잎유홍초, 미국나팔꽃, 둥근잎나팔꽃 등의 발생이 많았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바랭이, 깨풀, 돌피, 쇠비름, 미국가막사리 등이었으며, PCA 분석한 결과, 3개 그룹(미국개기장 군락, 돌피-털진득찰 군락, 깨풀 군락)으로 나눌 수 있었다. 잡초방임구에서 율무의 수량감소는 잡초관리구에 비하여 60% 감소하였다.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양상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ultivated Ligularia fischeri Fiel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김종환;김경훈;김미선;송희근;김덕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95-101
    • /
    • 2014
  •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발생 양상과 잡초로 인한 피해정도를 파악하여 곰취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5회 조사하였다.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7과 104종으로 일년생잡초가 55종, 월년생잡초 25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24종이었다. 이 중에서 외래잡초는 26종이 발생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명아주, 쇠별꽃, 돌피, 망초, 쑥 등이었으며, Ordination PCA 분석한 결과, 고마리-미국가막사리 군락, 명아주 군락 그리고 냉이 군락으로 분석되었다. 잡초에 의한 곰취의 피해 정도를 곰취 뿌리 무게로 비교한 결과, 잡초관리구에 비교하여 잡초방임구가 56% 작아져서 이듬해 곰취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울릉도(鬱陵島)에 발생(發生)하는 잡초종(雜草種) (Weed Flora of Ulreung Island in Korea)

  • 김길웅;권순태;이인중;김상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65-279
    • /
    • 1987
  • 울릉도(鬱陵島)의 농경지(農耕地)와 농촌지주변(農村地周邊)에 발생(發生)하는 하계잡초(夏季雜草)를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잡초(雜草) 42과(科) 140종(種)이 조사(調査)되었다. 2. 농경지(農耕地) 및 비농경지(非農耕地)에 우점(優占)하는 잡초종(雜草種)은 바랭이, 쇠비름, 여뀌, 씌뜨기, 쑥, 닭의장풀, 강아지풀 순(順)이며 특(特)히 농경지(農耕地)에 쇠뜨기가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3. 농경지(農耕地)에서는 26과(科) 60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고 여뀌와 방동사니군락(群落)로 형성(形成)되어 있었다. 4. 악초재배지(樂草載培地)는 26과(科) 60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고 여뀌, 비름, 큰방가지똥군락(群落)으로 구성(構成)되었고 여뀌와 비름군락(群落)사이에 비름과 별꽃이 추이대(推移帶)로서 군락변천과정(群落變遷過程)에 있었다. 5. 농경지주변(農耕地周邊)에서는 40과(科) 116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고 개망초, 쇠비름 및 괭이밥군락(群落)이 형성(形成)되어 있었다. 6. 계곡(溪谷)에서는 34과(科) 94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고 큰 방가지똥과 질경이군락(群落)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 PDF

지역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에 관한 연구 : (가칭)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New Main Library Project in a Metropolitan City : with a Reference to the Library of Busan)

  • 장덕현;이수상;유재우;이용재;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19-13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대표도서관 건립을 위한 절차와 과정, 그리고 주요 고려사항들을 분석하여 적절한 계획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역 도서관정책의 허브이자 지역을 대표하는 도서관으로서 지역 도서관 정보정책을 총괄하고 중앙정부와의 협력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핵심 지식정보인프라 역할을 하는 지역 대표도서관의 건립은 꼭 필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을 사례로 하여 시민 모두가 자유롭게 어우러지는 신개념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대표도서관 건립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가늠하고, 향후 지역에서 대표도서관을 건립할 경우를 대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기능과 역할, 그리고 건축계획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경제수준에 따른 의료자원 분포의 형평성 분석 (Socioeconomic Equity in Regional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Korea)

  • 전보영;최수민;김창엽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5-108
    • /
    • 2012
  • One of the ways to achieve the principle of equal access for equal needs, availability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of health care resources regardless of resident sites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socioeconomic inequities in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among reg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Korea). Data were extracted from regional statistic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mmunity Health Survey,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nd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at the same period of 2009.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health workforce and health care facilities in each region. The proxy indicator of regional socioeconomic status was local tax per person. To identify whether inequalities among regions, we examined the concentration index(CI) and indirectly standardized CI by controlling each region's demographics and need factors. Total observations were 232 districts in nationwide, and we analyzed separately Seoul(25 districts) and non-Seoul areas(207 districts). The standardized CI values of health care resources were positive(favoring the rich region) across the nation in almost all kinds of resources. Especially the number of specialist, dentist, dental clinics, clinics, oriental medical clinics, pharmacists, and pharmac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avoring the rich region. But the CI for the number of long-term care hospitals, public health centers were negative(favoring the poor region). The tendency of CI presenting positive values were increased in Seoul area. But in the case of non-Seoul, the CI indexes were nearly zero. The results suggest that except the Seoul area, little regional socioeconomic-related inequalities were observed in the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Korea.

보온절충(保溫折衷) 못자리에 있어서 잡초군락(雜草群落) 조사연구(調査硏究) (Investigation of Weed Flora In Protected Semi - Irrigated Rice Seedbed)

  • 임주혁;전재철;양환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18
    • /
    • 1985
  • 전북지역(全北地域)의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잡초(雜草)의 군락형태(群落形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북지역(全北地域)의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는 12과(科)22종(種)이었으며, 일년초(一年草) 13종(種) 및 다년초(多年草) 9종(種)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2. 발생빈도별(發生頻度別)로 보면 피, 알방동사니, 쇠털골 및 물달개비등(等)은 100%의 발생율(發生率)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및 여뀌바늘이었다. 3. 1983년(年) 및 1984년(年)에 전체(全體) 조사지역(調査地域)의 각각(各各) 82% 및 89%가 Simpson 지수(指數) 0.1~0.5 사이를 나타내어, 잡초식생(雜草植生)이 다양화(多樣化)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2개년(個年)의 주요우점초종(主要優占草種)은 모두 피 및 알방동사니이었으며, 군락우점도(群落優占度)는 1983년(年)에 0.61에서 1984년(年)에 0.67을 나타내었다.

  • PDF

지역대표도서관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Site Selection of a Metropolitan Library: The Case of City of Busan)

  • 유재우;구본진;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91-30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대표도서관 건립을 위한 입지 선정에 있어서의 절차와 과정, 그리고 주요 고려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광역시의 지역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을 사례로 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입지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평가의 항목이 되는 사항과 절차를 소개하고 실제로 부산지역에 가용한 부지들을 대상으로 최적의 입지에 도서관이 건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과 절차, 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가용한 입지의 선정을 위하여 부산광역시와 기초자치단체로부터 제안받은 부지들을 대상으로 지리적 여건, 지역적 특성, 사업여건 등을 고려한 후보지의 사업 여건을 조사, 분석하고 사업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다른 지자체에서 지역대표도서관을 건립하거나 또는 보다 규모가 작은 공공도서관을 건립할 경우 절차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웹 생태박물관을 활용한 문화유산의 기록과 보존 : 무등산을 중심으로 (A Record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Web Ecomuseum : the Case of Mountain Mudeung)

  • 노시훈
    • 기록학연구
    • /
    • 제27호
    • /
    • pp.209-238
    • /
    • 2011
  • 1968년 프랑스에서 출현하여 전 세계로 널리 확산된 생태박물관은 유물의 소장 전시보다 어떤 지역의 자연 문화유산 전체를 '본래의 장소에서' 보존 해석하여 그 지역의 장소적 의미를 찾고 주민의 참여와 지역 공동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유형의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이 갖는 의의는 사라져가는 지역의 집단 기억을 회복하여 주민의 문화적 정체성을 되찾고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그런데 이 박물관은 분산형 야외박물관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흩어져있는 지역 유산 전반에 대한 원격 정보 제공과 종합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유산을 디지털화하여 기록 보존 해석 활용하는 '웹 생태박물관'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무등산이라는 지역을 예로 들어 웹 생태박물관의 가능성과 그 구성 내용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지역 고유의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유산을 토대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기록 보존)하고, 웹 전시를 개최(해석)하고, 전자문화지도를 제작(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최근 10년간(2004-2013)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Archival Studies in Korea : Focused on Research Papers between 2004 and 2013)

  • 최이랑
    • 기록학연구
    • /
    • 제43호
    • /
    • pp.147-177
    • /
    • 2015
  •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을 분석한 내용이다. 총 5종의 학술지에서 수집한 논문은 479편이며 키워드와 저자 소속기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내용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고, 분석 도구는 KrKwic, Ucinet, NetDraw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기록관리, 아키비스트, 전자기록이었으며, 범용적이고 일반적인 키워드를 제외하고서는 전자기록,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학술 논문에 가장 많이 참여한 기관은 명지대, 한국외대, 중앙대, 부산대였고, 전체 기관 중 약 41%의 기관들이 대학 및 대학원이었다. 특히 명지대와 중앙대가 국내 기록관리학의 커뮤니티에서 가장 핵심 기관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