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ality analysi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5초

UML CASE 도구 프레임워크를 위한 공통성 및 가변성 (Commonality and Variability Analysis Method for UML CASE Tool Frameworks)

  • 최환복;이은서;김윤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6호
    • /
    • pp.927-93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UML CASE 도구 프레임워크 구축에 이용할 수 있는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은 동일 도메인에서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영역과 변하지 않는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확장과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 기법으로 클래스에 기반한 분류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표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 기법을 바탕으로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으며, 결함 제거 효율성을 이용해 분석 기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필립스 엑서터 도서관의 형태분석을 통한 루이스 칸 건축의 개별성과 공유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ngular and Commonality in Louis Kahn's Architecture focus on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Phillips Exeter Academy Library)

  • 오광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47-5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nstitution' in Louis Kahn's architecture and to reveal that it is expressed through singularity and commonality, which have two aspects; formal-material(eidos-hyle) aspect and phenomenological aspect. Under these recognitions, this paper shows the detail analysis on design process of Phillips Exeter Academy Library, focusing on his writings and sket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form is maintained through the design process of the Exeter library, and it is derive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human activities in the library. And second, each 'room' of the library acquires its singularity through structure and light. And the 'plan' is based on the commonality inherent in the singularity of each room. And the last, singularity and commonality are revealed not only In the relation of architectural elements but also In the relation with man and architecture.

서비스 제품에서 서비스 공통성 지수 (Service commonality index in a service product)

  • 김준홍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2-88
    • /
    • 2007
  • Service engineering is a new discipline which aims at basically understanding of service and a concrete methodology using engineering approach for service design. In this paper is introduced the serviset graph [7] which is a comprehensive concept to represent service products, processes, and operation activities. The proposed concept is a degree of commonality index in a service product in order to deal with service mass customization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in economic model.

엔트로피 척도(尺度)를 이용(利用)한 제품(製品)라인의 부품 (部品) 공통성(共通性) 및 중복성(重複性) 분석(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Analysis of Part Commonality and Redundancy in a Product Line by Entropy Measure)

  • 노재호
    • 산업기술연구
    • /
    • 제3권
    • /
    • pp.39-46
    • /
    • 1983
  • This paper presents a quantitative measure of the degree of part commonality and redundancy in a product line based on entropy measure of information theory. The several possible methods of analysis are discussed and the use of the entropy measure is discussed. These commonality and redundancy measure can be applied to analyze the usage pattern of part across a product line and to determine which parts have the broadest usage across the firm's product lines. An analysis of the results by entropy statistics is compared with the practical part usage in a simulation of several types of part usage's distributions.

  • PDF

동남아시아 토속주거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공통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ernacular House in Southeast Asia - In the Aspect of Commonality and Diversity -)

  • 주서령;김민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9-29
    • /
    • 2010
  • Vernacular houses in Southeast Asia are basically post and beam structures raised on pillars, with gabled roofs. They were designed and built by the people themselves to meet specific needs, accommodating the values, economies and ways of life of cultures that produce them. Their forms and housing cultures are very various according to the country and the region. But based on the common history and culture, the vernacular houses in Southeast definitely have comm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mmonality and diversity of the vernacular houses in Southeast Asia in the aspect of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e is the climate perspective, for which the analysis was made on the primar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limate, material, structure of the vernacular houses. The other one is the social-cultural perspective which try to find the religion, belief, life style and social and family relationship which controlled the forms of the housing under the surface. As a result, this study summarise and find the outstanding and unique meaning and definition of the vernacular houses in Southeast Asia.

컴포넌트의 재사용과 확장성을 위한 개발 방법 (A Study of Development Method for Component Reuse & Extension)

  • 이은서;이경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5호
    • /
    • pp.837-846
    • /
    • 2002
  • 컴포넌트 개발 시에 속성과 행위에 대한 공용성과 가변성을 분석하여 재사용과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용성과 가변성이 분석된 컴포넌트는 기능과 적합성의 불일치를 줄이고자하는 목적에서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역에 의하여 존재하는 컴포넌트의 공용성과 가변성을 분석해서, 컴포넌트의 기능을 행위분석에 의하여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에 의하여 컴포넌트의 재사용과 확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환경성을 고려한 새로운 그린 Product Family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Green Product Family Index Consider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 서광규;전한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175-180
    • /
    • 2013
  • 글로벌 마켓에서 경쟁하기 위하여 많은 기업들은 제품의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고, 리드타임을 줄이고,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product family를 적용하고 있다. 성공적인 product family를 위한 핵심요인은 플랫폼을 도출하는 것이다. Product family를 설계할 때, 제품의 공통성과 차별성간의 절충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duct family내에서 공통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공통성 지수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통성 지수는 공통 부품수, 비용, 제조 공정 등과 같은 서로 다른 변수들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된 공통성 지수를 벤치마킹하여 환경성을 고려한 새로운 product family 평가 지수인 그린 product family 지수(GPFI)를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에 개발된 공통성 지수들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GPFI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제안한 지수의 적합성과 효과성에 대하여 검증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개발한 그린 product family 지수는 환경친화적인 product family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성 지향의 제품계열분석 모델의 정형적 정의와 일관성 분석 (Formal Definition and Consistency Analysis of Feature-Oriented Product Line Analysis Model)

  • 이관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2호
    • /
    • pp.119-127
    • /
    • 2005
  • 제품계열분석(product line analysis)은 제품계열자산(product line asset)을 개발하기에 앞서, 제품계열 내에 속한 제품들의 다양한 요구사항과 이들 간의 관계 및 제약사항을 분석하는 활동을 말한다. 지금까지 특성모델링(feature modeling)이라 불리는 특성 지향의 공통성과 가변성 분석은 제품계열분석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어 왔다. 비록 공통성과 가변성 분석이 제품계열분석의 핵심적인 요소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재사용가능하고 적응성이 뛰어난 제품계열자산(예, 아키텍처와 컴포넌트) 개발에 한계가 있다. 특성간의 의존성 및 특성결합시간도 제품계열자산 개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공통성과 가변성 관점에서 제품계열을 분석한 결과인 특성모델(feature model)을 세 가지의 특성 측면(즉, 제품특성의 공통성과 가변성, 특성간의 의존성, 그리고 특성결합시간)으로 확장한 특성지향의 제품계열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세 가지 측면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특성 지향의 제품계열분석 모델을 정형적으로 정의하고, 모델의 일관성을 검사하는 규칙을 제공한다.

도메인 핵심자산의 가변성 분석을 위한 2차원적 접근방법 (A 2-Dimensional Approach for Analyzing Variability of Domain Core Assets)

  • 문미경;채흥석;염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6호
    • /
    • pp.550-563
    • /
    • 2006
  • 소프트웨어 재사용에 대한 활동들을 미리 계획하고 개발 프로세스의 연속적인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방법이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공학이다. 이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련된 시스템들, 즉 도메인에서 공통성과 가변성(commonality and Variability: C&V)을 분석하는 일이다. 재사용 가능 항목들은 분석된 C&V를 명시적으로 나타냄으로써 프로덕트 라인의 핵심자산이 된다. 이러한 핵심 자산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각기 다른 단계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표현요소들의 추상화 수준이 다르며 이로 인해 각 핵심 자산이 가지고 있는 가변성 또한 각기 다른 수준에서 각기 다른 유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핵심자산의 C&V 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핵심자산의 구분 없이 일관되게 가변성을 분석하였으며, 공통성과 가변성 식별을 단지 개발자의 직관이나 도메인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핵심자산의 가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적 측면과 수평적 측면으로 나누어 접근해가는 2차원적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수평적 접근 방법은 개발 프로세스의 각기 다른 단계에서 산출되는 요구사항, 아키텍처, 컴포넌트의 수준에서 가변성의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고, 수직적 접근 방법은 가변성의 상세화 정도에 따라 공통성을 식별하는 수준과 가변점을 상세화하는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2차원적 가변성 분석접근 방법은 핵심자산들의 가변성이 서로 연관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며, 핵심자산의 재사용 활동이 끊어짐 없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소프트웨어 제품 계열 공학의 온톨로지 기반 휘처 공동성 및 가변성 분석 기법 (Ontology-based Approach to Analyzing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Features in the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 이순복;김진우;송치양;김영갑;권주흠;이태웅;김현석;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3호
    • /
    • pp.196-211
    • /
    • 2007
  • 제품 계열 공학에서 제품의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을 결정짓게 하는 기준인 휘처 (feature) 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는 개발자의 직관이나 도메인 전문가의 경험에 근간으로 분석 기준이 객관적이지 못하며, 비정형적인 휘처 분석으로 인한 이해 당사자 (stakeholder)의 공통된 휘처의 이해 부족 및 불명확한 휘처를 추출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 개발된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된 휘처의 재사용 개념이 부족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도메인의 휘처 모델을 온톨로지로 변환하여 의미 기반 유사성 분석 기준에 의해 휘처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공통된 휘처 중심의 메타 휘처 모델 기반으로 휘처의 속성을 정립하고, 메타 모텔에 준거하여 휘처 모델을 생성하여 온톨로지로 변환 후, 휘처 온톨로지 리포지토리 (Repository)에 저장한다. 이후, 동일 제품 계열 도메인의 휘처 모델 구축 시, 기 존 생성 모델과 온톨로지의 의미 기반 유사성 비교 분석 기법을 통해 휘처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또한 유사성 비교 알고리즘을 툴로 구현하였으며, 전자 결재 시스템 도메인의 실험 및 평가를 통 해 효과성을 보인다. 본 기법을 통해 메타 휘처 모델의 구문적 정립으로 이해성과 정확성을 제고시켜 고품질의 휘처 모델을 구축할 수 있으며, 온톨로지의 의미 기반 매핑으로 휘처의 공통성 및 가변성 추출을 정형화할 수 있고,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