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squid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9초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으로부터 aminopeptidase 활성 획분의 쓴맛 개선 효과 (Lowering the Bitterness of Enzymatic Hydrolysate Using Aminopeptidase-active Fractions from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 김진수;김혜숙;이현지;박성환;김기현;강상인;허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16-722
    • /
    • 2014
  • 국내산 살 오징어 간췌장 조효소를 추출한 다음, 단백질 성질에 기초한 분획방법(용해도, 전기적 성질 및 분자량크기)으로 분획한 endoprotease 및 aminopeptidase 활성 획분들에 대한 분해 활성 비교한 다음, 이들 획분의 반응시간에 따른 쓴맛 casein 가수분해물의 쓴맛 개선 효과를 효소활성, 관능검사 및 HPLC 크로마토그램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획방법별 각 획분의 쓴맛 평가에 의한 쓴맛 개선 효과는 겔 여과법에 의하여 분획된 획분(GF-I, 30-50 kDa)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GF-I 획분을 2% Gly-phe에 준하는 쓴맛 casein 가수분해물에 대하여 1/500의 비율로 첨가한 다음, 16시간 이상 반응시킨 가수분해물은 HPLC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친수성이 강한 피크면적(피크 1, 2 및 4)은 증가한 반면, 소수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피크면적(피크 3, 5 및 6)가 감소하였으며, 쓴맛 평가 결과에서도 쓴맛 개선 효과가 뚜렷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오징어 간췌장 유래 aminopeptidase의 효율적인 산업적 이용을 위한 단백질 분자량 크기에 따른 연속분획 공정을 통한 대량회수 방법 및 쓴맛 개선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리된 아미노산분석, 효소안정성, 기질특이성 등에 대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2015년 하계 및 추계 동해 남서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유생의 분포 양상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Larva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Summer and Autumn, 2015)

  • 김윤하;신동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0-228
    • /
    • 2019
  •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살오징어 유생 출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8, 9, 11월 여수 근해부터 평해 연안까지 총 35개 정점에서 IKMT 네트(망목 : $500{\mu}m$)를 사용하였으며, 초기 생활단계의 주요 해양환경 인자인 수온은 CTD(SBE9plus)로 관측하였다. 유생의 월별 외투장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software(ver. 12.0)를 이용하였다. 채집된 살오징어 유생의 개체수는 총 228개체로 외투장 범위는 1.4 - 21.9 mm였다. 유생밀도 범위는 8월에 $0.2-5.2inds./1,000m^3$, 9월에 $0.1-3.2inds./1,000m^3$, 11월에 $0.3-7.9inds./1,000m^3$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생은 연안측 정점보다 조사해역의 동남부인 부산 근해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8, 9, 11월의 유생출현률은 각각 64.3 %, 62.9 %, 68.6 %였다. 평균외투장 범위는 5.24 - 5.68 mm였으며, 월별 평균외투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또한 외투장 분포에서 4 - 5 mm 구간의 유생이 최다 출현빈도를 보였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에서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대가 8월에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표층부터 약 20 m 부근까지 유생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수온대가 존재하였던 반면, 9월과 11월에는 표층부터 유생이 서식하기 적합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얕은 수심의 연안쪽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적수온대가 형성되었으며, 100 m 이상의 깊은 수심의 외양쪽 정점에서는 표층부터 수온약층의 상층부까지 유생의 생존가능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수컷 생식기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anatomical Structure of Male Reproductive Organ in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 신소령;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23
  • 연구에서는 두족류의 생식생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두족류인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수컷의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하였다. 살오징어는 자웅이체로 외투막에 투과되는 생식기관의 색과 교접완을 통하여 암, 수를 구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가진다. 수컷 생식기관은 정소, 1차 수정관, 정포선, 정포낭, 2차 수정관으로 구성된다. 살오징어의 수컷은 정포 형성기관인 정포선과 같은 특수화된 생식기관을 가진다. 정소는 조직학적으로 정세관형이었다. 1차 수정관은 정소의 후방부터 정포선까지 연결된 가늘고 긴 역삼각형의 용수철 형태였다. 내부에는 H-E 염색에서 호염기성으로 반응하는 정자가 가득 차 있었다. 정포선은 1차 수정관과 정포낭에 연결된 불규칙한 타원형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관상선이 존재하였다. 정포낭은 정포선과 2차 수정관 사이에 위치하는 관 구조로 내강에서는 다수의 정포가 확인되었다. 2차 수정관은 정포낭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정포를 갖고 있었다. 정포는 길이 약 22 mm의 길고 투명한 관 형태로 내부에는 정자 덩어리를 갖고 있었다.

비차폐 환경에서의 고온초전도 SQUID 2차 미분기의 특성연구 (High-$T_c$ 2nd-order SQUID Gradiometer for Use in Unshielded Environments)

  • 박승문;강찬석;이순걸;유권규;김인선;박용기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5권1호
    • /
    • pp.50-54
    • /
    • 2003
  • We have fabricated $∂^2$$B_{z}$ /$∂x^2$ type planar gradiometers and studied their properties in operation under various field conditions. $YBa_2$$Cu_3$$O_{7}$ film was deposited on $SrTiO_3$ (100) substrate by a pulsed laser deposition (PLD) system and patterned into a device by the photolithography with ion milling technique. The device consists of 3 pickup loops designed symmetrically Inner dimension and the width of the square side loops are 3.6 mm and 1.2 mm,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dimensions of the center loop are 2.0 mm and 1.13 mm. The length of baseline gradiometer is 5.8 mm. Step-edge junction width is 3.0 $\mu\textrm{m}$ and the hole size of the SQUID loop is 3 $\mu\textrm{m}$ ${\times}$ 52 $\mu\textrm{m}$. The SQUID inductance is estimated to be 35 pH. The device was formed on a 20 mm ${\times}$ 10 mm substrate. We have tested the behavior of the device in various field conditions. The unshielded gradiometer was stable under extremely hostile conditions on a laboratory bench. Noise level 0.45 pT/$\textrm{cm}^2$/(equation omitted)Hz and 0.84 pT/$\textrm{cm}^2$/(equation omitted)Hz at 1 Hz for the shielded and the unshielded cases, which correspond to equivalent field noises of 150 fT/(equation omitted)Hz and 280 fT/(equation omitted)Hz, respectively. In spite of the short baseline of 5.8 mm, the high common-mode-rejection-ratio of the gradiometer, $10^3$, allowed us to successfully record magnetocardiogram of a human subject, which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the design in biomagnetic studies.

  • PDF

1980-1990년대 동해에서 해구별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어획량과 해양환경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 by Sea Block and Marine Environment in the East Sea during 1980s and 1990s)

  • 김윤하;문창호;최광호;이충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9-268
    • /
    • 2010
  • 20년간(1980-1999) 동해의 해구(위경도 $30'{\times}30'$)별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총 어획량과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gear/day, CPUE)을 분석하여, 특정 해역에서 오징어 어획량이 높은 원인을 물리(수온), 생물학적 환경 인자(동물플랑크톤 생체량)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구별 총 어획량과 CPUE는 1980년대보다 1990년대에 증가하였다. 20년간 평균어획량이 높았던 해구는 동해 남부 5개 해구(No. 87, 76, 82, 83, 88)이었고, CPUE가 높았던 해구는 울릉도와 울진 부근의 해구(No. 65, 71, 72, 78)로 나타났다. 동해 전체 해구에서 이들 특정 해구의 총 어획량과 CPUE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5.1%와 62.1%였다. 총 어획량과 CPUE가 높은 해역은 쓰시마 난류의 북방한계 지표수온인 $10^{\circ}C$의 등온선의 상부 수층에 위치하였으며, $10^{\circ}C$ 등온선의 분포 위치에 따라 해구별 총 어획량과 CPUE가 다르게 나타났다. 해구별 동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분포와 오징어 어획량 간에는 높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전체 해구의 동물플랑크톤의 연간 총 생체량과 오징어 총 어획량의 시계열 변화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오징어 간 가수분해물의 기능성 (Functionalities of Squid Liver Hydrolysates)

  • 이수선;박시향;박주동;;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77-1685
    • /
    • 2012
  • 북해도산 오징어 간의 유효이용을 목적으로 자가소화물과 Protamex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식품학적 특성과 몇 가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자가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은 간의 함량 93.5%, pH 6.4, 항온온도 $47^{\circ}C$였으며, Protamex 가수분해의 최적 조건은 오징어 간에 대한 Protamex의 첨가비율 0.33%, pH 6.0, 가수분해온도 $55^{\circ}C$이었다. Promatex 가수분해물의 총 아미노산 조성에서 proline, cysteine 및 methionine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조성에서는 검출되었다. 오징어 간, 자가소화물 및 Promatex 가수분해물의 카드늄 함량은 건조 중량으로 각각 $8.32{\pm}0.03$ mg/100 g, $3.56{\pm}0.02$ mg/100 g, $13.26{\pm}0.04$ mg/100 g으로서 식품안전 규정 이하의 농도로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자가소화물의 주요 저분자 물질의 분자량은 1.0~1.5 kDa인 반면, Protamex 가수분해물은 210~470 Da이었다. 자가소화물과 Protamex 가수분해물 간에 표면 소수성, 유화활성 지표, 유화안정성, 지방 및 수분 흡착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높은 ACE 효소 저해효과가 관측되었다. 한편 HepG2 세포주에 대한 독성은 200 ${\mu}g/mL$까지 관측되지 않았다.

한국동해안 오징어 어황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 Eastern Korean Sea)

  • 박종화;최광호;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4호
    • /
    • pp.327-336
    • /
    • 1992
  • In order to establish one of the forecasting model for the fishing conditions of squid angling fisheries in the Eastern Korea Sea, the catch data for the years of 1955~1991 and the water temperature data for the years of 1979~1990 were analysed, and then some parameters, that is, the water temperature normal year anomaly in the spawning and the rapidly growing season, the adult resource amount and etc were examined statistically correlation with the catch fluctuation of the main fishing seasons. From the result, authors suggested a formula as a forecasting model, Y=25785+1099X sub(1)+1074X sub(2)+6.033X sub(3)+3.95X sub(4)+1.330X sub(5)(M/T)(R super(2)=0.867, P<0.01) in the case that Y is the yearly catch, X sub(1) and X sub(2) are the water temperature normal year anomalies in October and December of the previous year and that in February and April, and X sub(3), X sub(4) and X sub(5) are the catches in October, in September, in November of previous year respectively. Because these parameters could be checked in earlier time of a half year before the main fishing season, this model was assumed to be very useful for the prediction of fishing conditions of squid angling fisheries.

  • PDF

한국 동해 울진 연안어업의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 (Ecosystem-based resource assessment on coastal fisheries of Uljin in East Sea of Korea)

  • 윤상철;장창익;서영일;김장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4호
    • /
    • pp.567-582
    • /
    • 2014
  • Coastal fisheries in Korean waters have highly complexity with a variety of fishing gears, and scale of those fisheries is smaller than that of offshore fisheries. As a result, important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for many species of fish has been destroyed. The pragmatic ecosystem-based approach was developed for the assessment of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by Zhang et al. (2009; 2010). As for the species risk index (SRI), common squid caught by coastal gillnet in the Uljin region had the highest risk. As for the fisheries risk index (FRI), coastal gillnet in the Uljin coastal waters had the highest risk. For the common squid which had the highest SRI,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es must be established such as catch prohibition of length and period with TAC. For the coastal gillnet in the Uljin region which had the highest FRI, it is judged to need management plans for conserving biodiversity as reducing the catch of non-target species and discards. Also to protect existing habitat, illegal fishery should be prohibited, and fishing gears should be designed in the environmental-friendly way considering when fishing gears lost.

한국 해역에 분포하는 오징어 (Todarodes pacificus)의 생식생태학적 방법에 의한 계군분석 (Population Analysis by the Reproductive Ecological Method for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 김영혜;강용주;최수하;박차수;백철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3-527
    • /
    • 1997
  • 본 연구는 분리된 세 개의 군이 서로 다른 독특한 생식생태를 가지는 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군의 산란기, 난경 조성, 포란수 및 성숙 외투장을 조사하였다. 하계군의 산란기는 7월$\~$8월 (주산란기, 7월), 난경 분포는 $0.4\~2.4mm$ (최빈값, 0.8 mm)이었고, 포란수는 $F=0.1\times10^{-6}{\times}ML^{0.5036}$이었다. 추계군의 산란기는 9월$\~$이듬해 1월 (주산란기, 9월), 난경 분포는 $0.2\~1.4mm$ (최빈값, 0.8mm)이었고, 포란수는 $F=1.0017{\times}ML^{3.2864}$ 이었다. 동계군은 3월$\~$4월 (주산란기, 3월)이었으며, 난경 분포는 $0.4\~2.0mm$ (최빈값, 1.0 mm)이었다. 포란수는 $F=1.0499{\times}ML^{1.2953}$ 이었다. 성숙외투장은 하계군, 추계군 및 동계군 모두 $20\~22cm$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산란기, 포란수 및 난경의 분포는 군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성숙외투장은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Fluctuations of Pelagic Fish Populations in Relation to the Climate Shifts in the Far-East Regions

  • Gong, Yeong;Jeong, Hee-Dong;Suh, Young-Sang;Park, Jong-Hwa;Seong, Ki-Tack;Kim, Sang-Woo;Choi, Kwang-Ho;Han, In-Se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1호
    • /
    • pp.23-38
    • /
    • 2007
  • Based on a time series of ocean climate indices and catch records for seven pelagic fish species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and Kuroshio-Oyashio Current (KOC) regions from 1910 to 2004, we detected regional synchrony in the long-term fluctuations of the fish populations and identified alternation patterns of dominant species related to climate shifts. The annual catches of Pacific herring, Japanese sardines, Japanese anchovies, jack mackerel, chub mackerel, Pacific saury and common squid in the TWC region fluctuated in phase with those in the KOC region, which suggests that they were controlled by the same basin-wide climate forcing. After the collapse of the herring fishery, the alternation sequence was: sardines (1930s), Pacific saury, jack mackerel, common squid and anchovies ($1950s{\sim}1960s$), herring ($late\;1960s{\sim}early\;1970s$), chub mackerel (1970s) and then sardines (1980s). As sardine biomass decreased in the late stages of the cool regime, catch of the other four species increased immediately during the warm period of the 1990s.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mplitude of long-term catch fluctuations for the seven pelagic fishes could be explained by regional differences in availability, fishing techniques and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