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ed polyethylene fil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착색(着色)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이 잡초(雜草)의 발아(發芽), 발생(發生)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lored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Germination, Emergence, and Growth of Weeds)

  • 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3
    • /
    • 1985
  • 1. 화간(畫間) 지온(地溫)은 나지(裸地), 투명(透明) 및 청색(靑色)필름에서 높은 반면, 흑색(黑色) 및 녹색(綠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한 경우에 낮으며 투광율(透光率)도 흑색(黑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하였을 때 매우 낮았다. 2. 바랭이, 쇠비름, 망초를 제외한 대부분의 잡초는 투명(透明)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으나 흑색(黑色)필름에서는 불량(不良)하였다. 청색(靑色)필름에서 쇠비름, 강아지풀과 털비름의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된 반면, 망초, 메귀리, 명아주, 바랭이, 망초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雜草)는 녹색(綠色) 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었다. 3.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는 투명(透明)필름에서 가장 많았고, 나지(裸地)에서도 비교적 많이 발생(發生)되었으나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매우 적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가 거의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4.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中)은 투명(透明)필름과 나지(裸地)에서 매우 높은 반면,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현저하에 감소(減少)되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의 생장(生長)이 완전히 억제(抑制)되었다.

  • PDF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Polyethylene Film House 재배시(栽培時) 주요성분(主要成分)에 미치는 Light Quality의 영향 - II. Chlorophyll, Carotenoid 및 Capsaicin 함량(含量) -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Major Components of Hot Pepper Plant(Capsicum annuum L.) Grown in Polyethylene Film House -II. Chlorophyll, Carotenoid and Capsaicin Content-)

  • 김광수;김순동;박정륭;노승문;윤태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0
    • /
    • 1978
  • 고추의 Polyethylene Film house 재배시에 피복 재료로서 White, Blue, Green 및 Red Color의 Film을 사용하여 광질에 따른 실험을 행한 바 있다. White와 Red Film의 처리시에 Chlorophyll, Carotenoid, 및 Capsaicin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總) Chlorophyll의 함량은 White구가 $208.9{\mu}g/g$-F.W., Red구가 $153.0{\mu}g/g$-F.W.으로서 White구에서 그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Chlorophyll a,b의 비는 White, Red구가 각각 2.15, 2.13으로 비슷하였다. 2. 총(總) Carotenoid는 Red구가 White구의 3.4배에 달하였으며, 특히 $\beta$-carotene은 Red, White구가 각각 $490.6{\mu}g%,\;75.5{\mu}g%$로서 Red구에서 현저히 많았다. 3. Capsaicin의 함량은 Red구가 White구보다 약 20%정도 높았다.

  • PDF

신미종(新味種) 고추의 Polyethylene Film House 재배시(栽培時) 주요성분(主要成分)에 미치는 Light Quality의 영향 -I. 생육상태(生育狀態)-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Major Components of Hot Pepper Plant (Capsicum annuum L.) Grown in Polyethylene Film House -I. Growth and Development-)

  • 김광수;노승문;김순동;이성우;윤태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3호
    • /
    • pp.296-299
    • /
    • 1977
  • 신미종(辛味種) 고추(Saemaeul No. 1)의 polyethylene-film house 재배시에 피복재료로써 광질이 다른 white, blue, green 및 red color의 0.06mm polyethylene film을 사용하여 재배시험을 행하고 생육상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red구가 78.8cm로서 가장 크고 white구가 다음이였으며, blue, green구는 각각 67.4, 63.6cm로 매우 저조하였다. 그리고 $5{\sim}7$단 사이의 잎의 평균중량은 white, red구가 각각 0.40, 0.39g으로써 비슷하였고 blue, green 구에서는 0.31. 0.32g으로써 초장에서와 같이 생장상태가 불량하였다. 2. 착과율은 white.구가 48.0%, red구가 46.1%로서 white구가 다소 높았으며, blue, green구에서는 착과가 되지 않았다. 그리고 과실의 중량은 red구가 3.32g으로써 white구의 2.81g보다 높았으며, 또 재배중에 유색(blue, green, Red)구, 그중에서도 red구가 white구에서 보다 충해가 적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3. 잎의 무기질 중에서 K. Mg는 생육상태가 불량한 blue, green구에서 white, red구보다 많았고 Fe는 green구에서, 그리고 Mn은 blue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white구에서는 Fe, Mn이 다같이 적었다.

  • PDF

멀칭비닐 색상과 제거시기가 야콘(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ethylene Mulch Color and its Removing Time on Growth and Yield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

  • 두홍수;문정길;권태오;류점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5-212
    • /
    • 1999
  • 야콘재배에 있어서 무멀칭구와 PE 멀칭구 그리고 PE 멀칭의 종류별로 야콘의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하고, 전생육기간 동안 비닐멀칭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다수확을 위한 야콘재배의 지표를 설정하고자 실시 하였다. 1. 수확시기에 멀칭구의 초장이 $134{\sim}139$ cm로써 비멀청구의 112 cm에 비하여 10 cm이상 컸으며, 다른 형질들 역시 초장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2. 주당 수량 역시 멀칭구가 $0.79{\sim}$0.91 kg으로써 비밀칭구의 0.61kg에 비해 많아 멀칭에 의하여 증수되었다. 3. 멀칭재료는 배색비닐에서 초장이 139 cm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투명비닐, 녹색비닐 그리고 흑색비닐 순으로 짧아졌으나, 주당 수량은 배색비닐에서 0.91 kg으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흑색비닐, 녹색비닐 그리고 투명비닐 순으로 적어졌다 4. 수확시기까지 멀칭비닐을 제거하지 않는 것이 재배중간에 멀칭비닐을 제거하는 것보다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다. 5. 야콘재배에 있어서 멀칭은 지온상승과 토양수분을 보존함으로써 증수에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폴리에틸렌 멀칭재배시(栽培時) 농약(農藥)의 토양(土壤) 및 작물체중(作物体中) 잔류(殘留)에 관한 연구(硏究) - 제(第) 1 보(報) 토양환경상(土壤環境相)에 미치는 폴리에틸렌 피복(被覆)의 영향(影響) (Studies on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Soils and Crops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 - I. Effect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Change of Soil Environment)

  • 양환승;문영희;김낙응;이진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9-305
    • /
    • 1987
  • 폴리에틸렌필름(P.E) 피복(被覆)이 토양(土壤)의 지온(地溫), 수분(水分), 삼상분포(三相分布), 비료(肥料)의 경시(經時)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온도(土壤溫度) : 최고(最高), 최저온도(最低溫度) 모두 투명(透明)P.E피복(被覆) > 흑색(黑色)P.E피복(被覆) > 노지(露地)의 순(順)으로 높았고, 투명(透明)과 흑색(黑色)의 P.E피복구(被覆區) 사이의 온도차(溫度差)는 $2{\sim}4^{\circ}C$, 투명(透明)P.E피복(被覆)과 노지구(露地區)사이에는 $6{\sim}^{\circ}C$였다. 피복유무(被覆有無)에 따른 지온차(地溫差)는 최저온도(最低溫度)에서보다 최고온도(最高溫度)에서 흐린 날 또는 강우시(降雨時)보다 청천일(晴天日)에서가 차(差)가 컸다. 2) 토양수분(土壤水分) : 건조기(乾燥期)에 있어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흑색(黑色)P.E > 투명(透明)P.E의 피복(被覆) > 노지(露地)의 순위(順位)로 높았으며, P.E피복구(被覆區)와 무피복구(無被覆區) 사이에는 5% 내외(內外)의 수분(水分) 함량차(含量差)를 나타냈다. 그러나, 우기(雨期)에는 P.E피복구(被覆區)보다 노지구(露地區)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7~8% 높았으나 P.E필름종류간(種類間)에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3) 토양삼상분포(壤三相分布) : 건조기(乾操期)에는 평균(平均) 액상비(液相比)가 노지구(露地區)에서보다 P.E피복구(被覆區)에서 3~4% 높았고, 기상비氣相比)는 P.E피복구(被覆區)보다 노지구(露地區)에서 높았다. 우기(雨期)에 있어서는 반대(反對)로 노지구(露地區)에서보다 P.E피복구(被覆區)에서 기상비(氣相比)가 7~8% 적었고, 기상비(氣相比)는 노지구(露地區)보다 P.E피복구(被覆區)에서 컸다. 4) 토양중(土壤中) 비료성분(肥料成分)의 변화(変化) : 퇴비(堆肥)와 복비(複肥)를 시용(施用)한 고추포장(圃場)에서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시용(施用) 58일(日)까지는 흑색(黑色)P.E > 투명(透明)P.E의 피복(被覆) > 노지구(露地區)의 순(順)으로 높았으나 그 후(後)에는 차(差)가 좁혀졌다. 복비((複肥)만 시용(施用)한 땅콩포장(圃場)에서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시용(施用) 30일(日) 후(後)까지는 노지구(露地區)에서가 투명(透明) P.E피복구(被覆區)에서보다 약간(若千) 높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그 후(後)부터는 차(差)가 없었다 고추포장(圃場)에 있어서 질소함량(窒素含量)은 건조기간(乾燥期間) 중(中)에는 P.E피복유무간(被覆有無間)에 근소(僅少)한 차(差)를 보였으나 시비(施肥) 86 일(日) 후(後)인 우기(雨期)에는 피복구(被覆區)보다 노지구(露地區)에서 그 함량(含量)이 급속(急速)히 감소(減少)되었다. 땅콩포장(圃場)에 있어서 질소함량(窒素含量)은 피복(被覆) 유무간(有無間)에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시비(施肥) 36 일(日) 후(後)까지는 서서히 그 양(量)이 감소(減少)하였으나, 58 일(日) 이후(以後)부터는 급감(急減)하였다. 땅콩과 고추의 잎 중(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은 P.E피복구(被覆區)가 노지구(露地區)보다 뚜렷이 높았다.

  • PDF

다년생(多年生) 논 잡초(雜草)의 출아(出芽) 및 괴경생성(塊莖生成)에 미치는 제요인(諸要因) (Factors Affecting Emergence and Tuber Formation of Lowland Perennial Weeds)

  • 최충돈;김순철;이수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8-163
    • /
    • 1988
  •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주요(主要)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의 발아(發芽) 및 괴경생성(塊莖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수행(遂行)하였던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시(發芽時)부터 종료(終了)되기까지의 소요기간(所要期間)은 올방개와 벗풀은 $30^{\circ}C$에서 10일(日) 이상(以上)인 반면(反面) 가래 너도방동산이 올미는 4일정도(日程度)였으며, GA는 벗풀의 출수기간(出穗期間)을 단축(短縮)시켰으며 uniconazole은 출아(出芽)를 지연(遲延)시켰다. 2. 올방개와 너도방동산이는 20 cm의 토심(土深)에서도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하였으며, 벗풀은 15 cm 이상(以上)에서는 출아(出芽)가 불가능(不可能)하였다. 3. 올방개와 너도방동산이는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어질수록 괴경생성량(塊莖生成量)과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이 감소(減少)되었으며,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에 대(對)한 괴경생성량(塊莖生成量)의 비율(比率)은 올방개가 높았다. 4. 올방개는 출아후(出芽後) 60일(日)에, 너도방동산이는 90일(日)에 절엽(切葉)하는 것이 괴경생성(塊莖生成)에 크게 영향(影響)을 주었으며, 절엽정도(切葉程度)가 클수록 괴경생성(塊莖生成)이 억제(抑制)되었다. 5. 착색(着色)필름의 피복(被覆)은 올방개와 너도방동산이의 괴경생성(塊莖生成)을 억제(抑制)시켰는데, 흑색(黑色)이 가장 심하였고 주황색(朱黃色), 청색(靑色), 적색(赤色)의 순(順)이었다. 6. Uniconazol과 pachlobutrazol의 처리(處理)에 의해 올방개의 괴경생성(塊莖生成)이 억제(抑制)되었는데,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빠를수록 또한 약량(藥量)이 증가(增加)될수록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높았다.

  • PDF

파풍망 종류에 따른 키위의 발아, 개화 및 과실 특성 (Budbreak, Floral Bud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Kiwifruit as Affected by Various Windbreaks)

  • 곽용범;김홍림;이목희;이한철;곽연식;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9-174
    • /
    • 2017
  • 태풍에 의한 조기낙엽과 같은 바람피해 예방을 위해 키위재배에서 이용되고 있는 파풍망의 종류에 따른 과수원 내 미세기상의 차이 및 과실품질과 이듬해 발아,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키위재배에서 바람피해 예방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5종류의 파풍 소재를 4.3 m 높이의 철재 하우스 골조의 지붕에 피복하였다. 파풍망 종류에 따른 과원 내 광합성유효광선(PAR) 투과량, 연평균기온 등의 미세기상과 저온요구도 충족여부 및 과실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4~10월 생육기에 연평균 $400{\mu}mol\;m^{-2}s^{-1}$이상의 PAR투과율을 나타내 키위의 최대순동화율에 필요한 광량이 부족하지 않았다. 연평균 기온은 PE필름에서 파풍망에 비해 $1{\sim}2^{\circ}C$높았다. 3가지 모델에 의해 산출된 저온요구도(CU)는 파풍망 종류에 관계없이 1400 CU 이상으로 키위의 발아, 개화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충족하였다. 결과모지 눈의 발아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과중은 PE필름과 백색망 4 mm 피복처리에서 다른 파풍망보다 증가했다. 결론적으로 PAR 투과, 연평균 기온, 과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PE필름과 백색 4 mm 파풍망이 키위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