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paste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2초

표고버섯 함유 어묵의 물성 특성 (Texture Properties of Surimi Gel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 손미희;김소영;하정욱;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59-863
    • /
    • 2003
  • 기능성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항암성 및 혈압강하능을 가지고 잇는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을 각각 0, 5, 10, 15 및 20% 첨가한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도 변화 및 절곡검사, 물성 특성,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어묵의 색도는 표고버섯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 b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로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 어 표고버섯의 첨가에 관계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 첨가 어묵의 물성측정 결과에서, 20%의 표고버섯을 함유한 어묵에서 강도, 경도, 탄성, 껌성 및 파쇄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고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어묵의 색도와 향기 부문에서는 표고버섯의 특유의 향이 강하므로 5% 첨가군에서 선호도가 높았으며, 맛과 조직감, 전체적인 선호도의 경우에서는 10%의 표고버섯이 첨가된 경우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표고버섯을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멸치를 함유한 고칼슘 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High Calcium Fish Paste Containing Anchovy)

  • 배명숙;하정욱;이승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561-566
    • /
    • 2007
  • 현대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인 칼슘의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영양성 및 기능성을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우유보다 배나 많은 칼슘 함유량을 가진 멸치를 분말화하여 각각 0, 5, 10, 15, 20%(w/w) 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칼슘 함유량, 색조변화, 물성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어묵에서 멸치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칼슘 함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무첨가군인 대조구의 kg당 0.4 g에 비하여 20% 첨가군에서 2.2 g으로 측정되었다. 멸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 a값은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에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군에서 AA로 측정되어 멸치분말 첨가량에 관계없이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하였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멸치분말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 경도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대조군과 5% 첨가군의 경우 맛, 향기, 조직감, 색깔,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5%, 20%에서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5%의 멸치분말을 첨가할 경우 물성적, 영양적으로 소비자들의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것으로 기대한다.

큰 느타리버섯을 첨가한 튀김 어묵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riend Surimi Gel Containing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김소영;손미희;하정욱;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55-858
    • /
    • 2003
  •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항암성 및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큰 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을 각각 0, 5, 10, 15 및 20% 첨가한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 변화, 물성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큰 느타리버섯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 그리고 b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로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큰 느타리버섯의 첨가에 관계 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10%의 팽이버섯을 함유한 어묵에서 강도, 응집성, 탄성, 껌성 및 파쇄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로, 버섯이 첨가할수록 어묵의 향기에 대한 선호도는 높았으나 맛과 조직감에 대한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큰 느타리버섯 10%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한 대두발효식품의 색상개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lor Improvement of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Using Various Aspergillus oryzae Strains)

  • 김상순;김순경;유명기;최홍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4
    • /
    • 1983
  • Aspergillus oryzae 6균주(A, B, C, D, E, F 등 6개구)를 이용한 콩된장및 개량된장의 색상개량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국중 protease 및 $\alpha$, $\beta$-amylase 활성은 콩된장구보다 개량된장구에서 더 높았고 전반적으로 48시간까지는 그 활성이 급격히 그리고 12시간까지는 서서히 증대되었으며, A 및 C 균주구의 활성이 높았다. 그리고 숙성중 일반성분, 단백질 화합물, pH 등의 변화에 있어서 콩된장 및 개량된장 모두 균주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균주에 따른 숙성중의 색상변화 즉 갈변현상은 균주의 차이에 따라 그 차가 심하였고 B 및 균주구에서 완만하여 색상이 우수하였으며 개량된장보다 콩된장에서 더 갈변이 심하였다. 그리고 숙성된장의 저장중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내부보다는 표면에서 더욱 심하였다. 그리고 이와같은 갈변화 현상은 효소학적 반응이 주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전반적으로 Aspergillus oryzae 2157(C)균주에 의한 된장 발효는 제품의 색상 개선효과가 현저하였고 관능적 특성, 효소활성등이 우수하였다.

  • PDF

울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Containing Curcuma longa L. Powder)

  • 최석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33-841
    • /
    • 2012
  • 본 연구는 높은 생리활성효과로 인해 높은 섭취관심도에도 불구하고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낮은 울금을 어묵제조에 부재료로 첨가하여 제품화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울금 분말을 어묵 제조 부재료인 밀가루 양 대비 0, 1, 3, 5, 7%를 첨가한 어묵을 제조한 다음, 수분, pH, 색도, 절곡 검사, 조직감 특성, 관능적 특성 및 관능 기호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울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수분 함량은 울금 분말의 첨가 여부 및 첨가량의 증가에 관계없이 각각 71.35~72.97%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pH는 울금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울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L값(lightness)은 낮아졌으며, a값과 b값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각 시료간 매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울금 분말 첨가 어묵의 절곡 검사 결과는 울금 분말 첨가유무와 첨가량 증가에 관계없이 AA로 측정되었으며, 어묵의 조직감의 특성 중 강도(strength)는 울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탄력성(springiness)은 울금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낮아졌고, 응집성(cohesiveness)은 울금 분말 7% 첨가구만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울금 분말 첨가 어묵의 관능 특성 중 색의 진한 정도는 울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이 진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울금 냄새의 정도는 울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강하게 평가되었고, 생선 비린내는 울금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매우 약하게 평가되어 울금 특유의 냄새가 비린내가 감소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수한 맛의 정도는 울금 분말 무첨가구가 가장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울금 분말 7% 첨가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반면, 느끼한 맛의 정도는 울금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울금 분말 무첨가구가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관능적 조직감의 항목 중 강도와 탄력성은 울금 첨가 유무와 첨가량 증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울금 분말 첨가량에 따른 어묵의 관능적 기호도는 어묵 제조시의 부재료인 밀가루 양 대비 3%의 울금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냄새, 맛, 전체적인 기호도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어묵의 제조시에 울금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외관(색)의 기호도를 높이고, 생선 특유의 비린내를 감소시키며, 느끼한 맛을 감소시키므로 제품화의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 중에서도 어묵 제조시에 첨가하는 부재료인 밀가루 양 대비 3%의 울금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색 식물을 이용한 약초부각용 발효찹쌀풀의 당, 산도, 점도 및 색도 변화 (Changes in Sugar Level, Acidity, Viscosity, and Color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Waxy Rice Paste Containing Colored Agro-food Products)

  • 고영란;손미예;정경숙;왕수빈;강성구;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66-275
    • /
    • 2009
  • 천연색소를 함유한 유색식물체 분말(울금, 복분자, 백련초, 홍피망, 녹차, 단호박, 뽕잎)과 찹쌀분말에 1, 3, 5% 첨가하여 호화시켜 L. lactis 젖산균으로 배양한 약초부각용 발효 찹쌀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당과 환원당은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찹쌀풀이 대조구인 생찹쌀풀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총산도는 유색식물체 분말농도를 증가시킨 젖산균 발효풀에서 점진적으로 증가되었는데, 단호박($1.02{\sim}1.56%$), 홍피망($0.96{\sim}1.87%$)에서 $3{\sim}4$배 크게 나타났다. 점도는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찹쌀풀에서 모든 비발효 찹쌀풀에 비하여 아주 낮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울금과 백년초의 분말을 이용한 비발효풀의 점도는 $100{\sim}160{\times}10^4mPa{\cdot}s$ 범위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복분자와 녹차는 $40{\times}10^4mPa{\cdot}s$ 이하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차계 색도의 명도(L)는 대조구인 비발효 찹쌀풀에 비하여 발효찹쌀풀은 약간씩 감소되었고, 황색도(b)는 울금과 단호박이 가장 높았으며 젖산균 발효에 따라서 대부분의 색소분말은 황색도가 약간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복분자 분말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찹쌀풀은 대조구에 비하여 기공의 형태가 일정하며 기공의 수가 많았다. 발효약초부각은 시판되는 해조류 부각보다 부드럽고 형태와 색상이 개선된 잠재적 기능성부각으로 판단된다.

황기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 김동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62-369
    • /
    • 2011
  • 본 연구는 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한 황기분말을 농도별로 첨가(0.5%, 1.0%, 1.5%, 2.0%)하여 어묵을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황기분말의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는 전체적으로 6.75-6.86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L값은 황기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a값은 높아지고 b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기분말 첨가 어묵의 절곡 검사 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황기분말의 첨가가 어묵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기계적 조직감 중 강도(strength)는 황기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검성(gumminess), 응집성 (cohesiveness), 파쇄성(brittleness)은 황기분말 2.0% 첨가구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황기분말 첨가 어묵의 관능적특성 중 생선 비린내 정도(fishy smell)는 황기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강도의 정도가 약해졌으며 구수한 냄새의 정도(savory smell)는 황기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구수한 맛의 정도(savory taste)는 황기분말 1.0% 첨가구가 6.27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느끼한 맛의 정도(oily taste)는 황기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황기맛의 정도(Astragalus membranaceus taste)는 황기냄새의 정도와 마찬가지로 황기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관능적 조직감의 정도는 각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 선호도 평가결과, 황기분말 1% 첨가구가 냄새, 맛, 조직감, 전반적인 선호도 항목에서 가장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여러가지 음식물에 따른 인공치의 색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various foods on the color stability of artificial teeth)

  • 이영일;조인호;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2-90
    • /
    • 2009
  • 서론: 최근 환자들의 심미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면서 고정성 영역 뿐 아니라 가철성 의치 분야에서도 심미적인 수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철성 의치의 심미성은 선택되는 인공치에 의하여 잘 표현된다. 의치용 인공치는 마모저항성 등의 기계적 요구조건은 물론, 색 안정성 등의 심미적인 조건 또한 충족되어야 하며 이러한 인공치의 색 안정성은 의치의 장기적인 성공률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의치용 인공치의 변색이나 착색은 의치상 레진과 함께 심미적인 문제를 발생시켜 왔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나 대부분 의치상 레진이나 연성이장재에 대한 것이고 인공치의 경우에도 주로 차나 음료수 등에 대한 것으로 한국인이 자주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을 증류수로 하고 한국인이 자주 섭취하는 간장, 고추장, 커피에 3 종류의 아크릴 레진 치아를 침전시킨 후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로 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인공치를 종류별로 40개씩 총 120개를 준비하여 각각 10개씩 오염원 (간장, 고추장, 커피, 증류수)에 침전시킨 후 1일, 1주, 2주, 4주, 8주후에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L^*$, $a^*$, $b^*$ 값을 측정한 후 CIE 표색계에 따라 $L^*$, $a^*$, $b^*$ 값을 이용하여 ${\Delta}E^*$를 산출하고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간장과 커피에서는 침전 시간에 따라 다양한 ${\Delta}E^*$ 값의 차이를 나타냈으나 고추장에서는 침전 시기에 관계없이 Duracross $Physio^{(R)}$가 Trubyte $Biotone^{(R)}$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Delta}E^*$ 값을 보였다 (P<.05). 2. Endura $Anterio^{(R)}$의 8주, Duracross $Physio^{(R)}$의 4주, 8주의 ${\Delta}E^*$ 값을 제외하고는 고추장에 침전된 인공치들은 그 종류에 관계없이 다른 오염원과 비교하여 유의한 ${\Delta}E^*$ 값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3. 고추장에 침전된 Endura $Anterio^{(R)}$와 Trubyte $Biotone^{(R)}$$a^*$, $b^*$ 값은 Duracross $Physio^{(R)}$의 값과 비교하여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볼 때 Duracross $Physio^{(R)}$가 Endura $Anterio^{(R)}$, Trubyte $Biotone^{(R)}$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색상 변화를 나타내고 고추장이 인공치의 색상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나 ${\Delta}E^*$ 값이 모두 3.3 이하이므로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발효음식이 의치상레진의 색상 및 표면경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RMENTED FOODS ON THE COLOR AND HARDNESS CHANGE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 전열매;임헌송;신수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4-355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For a long time, many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have been used for edentulous and partial edentulous patients because of easy manipulation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but its esthetic aspect has not been commented enough. Denture base acrylic resins also has caused esthetic problems due to discoloration or staining as in esthetic restoration. Many researches and reports have treated the problems and accomplished esthetic improvement. But these researches and reports dealt with general food colors or beverages, not with fermented foods.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assess what fermented foods, such as soy sauce, gochujang, and toenjang that many of Koreans have taken in, influence on the color and hardness variation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procedure, twelve disks per 4 denture base acrylic resins were fabricated with a thickness of 2mm and 16mm in diameter. Each seven specimen were measured for discoloration with spectrophotometer, while the others, five specimen, for surface hardness change with Barcol hardness tester, over time. Each 12 specimen were immersed into the 4 beakers of fermented foods(soy sauces, gochujangs, toenjangs, deionized water), and $L^{*},a^{*}$, and $b^*$ values were measured for the color difference$({\Delta}E^*)$, on the 1st, 7th, and 28th day with spectrophotometer, with the measurement of surface hardness change. Each data observed was processed statistically.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Discoloration 1. All of denture base resins was not influenced by the kind of fermented foods, except for $QC20^{(R)}$ 2.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caused more change for denture base resins than deionized water and soy bean paste, except for Perform$^{(R)}$ 3. Most significant change was shown in Lucitone 199$^{(R)}$, whereas Perform$^{(R)}$ results in the least change for all immersed solution,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ardness change 1. Barcol hardness values in deposited specimens have been changed low degree, but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change according to the kind of food and duration. 2. Lucitone$^{(R)}$ 199 as significantly lower Barcol hardness value than others do.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suggests that the habitual intake of fermented foods is not helpful for the color stability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because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mainly caused discoloration and surface hardness change. Particularly $Lucitone199^{(R)}$ shows specific discoloration and low surface hardness valu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giving caution patients with denture of $Lucitone199^{(R)}$ especially against the habitual intake of fermented foods like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전처리방법에 따른 새송이 된장절임의 품질특성 변화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Quality Changes in Mushrooms(Pleurotus eryngii) during Pickling with Fermented Soybean Paste)

  • 윤광섭;황성희;정헌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1-256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optimum pretreatment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Pleurotus eryngii pickled with the fermented soybean paste. Blanching(70 , 10min), salting(5%, 20 , 72hr) and drying(50 , 3hr) were used as pretreatment methods. The moisture loss of the mushrooms during pickling was accelerated more by salting and drying. Salinity increase was retarded by salting. Surface and internal browning of the mushrooms were suppressed by blanching. Hardness tended to increase sharply until 20 days of pickling and then slowly de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mushrooms pickled for 40 days were scored as the highest. Blanching was a superior treatment compared to the others in term of color, taste,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