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image segmentation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1초

슈퍼픽셀특성을 이용한 칼라영상분할 (Color Image Segmentation Using Characteristics of Superpixels)

  • 이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9-65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슈퍼픽셀특성을 이용한 칼라영상분할을 연구한다. 슈퍼픽셀은 특성이 비슷한 인접화소들을 묶어서 하나의 큰 화소로 취급하는 것으로 고속영상처리 및 영상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슈퍼픽셀특성이 비교적 우수한 $La^*b^*$ 칼라특징공간에서 슈퍼픽셀을 구하고 클러스터링 및 기울기기반 분할 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분할을 연구한다.

  • PDF

Automatic Object Segmentation and Background Composition for Interactive Video Communications over Mobile Phones

  • Kim, Daehee;Oh, Jahwan;Jeon, Jieun;Lee, Junghyun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1권3호
    • /
    • pp.125-132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object segmentation and background composition method for video communication over consumer mobile phones. The object region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motion and color variance of the first two frames. To combine the motion and variance information,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e motion boundary pixel and the neighboring color variance edge pixels was calculated, and the nearest edge pixel was labeled to the object boundary. The labeling results were refined using the morphology for a more accurate and natural-looking boundary. The grow-cut segmentation algorithm begins in the expanded label map, where the inner and outer boundary belongs to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respectively. The segmented object region and a new background image stored a priori in the mobile phone was then composed. In the background composition process, the background motion was measured using the optical-flow, and the final result was synthesized by accurately locating the object region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n extended, improved version of the existing background composition algorithm by considering motion information in a video. The proposed segmentation algorithm reduc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significantly by choosing the minimum resolution at each segmentation step.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generate a fast, accurate and natural-looking background composition.

  • PDF

자기 조직화 기법을 활용한 컬러 영상 배경 영역 추출 (Background Segmentation in Color Image Using Self-Organizing Feature Selection)

  • 신현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5호
    • /
    • pp.407-412
    • /
    • 2008
  • 잡음이 심한 배경을 가진 영상 내부의 영역 분할 처리 과정은 해결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그에 따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및 주어진 문제에 따라 실제적 적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분할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기존의 관심 객체 분할의 반대인 배경 영역 분할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연구의 중심으로 하였다. 기반 이론으로는 승자 독식 원리의 자기 학습 이론 알고리즘에서 특징 선택을 위한 자기 조직화를 분석하고 이를 문제 해결에 적용하였다. 실제적 영상 데이터를 통한 실험을 통해 배경 영역 분할을 적용한 영상 분할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실험 결과로 제시해 보였다.

색도 영상분할을 위한 문턱치 결정방법 (Determination of threshold values for color image segmentation)

  • 이병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869-875
    • /
    • 1996
  • This paper investigates a method for dtermining a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for color image segmentation. Principal components of normalized color is nalyzed and found that there are effective color transforms for outdoor scents. We esplain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treshold and the probability of a regiona detection, asuming bivarate Gaussian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is proportional to the segmented area.

  • PDF

거리정규화 레벨셋을 이용한 칼라객체분할 (Color Object Segmentation using Distance Regularized Level Set)

  • 란 안;이귀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3-62
    • /
    • 2012
  • 객체분할은 영상처리와 컴퓨터비전분야의 상당히 어려운 연구대상이다. 그레이스케일 영상에 대한 영상분할은 매우 많은 방법이 발표되었으며 다양한 영상특징과 처리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대개 자연상태의 칼라 영상에 적용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학적인 Active Contour 모델의 수정된 형태, 즉 거리정규화레벨셋(distance regularized level set evolution: DRLSE)을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여 스피드 함수가 이러한 칼라요소를 반영하도록 하였으며 실험결과 정확성과 시간효율성에 있어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웨이브렛 형태학 알고리즘 적용한 객체 분할의 클러스터링 분석 (Clustering Analysis of Object Segmentation applying Wavelet Morphology)

  • 백덕수;변오성;강창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3권2호
    • /
    • pp.39-48
    • /
    • 2006
  • 본 논문은 공간적 자동 객체 분할의 개념과 클러스터링 개념을 가진 웨이브렛 형태학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컬러 얼굴을 분할할 때 영상을 단순화하였으며, 또한 사용자의 조작 없이 실시간적으로 분할해 검출할 수 있도록 공간적 특성을 이용하였다. 이것은 HSV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잡음으로 간주되는 작은 부분을 제거하고, 얼굴영상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웨이브렛 형태학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웨이브렛 형태학 알고리즘과 형태학 알고리즘을 비교하였으며, 그리고 HSV 컬러 공간 모델을 적용한 영상에서 얼굴 객체 부분을 정확하게 검출함을 보였다.

동영상의 컬러 및 에지 정보에 기초한 Shape영역 segmentation 기법 (Shape region segmentation method using color and edge characteristics of moving images)

  • 박진남;이재덕;윤성수;허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145-148
    • /
    • 2002
  • A study on image searching and management techniques is actively developed by user requirements for multimedia information that are existing as images, audios, texts data from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We had been studied an automatical shape region segmentation method using color. distribution and edge characteristics of moving images for. contents-base description. The Proposed method uses a color information quantized on human visual system and extracts overlapped regions to be matched by using edg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fram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represented by similarity for comparison to a segmented image and original image.

  • PDF

A methodology for spatial distribution of grain and voids in self compacting concrete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s

  • Onal, Okan;Ozden, Gurkan;Felekoglu, Burak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5권1호
    • /
    • pp.61-74
    • /
    • 2008
  • Digital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or the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grains and voids in cemented materials were developed using toolbox functions of a mathematical software package. Utilization of grayscale, color and watershed segmentation algorithms and their performances were demonstrated on artificially prepared self-compacting concrete (SCC) samples. It has been found that color segmentation was more advantageous over the gray scale segmentation for the detection of voids whereas the latter method provided satisfying results for the aggregate grains due to the sharp contrast between their colors and the cohesive matrix. The watershed segmentation method, on the other hand, appeared to be very efficient while separating touching objects in digital images.

SIFT를 이용한 유사 위성 영상 검색 (Similar Satellite Image Search using SIFT)

  • 김정범;정진완;김덕환;김상희;이석룡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5권5호
    • /
    • pp.379-390
    • /
    • 2008
  • 영상 데이타의 증가로 인해 여러 분야에 걸쳐 유사 영상 검색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좀 더 정확한 유사 영상 검색을 위해 내용기반영상검색 기술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용기반영상검색에서는 유사한 영상을 검색하기 위해 색상, 모양, 질감 등의 영상 자체의 내용을 사용한다. 하지만 위성 사진과 같이 색상 정보의 사용이 어렵고 영상 자체가 매우 복잡한 영상의 경우는 내용기반영상검색 기술을 이용해도 유사성 검색이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색상 정보의 사용이 어려워 모양 정보를 이용하려면 영상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물체의 모양을 분리해내야 하는데 영상이 매우 복잡한 경우 영상 세그멘테이션의 결과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세그멘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유사성 검색을 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유사 위성 영상을 검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상 세그멘테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모양 기술자인 SIFT keypoint descriptor를 기반으로 영상의 유사도를 정의하여 유사성 검색을 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색상 정보의 사용이 어렵고 영상 자체가 매우 복잡한 위성 영상의 유사성 검색의 정확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적응적 지역 임계치를 이용한 개선된 워터쉐드 알고리즘 (The Improved Watershed Algorithm using Adaptive Local Threshold)

  • 이석희;권동진;곽내정;안재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891-894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by the watershed algorithm based on the local adaptive threshold on local minima search and the fixing threshold on label allocation. The previous watershed algorithm generates the problem of over-segmentation. The over-segmentation makes the boundary in the inaccuracy region by occurring around the object.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we quantize the input color image by the vector quantization, remove noise and find the gradient image. We sorted local minima applying the local adaptive threshold on local minima search of the input color imag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ontrols over-segmentation and makes the fine boundary around segmented region applying the fixing threshold based on sorted local minima on label allo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