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forecasting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과 미국의 뉴시니어 패션 아이템에 나타난 색채 비교 (The Color Comparison Expressed in Fashion Items of New Senior Generation between Korea and America)

  • 이은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5-85
    • /
    • 2014
  •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color expressed in fashion items and color of new senior generation in America and Korea. For this study, the three brands were selected by country after examining new senior fashion brand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orea, t-shirt, cardigan, jacket, coat, and pants were investigated in order.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blouse, sleeveless t-shirt, skirt, and one piece dress were investigated in order. In other words, Korea is characterized the practical and comfort features, the United States is characterized the practical and feminine modernity. Second, in the case of color, Korea is characterized Bk, YR, R, PB, G and the United States is characterized W, Y, YG, B, BG. In the case of tone, Korea is characterized dark greyish tone, light greyish tone, strong tone, vivid tone, deep tone, and light tone. In the United States, greyish tone, dull tone, soft tone, pale tone, bright tone, and dark tone were used. In the case of color by tone,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characterized R, RP, and PB in gorgeous tone. In the case of light tone,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characterized Y. In the case of plain tone, Korea is characterized Y and the United States is characterized B and G. In the case of dark tone, Korea is characterized R, Y, G, B and the United States is characterized P, R, and B. The results of the study is expected to be provide as forecasting dates of design planning for the new senior generation.

  • PDF

해양사고 예보 시스템 개발 (III): 3차원 통계 가시화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Marine Casualty Forecasting System (III): Implementation of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 임정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2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해양사고 통계예측 결과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3차원 가시화 시스템의 구현에 관해서 기술했다. 이 시스템 개발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GUI)과 웹(Web) 기반 가상현실(VR) 기술을 주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매일의 상황을 예보하기 위하여 시간기반 해양사고 예측모델과 위험수준 지표를 개발하였다. 시스템 작동실험 결과, 3차원 가상공간에 단순한 색으로 복잡한 통계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매일의 위험수준을 막대 그래프에 나타낼 수 있었다.

홍수시(洪水時) 저수지(貯水池) 실시간(實時間) 운영(運營) 의사결정(意思決定) 지원(支援) 시스템 (Computeriz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eal-time Flood Forecasting and Reservoir Control)

  • 고석구;이한구;이희승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31-140
    • /
    • 1992
  • 다목적댐의 유입량 예측과 더불어 유출량의 이용율을 극대화 하면서 홍수 피해를 극소화 시킬 수 있는 방류량을 결정할 수 있는 실시간(實時間) 홍수제어(洪水制御) 문제에 있어서는 수문(水文) 및 기상자료 등 많은 정보의 실시간(實時間) 온라인 취득과 컴퓨터를 사용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입수된 자료의 정확한 분석으로부터 내용이 압축된 컬러 그래픽 등 사람과 컴퓨터간의 대화매체를 도입하면 홍수방류를 결정할 수 있는 책임자에게 분석된 정보를 보다 쉽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개발된 PC-REFCON은 개인용 컴퓨터를 주축으로 한 실시간 홍수예측 및 저수지 운영을 위한 쇄신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서, 자료의 실시간 취득과 가공을 위한 데이타 베이스와 유입량 예측과 댐 방류량 결정을 위한 모형을 포함하였을 뿐 아니라 지금까지와는 전혀 새로운 차원으로 모든 정보를 그래픽과 테이블로 제공하여 주는 대화형 시tm템으로 구성되었다. PC-REFCON은 1992년부터 우리나라의 9개 전 다목적댐 저수지를 홍수시에 실시간으로 홍수량 예측과 방류량을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용될 것이다.

  • PDF

정지궤도 해색탑재체(GOCI)의 개발 (Development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 조성익;안유환;유주형;강금실;윤형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5
    • /
    • 2010
  • 정지궤도에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정지궤도 해색위성(GOCI)이 2010년 6월에 발사될 예정이다. GOCI는 발사 이후 7년간 매일 주간(晝間) 8회 한반도 주변 해양의 클로로필 농도, 용존유기물 농도, 부유물질의 양 등 해양환경분석자료를 생산함으로써 한반도 주변 해양환경의 실시간 감시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정지궤도 해색위성의 관측 자료는 어장정보 제공 서비스 및 적조 등 해양재해 예측에 활용될 예정이며, 정지궤도 해색위성에서 산출된 해양의 일차생산력 자료는 해양 탄소순환 연구에 활용되어 해양의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지궤도 해색위성의 개발 배경 및 사용자 요구사양, 하드웨어 구조, 센서 운용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제품 수요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전치혁;고제석;서대석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0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기술원; 28 Apr. 1990
    • /
    • pp.125-139
    • /
    • 1990
  • This paper presents a forecasting method for domestic demand of electric home appliances. Because of lack of data, some popular methods such as time series analysis may not be appropriate to forecast such a demand domestically. We suggest a systematic and practical method by considering structural parameters and variables which determine the actual demand. We use this model to forecast the demand of color TV. Since the parameters in our model may be varia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our model leads the user to develop a dynamic model to be used in the well-known System Dynamics Approach.

  • PDF

동아시아 대기질 예보 및 감시를 위한 모델링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Modeling Techniques for Forecasting and Monitoring of Air Quality over East Asia)

  • 박래설;한경만;송철한;박미은;이소진;홍성유;김준;우정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7-438
    • /
    • 2013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air quality modeling for monitoring and forecasting air quality in East Asia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An integrated air quality modeling system, combining (1) emission processing and modeling, (2) meteorological model simulation, (3) chemistry-transport model (CTM) simulation, (4) ground-based and satellite-retrieved observations, and (5) data assimilation, was introduced. Also, the strategies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air quality modeling system in East Asia was discussed in this paper. 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that the successful use and development of the air quality modeling system should depend on the active applications of the data sets from incumbent and upcoming LEO/GEO (Low Earth Orbit/Geostationary Earth Orbit) satellites. This is particularly true, since Korea government successfully launched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in June, 2010 and has another plan to launch Geostationary Environmental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in 2018, in order to monitor the air quality and emissions in/around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over East Asia.

Optimization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Prediction of the Quality for Dyeing Nylon and Lycra Blended Fabrics

  • Kuo Chung-Feng Jeffrey;Fang Chien-Chou
    • Fibers and Polymers
    • /
    • 제7권4호
    • /
    • pp.344-351
    • /
    • 2006
  • This paper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optimal processing parameters applied to the dyeing procedure so that the desired color strength of a raw fabric can be achieved. Moreover, the processing parameters are also used for constructing a system to predict the fabric quality. The fabric selected is the nylon and Lycra blend. The dyestuff used for dyeing is acid dyestuff and the dyeing method is one-bath-two-section. The Taguchi quality method is applied for parameter design.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is applied to arrange the optimal condition, significant factors and the percentage contributions. In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target value, a confirmation experiment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Furthermore, the genetic algorithm (GA) is combined with the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BPNN) in order to establish the forecasting system for searching the best connecting weights of BPNN. It can be shown that this combination not only enhances the efficiency of the learning algorithm, but also decreases the dependency of the initial condition during the network training. Most of all, the robustness of the learning algorithm will be increased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fabric will be precisely predicted.

Acceptance Level of Forecasted Fashion Trends by National Brand Casual Wear in the Late of 1990s

  • Lee, Woon-Hyun;Hwang, Choon-Sup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4권3호
    • /
    • pp.229-240
    • /
    • 200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acceptance level of forecasted information of casual wear in tate 1990s in Korea and the way of utilizing fashion trends information by casual wear industries. The Present study was implemented by content analysis and descriptive survey using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rends information in fashion journals published by fashion institute and articles in daily news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fashion image, color, fabric, and silhouette. The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113 fashion specialist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forecasted information regarding fashion image, romantic and feminine images showed a high level of acceptance to national brand women's casual wear in the late 1990s, while mannish image showed a low level of acceptance. For men's casual wear in the same time period, androgynous trends appeared most frequently, not only in forecasted information, but also in actual trend. it was forecasted that yellow, white, and gray would be in trend and those colors appeared frequently in actual trend. On the other hand pastel tone appeared much more frequently than forecasted. Natural, thin - transparent (S/S) and stretch fabrics (F/W) were in actual trend as it was forecasted. Fit and Pare (woman), and long and slim (man) silhouettes were in actual trend as if was forecasted, but barrel silhouette appeared only in forecasted information. Most of the information forecasting fashion trends for next season were applied to the product planning of the season, right after the information comes out.

  • PDF

20세기 후반 디자인 트렌드의 형성요인과 색채 트렌드 분석 (The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Design Trends and Color Trends in the Late 20th Century)

  • 김현경;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5-20
    • /
    • 2007
  •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 트렌드의 형성요인 및 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하여 메가트렌드와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자인에 나타난 색채의 변화를 분석하여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를 예측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트렌드의 형성요인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기술 영역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20세기 후반 (1970$\sim$2002년) 메가트렌드의 변화를 분석하고,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을 도출하기 위하여 패션, 공간, 제품, 시각 디자인 분야의 대표적인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20세기 후반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를 분석하여 근 미래의 색채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20세기 후반 트렌드는 여성적 사고, 자연으로의 회귀, 은둔 속 안식 트렌드로 된다. 둘째,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은 70년대부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하이테크가 지속되면서 80년대 후반 에콜로지를 반영하였다. 90년대, 모더니즘이 다시 부각되고 에콜로지 경향이 지속적으로 디자인에 나타났으며, 2000년대 초, 여성적 사고와 자연으로의 회귀로 대표되는 트렌드가 지배적이었다. 셋째, 20세기 후반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는 Red 중심에서 Purrple Blue 중심으로, grayish 중심에서 dull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근 미래에는 Purple Blue, Yellow Red, Green 색상과 grayish, dull, deep 색조, 여성적이고 따뜻한 감성을 전달하는 무채색 계열이 많이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렌드를 규명하기 위한 방법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메가트렌드와 디자인트렌드와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향 후 디자인 분야의 디자인트렌드 예측에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로와 접하는 건물의 경우 모서리부 광고 효과가 지배적이며 대부분 곡선돌출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서리 저층부를 필로티로 계획하여 보행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대신 입면을 투명하게 하여 간접광고(내부전시)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원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 PDF

TV용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지배적 디자인 예측을 위한 소비자 선호속성 분석 : 컨조인트 분석의 활용 (An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for Forecasting a Dominant Design of the Next Generation TV Display Technology: A Conjoint Analysis)

  • 이민우;지일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63-675
    • /
    • 2019
  • 최근 10여 년간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지배적 디자인은 LCD로 한국 업체들이 이를 주도해 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 기업들로부터의 위협이 증가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로 진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최근 양자점 디스플레이 및 유기발광디스플레이 등의 신기술을 출시하여, 특히 TV용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을 차지하기 위한 표준 경쟁에 돌입하였다. 지배적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는 다양한 가운데, 디스플레이 제품은 특히 제품 자체의 기술적 속성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V용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이 분야 표준 경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고해상도 화면에 자연스런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내구성 높은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가운데, 제품의 가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