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ode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5초

휴대전화의 2D 이미지코드 인식 기술동향 (Technological Tendency for 2D Image Code and Its Recognition on Mobile Phone)

  • 박종만;박종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B호
    • /
    • pp.663-673
    • /
    • 2011
  • 휴대전화를 통한 2D(Two Dimensional) 이미지 인식기반의 QR(Quick Response)코드 및 칼라코드 활용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디코딩 기술과 플랫폼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범용 디지털카메라에 의한 소형 비주얼코드의 비 초점 이미지정보 인식기술인 새로운 보코드(Bokode)라는 기술이 발표되었다. 이에 스마트환경 기반의 2D 이미지코드와 인식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응전략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논문은 이 같은 전략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 및 산업동향 조사 분석을 통한 정보지원 및 실천과제 제시에 중점을 두며 기술개요 기술동향, 기술 활성화 과제, 전망 및 제안 등으로 구성하였다.

한국 개창 신흥종교 의례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eremonial Costumes in New Aboriginal Religious Groups in Korea)

  • 김현경;임상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3-139
    • /
    • 2003
  •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45 sects of seven new aboriginal religious groups in Korea including Jeungsan sect, Tangun sect, Soowoon sect, Won Buddhism, Bongnam sect, Gahksedo sect, Shamanism sect through field study and various docum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lucidate how their religious ideas are reflected in their ceremonial costumes and what characteritics and underlying meanings these costumes have, and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new religious groups in Korea modified or mixed the designs or names of existing outfits to convey their ideas or beliefs in their costumes. 2. The costumes of new religious groups turned out to have certain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y all reflected the times, Korean tradition, ancestor worship. 3. I looked at the symbolicity, names, and types of the outfit, and their color scheme to establish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t turned out that they an symbolized the creeds and ideas of each religion. The names of the costumes such as Way-Robe, Law-Robe, and Ceremony-Robe, for instance, had to do with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The most common type of costume consisted of traditional hanbok top, pant, robe, and some type of headpiece for men, and hanbok top and, skirt for women, and if women were to wear a robe, it usually meant the sect believed in sexual equality. There was also a tendency to simplify or minimize the dress code, which seems to indicate that the sect was trying to adapt itself to, the times. The most common type of the outer garment for men was a robe with narrow sleeves, straight lapel, and no slits, and a robe with wide sleeves, straight lapel, and slits for women. The color scheme of the costumes included blue, white, yellow, red, and black, reflecting the influence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idea and traditional preference for white of Koreans. 4. These religious costumes were worn at various ceremonies, ritual, and various anniversary services for the master and other dignitaries of the sect to render greater piety to those gatherings, to distinguish the sect from other religious group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ceremony, and to heighten the devout feelings of the participants. Thus, the structure (the symbolicity, names, and types of the outfit, and their color scheme) and religious background of the costumes of the new aboriginal religious groups in Korea turned out to have inherited and mixed various element of traditional Korean outfit and those of existing religions to symbolize their religious ideas. Many religions in and fall, and each has its own dress codes, and I hope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and data for other researchers and leaders of new religious groups that will emerge in the future.

고해상도 연속절단면 컬러해부영상을 이용한 한국인 성인여성 복셀팬텀 VKH-Woman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Adult Female Voxel Phantom, VKH-Woman, Based on Serially Sectioned Color Slice Images)

  • 정종휘;염연수;한민철;김찬형;함보경;황성배;김성훈;이동명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3호
    • /
    • pp.199-208
    • /
    • 2012
  • 전신에 대해 방사선에 민감한 주요장기가 미리 정의된 인체 전산팬텀(compuational human phantom)은 의료분야에서 방사선 치료에 의한 이차암 위험도 평가 및 진단방사선에 의한 유효선량 평가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여성사체에 대한 고해상도 연속절단면 컬러해부영상을 이용하여 장기 및 조직을 전신에 걸쳐 약 2 mm 간격으로 정밀하게 분할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몬테칼로 전산모사에 사용될 수 있는 VHK-Woman 복셀팬텀을 개발하였다. VKH-Woman 복셀팬텀은 키 160 cm, 몸무게 52.72 kg으로 한국인 여성의 표준체형에 가까우며, 유효선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ICRP 103에 제시된 27개 장기 및 기타 관심장기 12개를 포함한다. VKH-Woman의 복셀 해상도는 $1.976{\times}1.976{\times}2.0619mm^3$이며 복셀행렬의 크기는 $261{\times}109{\times}825$이고, 몬테칼로 코드에 입력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이진파일과 ASCII 파일 형식으로 데이터화되었다.

분진색상에 따른 광전식연기감지기 챔버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Chamber Due to Dust Color)

  • 이호성;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44-52
    • /
    • 2017
  • 본 논문은 분진 색상에 따른 광전식연기감지기 챔버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국내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의 개정으로 연기감지기의 실내 적용이 의무화되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실내 환경에서 발생되는 실내먼지 및 환경조건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부작동 및 비화재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먼지 중 가장 많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되는 다양한 색상의 섬유분진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실내적응성을 연구하기 위해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화 되어 있는 격자형의 연기챔버를 가진 광전식 연기감지기를 실험대상으로 하고, 갈색, 백색, 회색, 흑색 4종류의 섬유분진을 실험분진으로 하여 분진시험 및 감도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연기챔버의 수광부 전압을 측정하여 챔버 내부의 산란현상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4종류의 분진 모두 오염도 A에서는 분진시험 및 감도시험에서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오염도 B와 C에서는 갈색, 백색, 회색분진의 경우 작동시험 및 부작동시험에서 분진오염에 의한 오작동이 나타났고, 흑색분진의 경우 작동시험에서 부작동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기챔버의 수광부 전압측정 결과는 갈색 및 백색분진의 경우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전압이 증가하였고, 회색 및 흑색분진의 경우 전압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픽프라이머 : 유전자 목표 구간 탐색 모듈을 포함한 프라이머 제작 그래픽 프로그램 (Pickprimer: A Graphic User Interface Program for Primer Design on the Gene Target Region)

  • 정희;문정환;이성찬;유희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61-466
    • /
    • 2011
  • 유전 육종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은 실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프라이머를 제작해야 한다. 인터넷 상에서 다양한 공용 프로그램이 이용되고 있으나 많은 경우 사용자 편의성이 낮기 때문에 유전자의 구조를 고려하여 프라이머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는 엑손과 인트론 지역을 시각적으로 구별하면서 손쉽게 프라이머를 제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Pickprimer를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공용 프로그램인 Spidey와 Primer3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결합한 후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유전자의 구조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라이머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했다. 입력 정보는 공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내려 받은 서열을 복사-붙임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유전자의 구조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동시에 엑손과 인트론 서열을 구별할 수 있게 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추의 단일 카피 유전자에 대한 24 쌍의 프라이머를 디자인하고 6개 고정 품종을 대상으로 PCR과 전기영동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작한 모든 프라이머 쌍이 명확한 단일 밴드를 성공적으로 증폭시켰다. 이 프로그램은 분자표지의 개발뿐만 아니라 유전자 기능 연구 등 다양한 종류의 유전 육종 실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판타스틱 신체의 표현 분석 (The Expression of Fantastic Body in Fashion Illustration)

  • 최정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867-877
    • /
    • 2009
  • These days, the fantastic in opposition to classic beauty becomes a genre of creative body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body types and meanings in recent fantastic fashion illustr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documentaries, fashion books, internet web site and so for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literatures, pictures and movies, the category of the fantastic body's expressive types were classified as dominant mutant based on SF, multi body or fragment body by disruption, heterogeneous compound based on myth, personified humanoid and non substance in supernatural boundary. The dominant mutant based on SF was expressed image morphing, composition of machine image with body and modern metamorphosis of classic SF body. It means propensity to post-feminism and reservation of meaning analysis based on human unconsciousness. The multi body or fragment body by disruption in fashion illustration was expressed distorted composition of same body pictures, replacement of different bodies, deconstruction and partial omission of body and composition of meaning or non meaning images. It means permanence of self and basic narcissism. The heterogeneous compound based on myth was expressed general composition or optical illusion of various and aggressive animal motive. It means reinterpretation of original myth, metaphor of basic femme fatale, pursuit of permanence and sign of primitive mind in unconsciousness. The personified humanoid was expressed real human body description of mannequin or ball joint doll and anthropomorphism of robot image. It means representative satisfaction and nostalgia of childhood. The non substance in supernatural boundary was expressed grotesque description of ghost, zombie, vampire, angel, fairy, using of symbolic red, black color and non body. It means human's basic desire about immortality and taboo. Through the result of these study, the expression of fantastic body in fashion illustration will expend expressive method and we will understand human and cultural codes of today.

LED 휘도의 디지털 제어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Control Method of LED Luminance)

  • 강신호;염정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8-34
    • /
    • 2010
  • 발광다이오드(LED)의 휘도를 제어하는 기존 방식은 펄스폭변조(PWM)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PWM 방식은 LED의 점등시간비와 휘도가 비례하는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통신 등의 디지털 방식과는 호환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방식으로 적, 녹, 청색 LED의 휘도를 제어하는 실험을하였다. 이를 위해 LED 구동회로와 디지털 논리회로로 구성된 LED 디지털제어 장치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입력에 대한 적, 녹, 청색 LED의 점등 펄스 수를 제어하여 다양한 광색을 구현하고, 측정한 광색의 x, y 색도좌표가 원하는 색의 CIE 색도도 영역에 포함될 수 있도록 디지털 코드를 최적화시켰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통신을 이용한 LED 램프의 원격 제어로 풀 컬러를 구현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컬러 정보 및 형태학적 특징과 신경망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A Car License Plate Recognition Using Colors Informat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d Neural Network)

  • 조재현;양황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04-3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컬러 공간 및 형태학적 특징과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번호판의 후보영역 중에서 신 구 차량 번호판의 형태학적 특성을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잡음 영역을 제거하고,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번호판 개별 영역에 대한 형태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Label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문자를 추출한 후에 결합한다. 이렇게 분류된 개별 문자 및 숫자 코드를 ART2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학습 및 인식을 한다. 제안된 차량 번호판 추출 및 인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녹색 번호판과 흰색 번호판 각각 100장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시된 차량 번호판 추출 및 인식 방법이 실험을 통해서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게임 및 가상현실에서의 특수효과를 위한 입자 시스템 에디터 (Particle System Editor for Special Effects in Game and Virtual Reality)

  • 김응곤;송승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29-433
    • /
    • 2004
  • 게임과 영화는 현재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이며, 이러한 분야에서는 입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불꽃, 폭발, 연기, 액체, 눈, 비, 먼지와 같은 특수효과를 만들어 낸다. 게임 및 가상현실에서 상위 수준의 그래픽 라이브러리인 입자 시스템 API를 사용하면 위와 같은 특수효과를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입자 시스템 API를 적용 시 개발자가 원하는 형태의 특수효과가 구현될 때까지 파라미터 값을 계속 바꿔가며 소스코드를 컴파일하여야 하며, 각 파라미터들 간의 연관성 있는 세밀한 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게임 및 실시간 가상현실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입자 시스템 API를 개발하고 위치, 속도, 색상, 투명도, 크기, 수명, 2차 위치, 2차 속도 둥의 속성 조절을 통해 손쉽게 특수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입자 시스템 에디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DSP(Digital signal proccesor)를 이용한 산업현장에서의 안전모 미착용 인식 기술 (Recognizing that a person doesn't put on a safety cap using DSP.)

  • 이용욱;송강석;정무일;임철후;문성모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0-533
    • /
    • 2009
  • 본 연구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상에서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한 안전모 미착용 인식 기술을 개발한다. 이는 산업 현장에 배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영상 처리하고, 안전모를 미착용한 사람이 발견될 경우 감독관에게 해당 인식 결과를 전송하여 조치를 취함으로써 만약의 사고 발생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아니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한다. 안전모 미착용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입력된 영상에서의 오브젝트 추출, 노이즈 제거, 사람/사물 판단, 머리 영역 추출, HSV 색공간을 이용한 안전모 착용 유/무 판단 등의 과정을 거친다. 영상입력 및 영상처리는 DSP를 이용해 처리하고 알고리즘의 속도 개선을 위하여 C언어 기반의 코드를 DSP가 제공하는 고유 함수(Intrinsics)들을 이용하여 최적화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