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lustering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8초

K-Means Clustering으로 분류한 닭 깃털색 표현형의 분석 (Analysis of Chicken Feather Color Phenotypes Classified by K-Means Clustering using Reciprocal F2 Chicken Populations)

  • 박종호;허선영;김민준;조은진;차지혜;진대혁;고영준;이승환;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57-165
    • /
    • 2022
  • RGB 조건에서 하나의 픽셀은 255의 세제곱 개 이상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컴퓨터 비전 연구는 조류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깃털색 표현형에 대해 세밀히 분석하여 종을 구분하였지만, GWAS에 이용될 목적을 위해 다양하게 유전되는 색상을 단순화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연산오계(YO)와 백색레그혼(WL) 상호역교배 F2 집단을 이용하였으며 이미지 양자화를 통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고 저장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깃털색의 원인 유전자 탐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육안으로 결정하였던 다양한 깃털색을 단순화하였다. 특히, GWAS 연구에 필요한 수치화된 표현형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가버 필터와 밀도 기반 공간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피부의 이상 영역 검출 (Detection of Abnormal Region of Skin using Gabor Filter and 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

  • 전민성;최경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17-129
    • /
    • 2018
  •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system that detects abnormal region of skim. First, an illumination elimination algorithm which uses LAB color model is processed on input facial image to obtain robust facial image for illumination, and then gabor filter is processed to detect the reactivity of discontinuity. And last, the 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DBSCAN) algorithm is processed to classify areas of wrinkles, dots, and other skin diseases. This method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skin condition of the images taken in real life.

HSI 컬러모델 및 명도 군집화를 이용한 영상에서의 그림자영역 추출 (Shadowing Area Detection in Image by HSI Color Model and Intensity Clustering)

  • 최연웅;장영운;박정남;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5-463
    • /
    • 2008
  • 광학센서를 이용한 자료취득과정 중 발생하는 그림자는 영상내 동일 지물에 대한 밝기값의 지속성을 훼손하여 영상에 의한 지상 정보를 해석함에 있어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정보의 활용에 있어 그림자 영역을 추출하고 그림자에 의한 영상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기법에 관한 연구로써 자료원이 다른 보조자료의 활용을 배제하고 단일 컬러 영상으로부터 도심지의 지상 객체에 의한 그림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HSI 컬러모델의 명도(intensity) 정보를 이용하여 그림자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퓨리어 변환에 의한 그림자 영역 복원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에서의 그림자 영향을 제거하였다.

Online Burning Material Pile Detection on Color Clustering and Quaternion based Edge Detection in Boiler

  • Wang, Weixing;Liu, Sh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호
    • /
    • pp.190-207
    • /
    • 2015
  • In the combustion engineering, to decrease pollution and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and to optimally keep solid burning material amount constant in a burner online, it needs a smart method to detect the amount variation of the burning materials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is paper presents an online machine vision system for automatically measuring and detecting the burning material amount inside a burner or a boiler. In the camera-protecting box of the system, a sub-system for cooling is constructed by using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techqique. In addition, the key and intelligent step in the system is to detect the pile profile of the variable burning material, and the algorithm for the pile profile tracing was studi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gey level (color) discontinuity and similarity based image segmentation methods, the discontinuity based sub-algorithm is made on the quaternion convolution, and the similarity based sub-algorithm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region growing with multi-scale clustering. The results of the two sub-algoritms are fused to delineate the final pile profile, and the algorithm has been tested and applied in different industrial burners and boilers. The experiemen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orks satisfactorily.

퍼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기반의 라벨 병합을 이용한 이동물체 인식 및 추적 (Recognition and Tracking of Moving Objects Using Label-merge Method Based on Fuzzy Clustering Algorithm)

  • 이성민;성일;주영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7권2호
    • /
    • pp.293-300
    • /
    • 2018
  • We propose a moving object extraction and track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animal identification and tracking technology. First, we propose a method of merging separated moving objects into a moving object by using FCM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to solve the problem of moving object loss caused by moving object extraction process.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of extracting data from a moving object and a method of counting moving objects to determine the number of clusters in order to satisfy the conditions for performing FCM clustering algorithm. Then, we propose a method to continuously track merged moving objects. In the proposed method, color histograms are extracted from feature information of each moving object, and the histograms are continuously accumulated so as not to react sensitively to noise or changes, and the average is obtained and stored. Thereafter, when a plurality of moving objects are overlapped and separated, the stored color histogram is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orrectly recognize each moving object. Finally, we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s through some experiments.

차량 탑재를 위한 고속 중앙차선 인식 방법 (Fast Center Lane Detection Method for Vehicle Applications)

  • 장광희;곽성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649-65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운전 시스템을 위한 중앙 차선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 한다. 차량의 진행 방향에 있는 가로 한 줄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여 중앙 차선에 대한 색상 정보를 얻는다. 이를 기반으로 차선 경계값을 설정하고 형태학적 연산처리와 클러스트링, 그리고 가상 직선화를 통해 중앙 차선을 검출한다. 또한 예상 차선 영역을 설정하여 다음 영상 프레임에서 전체 영상이 아니라 예상 영역에서 차선을 탐색하게 하여 차선 검출 속도를 높였다.

Lab Color Space based Rice Yield Prediction using Low Altitude UAV Field Image

  • Reza, Md Nasim;Na, Inseop;Baek, Sunwook;Lee, In;Lee, Kyeonghwan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42-42
    • /
    • 2017
  • Prediction of rice yield during a growing season would be very helpful to magnify rice yield as it also allows better farm practices to maximize yield with greater profit and lesser costs. UAV imagery based automatic detection of rice can be a relevant solution for early prediction of yield. So, we propose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to predict rice yield using low altitude UAV images. We proposed $L^*a^*b^*$ color space based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All images were captured using UAV mounted RGB camera. The proposed algorithm was developed to find out rice grain area from the image background. We took RGB image and applied filter to remove noise and converted RGB image to $L^*a^*b^*$ color space. All color information contain in both $a^*$ and $b^*$ layers and by using k-mean clustering classification of these colors were executed. Variation between two colors can be measured and labelling of pixels was completed by cluster index. Image was finally segmented using color. The proposed method showed that rice grain could be segmented and we can recognize rice grains from the UAV images. We can analyze grain areas and by estimating area and volume we could predict rice yield.

  • PDF

웨이브렛 형태학 알고리즘 적용한 객체 분할의 클러스터링 분석 (Clustering Analysis of Object Segmentation applying Wavelet Morphology)

  • 백덕수;변오성;강창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3권2호
    • /
    • pp.39-48
    • /
    • 2006
  • 본 논문은 공간적 자동 객체 분할의 개념과 클러스터링 개념을 가진 웨이브렛 형태학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컬러 얼굴을 분할할 때 영상을 단순화하였으며, 또한 사용자의 조작 없이 실시간적으로 분할해 검출할 수 있도록 공간적 특성을 이용하였다. 이것은 HSV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잡음으로 간주되는 작은 부분을 제거하고, 얼굴영상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웨이브렛 형태학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웨이브렛 형태학 알고리즘과 형태학 알고리즘을 비교하였으며, 그리고 HSV 컬러 공간 모델을 적용한 영상에서 얼굴 객체 부분을 정확하게 검출함을 보였다.

변형 보정과 원형 추적법에 의한 교통 표지판 인식 (Traffic Sign Recognition by the Variant-Compensation and Circular Tracing)

  • 이우범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88-19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자동차의 주행보조 시스템 중의 하나인 교통 표지판 인식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잡음, 회전, 크기 등의 변형된 교통 표지판으로부터 기하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변형된 정도를 추정하여 교통 표지판 원형으로 보정한다. 그리고 교통 표지판 인식을 위해서 보정된 표지판 영상으로부터 순차적 색기반 군집화(Sequential color-based clustering)에 의한 주의, 규제, 지시, 보조 등의 1차적 분류에 따라서 해당 교통 표지판의 형태 특징인 인식 심벌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인식 심벌에 원형 추척법을 적용하여 교통 표지판 최종 인식 작업을 수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교통 표지판 영상에 잡음, 회전, 크기 등의 임의 변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실험 영상을 만들고, 적용한 결과 단일 변형에서는 95%, 혼합 변형에서는 93% 이상의 인식률을 보인다.

  • PDF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기반의 영상 분할을 이용한 칼라코드 검출 및 인식 (Color Cod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ing Image Segmentation Based on k-Means Clustering Algorithm)

  • 김태우;유현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00-1105
    • /
    • 2006
  • 칼라코드는 획득된 영상에서 칼라의 심각한 왜곡 때문에 그 응용 확장에 어려움이 있었다. 칼라 인식에서 칼라 왜곡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규칙적으로 샘플링된 몇 개의 화소들을 이용하기 보다는 가능한한 각 칼라 영역에서 많은 화소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에지 검출이 필요한 분할이 필요하다. 그러나, 칼라코드에서 에지들은 분할을 불완전하게 만드는 지퍼 효과나 반사와 같은 다양한 왜곡에 의해 끊어질 수 있고, 에지 연결 또한 어려운 처리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칼라 인식에서 칼라 왜곡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은 분할을 위한 정확한 에지 검출을 배제하는 방법으로 k-평균 클러스트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또한, 칼라코드 검출에서 6개의 안전한 칼라와 그레이 성질 모두 이용하였다. 실험은 4M-화소 크기의 야외영상 144장에 대해 수행되었다. 제안한 방법은 테스트 영상에 대해서 100%의 칼라코드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검출된 코드에 대해서는 99% 이상의 평균 칼라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여기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인 캐니 에지 검출법을 사용한 경우 91.28%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