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nial education polic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졸업 후 의학교육제도의 역사성 고찰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y of Korean Graduate Medical Education)

  • 이무상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2호
    • /
    • pp.61-68
    • /
    • 2013
  •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Chosun (ethnic Korean) physicians were trained in vocational clinical schools, but Japanese physicians in medical school.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treated the Japanese physicians as medical doctors but Chosun physicians as dealers or traders in clinical services. This colonial discriminatory policy became a habitual concept to Korean physicians. Because of these traditional concepts regarding physicians, after the colonial period, the newly established Korean government also had the same concept of physicians. Therefore, in 1952, the Korean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launched under a government clearance system with the claim of supporting medical specialties as clinical dealers or clinical businesspeople. During the last 60 years, this inappropriate customary concept and the unsuitable system have evolved into medical residency training education, and then in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Today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become inextricably linked to postdoctoral work in Korean hospitals.

Abolition or Maintenance? French and British Policies towards Vietnamese and Malay Traditional Education during the Last Decades of the Nineteenth Century

  • Van, Ly Tuong;Tuan, Hoang Anh
    • 수완나부미
    • /
    • 제14권2호
    • /
    • pp.177-206
    • /
    • 2022
  • At different times in the 19th century, the Straits Settlements and Cochinchina were both colonies that the British and the French captured the earliest in their process of invasion of Malaya and Vietnam, respectively.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al stage from the traditional school system to colonial school system in the Straits Settlements and Cochinchina. This could also be considered an experimental stage for building later education systems in their expanded colonies, namely British Malaya and French Indochina, from the closing decades of the 19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exploiting various sources and applying the comparative approach, identifies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different attitudes and choices of policy towards traditional education models of indigenous communities (the Malays and Vietnamese) pursued by the British in the Straits Settlements and the French in Cochinchina.

일제강점기 간호학의 보급과 간호사 양성 정책 (Dissemination of Nursing Science and Nursing Training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정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29-336
    • /
    • 2021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다양한 사건들 속에서 간호의 주체성을 지켜내기 위힌 노력의 과정들을 살펴봄으로써 미래의 간호 발전을 위해 현재 간호학이 갖추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일제강점기 간호의 역사는 크게 3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다. 근대 간호의 태동기인 1910년부터 1919년에는 간호교육기관이 확장되고, 간호 관련 제도를 만들었다. 1920년부터 1937년은 근대 간호의 발전기로 간호의 영역 확대될 뿐 아니라 간호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2개의 간호협회를 조직 하였다. 근대 간호의 정체기인 1938년부터 1945년은 전쟁이라는 사회적 재난 속에서 전쟁인력 동원을 위한 간호사 양성 정책이 펼쳐지면서 또다른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변화 속에서 시대적 사건들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지만 그 시대에 정립된 간호제도는 현재 간호의 초석이 되었다는 것은 공통된 해석이다 간호의 영역 확대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회적 다양한 사건들 속에서 변화되는 간호의 역할과 보급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일제시대의 두 간호단체에 관한 고찰(考察);조선간호부회(朝鮮看護婦會)의 간호수준 향상 노력과 조선간호부협회(朝鮮看護婦協會)의 사회 활동 (A Study on Two Nursing Organization;Choseon Ganhoboohoi(賴健看議婚會) Tried to Improve the Standard of Nursing and Choseon Ganhoboohyophoi (朝鮮看護婦協會) Tried to do Social Activities)

  • 이꽃메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21-429
    • /
    • 2000
  • Two nurses' assications were organized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One was Choseon Ganhoboohoi(朝餘看護續會,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started in 1923 and the other was Choseon Ganhoboohoiphoi started in 1924. Two nursing associations were very different in their members and activities. Choseon Ganhoboohoi was organized and lead by Western missionary nurses in Korea and their Korean pupil nurses. The aim of Choseon Ganhoboohoi was to become a member of ICN. Choseon Ganhoboohoi united with the Western Graduate nurses' Association in Korea, tried to raise the standard of nursing education, and became a branch of Japan Imperial Nurses' Association. All was to become a member of ICN. It continued 15 years and was quite active. But after the half of 1930s Japan's ruling policy became more and more suppressive and western missionaries were expelled from Korea so it could not but discontinue it's activities. Choseon Ganhoboohoiphoi(朝鮮觸護續協會) was organized and lead by Korean nurses. The aim of it was to do the role of nurses by social activities. So it tried health education for the public, It continued only about 2 years, But the leaders of Choseon Ganhoboohoiphoi moved to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Korean liberation movement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lonized women.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Choseon Ganhoboohoi and Choseon Ganhoboohoi were two trends to develop Korean nursing during Japaneses Colonial period. The former asked for international cognizance by the raise of nursing standard, and the latter asked for national cognizance by social activities. Although two nurses' associations were different in their ways but quite same in the aspect that both tried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 Korea. But the colonial situation prevented them from continuing their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 colonial situation of national level influenced deeply 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ofession.

  • PDF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 연구 -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년)」 제정·시행 관련 - (A Study of the Cultural Legislation of Historic Proper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hosun Treasure Historic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Decree (1933) -)

  • 김종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156-179
    • /
    • 2020
  • 「보존령(1933년)」은 식민지 조선의 문화재 보존에 관한 기본 법령으로서 앞서 시행된 일본의 근대 문화재 법제인 「고사사보존법(1897년)」,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1919년)」, 「국보보존법(1929년)」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실제 그들 법령의 해당 법조문을 원용하였다. 이로써 「보존령」이 조문 구성에 있어서 일본 근대 문화재 법제를 이식 또는 모방하였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입증된다고 할 수 있다. 「보존령」의 주요 특징과 성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 보존 측면에서 볼 때, 「보존령」은 기존 「보존규칙」보다 보존을 강화하고 확대하였다. 「보존규칙」에서는 문화재 범주를 고적과 유물로 한정했으나 「보존령」에서는 보물, 고적, 명승, 천연기념물 등 4가지로 문화재를 분류하였다. 또한 「보존령」은 문화재 보존 기준을 설정하고 문화재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소유권 제한에 대한 명시적 규정과 문화재 지정제도를 도입함과 동시에 국고 보조 지원 근거를 규정함으로써 문화재 보존 법제로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그러나 「보존령」은 식민지 문화재 법제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보존령」 제1조에서 보물의 지정 기준으로 "역사의 증징(證徵) 또는 미술의 모범"이란 기준을 설정하였으나 이 기준은 일제의 관점에서 총독부의 동화정책에 입각하여 문화재를 취사선택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문화재 보존 기준으로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또한, 일제는 「보존령」의 시행으로 문화재 법제가 완비되어 문화재 도굴이 감소하였다고 평가하였으나 「보존령」 시행 이후에도 도굴과 밀매매 그리고 일본으로의 반출 등 문화재 약탈과 반출은 끊이지 않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도굴과 밀매 외에도 법령을 준수하고 수호해야 할 총독과 총독부 관료들이 약탈과 반출의 당사자가 되거나 그들의 묵인하에 일본인들에 의한 문화재 약탈과 반출이 지속적으로 자행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당시 문화재 법제가 총독부가 허용한 또는 묵인한 반출과 약탈에는 법적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법령은 문화재 지정과 보존에 있어서 총독부의 시각에서 선택되고 적용된 식민지의 차별적 법제였으며, 일제의 문화재 정책 또한 그들의 동화정책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문화재를 이용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는 일제의 조선에 대한 문화적 식민 지배 체제를 공고히 하고 총독부의 동화정책을 실현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박물관의 정치학: 인도네시아 국립박물관에 표상된 오리엔탈리즘 연구 (Museum Politics: A Study of Orientalism as Represented in the National Museum of Indonesia)

  • 송승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7-184
    • /
    • 2011
  • This article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political narratives represented in the National Museum of Indonesia. Starting initially as a colonial museum, the National Museum of Indonesia functioned as a useful tool for the Dutch colonial force to fuel its imaginations of the colonial territory and the people within it. The Dutch used the cultural display to advertize its benevolent colonial rule. All the while, the museum also inevitably reflected orientalism on the people and the culture of the colony. The republic of Indonesia inherited the colonial museum's practices and its display patterns. The business surrounding the museum also played a key role in the newly-born nation-state laying out a future for its redefined territory and people. Thus, what the colonial force imagined for the colonial territory through the study of museum displays was rather directly transferred to the republic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decolonization process. Four main characteristics have been seen in the museum displays. The first is an emphasis on the glorious Hindu-Buddha history, from which numerous temples, statues, and jewelry have been found. Secondly, the Islamic period, which spanned between the Hindu-Buddha times to the colonial era, has almost completely been eliminated from the display. Third, the colonial era has been depicted as the time of Europe's exportation of scientific tools and adaption of sophisticated living patterns. Fourth, the images of ethnic groups were represented as being stagnant without reflecting any challenges and responses that these groups had faced throughout history. Looking at these display patterns, it can be concluded that all the dynamic internal developments and anti-colonial resistance that took place during the Islamic and Colonial Era have simply not been represented in the museum display. These display patterns do not reflect the real history or culture of the archipelago. Two considerations are thought to have influenced the neglecting of social realities in the display. The first of which is the Dutch's and Republic's apprehension over the possible political upheaval by the Islamic forces. Yet, more fundamentally, cultural displays themselves are distinct from historical education in that the former pays more attention to business ideas with an aim to attract tourists rather than to project objective historical knowledge. Thus, in cultural displays, objects which work to stimulate fantasies and spur curiosity on archipelagic culture tend to be selected and emphasized. In this process, historical objectivity is sometimes considered less vital. Cultural displays are set up to create more appealing narratives for viewers. Therefore, if a narrative loses its luster, it will be replaced by another flashy and newly-resurrected memory. This fact reveals that museums, as transmitters of historical knowledge, have a certain degree of limitation in playing their role.

한국 근·현대수학 교재 연구 (Mathematics Textbook in Korea (1880-2016))

  • 이상구;이재화;김영구;이강섭;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149-177
    • /
    • 2017
  • 우리나라의 근 현대 수학 교재는 19세기말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한 필산(筆算)이 산학전문가들에게 소개되면서 선교사와 서당에서의 서양수학 교육을 시작으로 1894년 6월 28일 갑오교육개혁을 통하여 수학교육이 공교육에 포함된 이후 공식적으로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1905년 조선통감부를 통한 수학교과과정의 소개와 1910년 이후 일제강점기, 또 1945년 이후 군정에서의 수학교재 그리고 1948년 정부 수립이후 2015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형식으로 발간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말기부터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해방 후 미군 군정청, 대한민국 교육과정의 변화를 거치면서 개발되어 소개된 근 현대수학 교재들의 특징을 시대별로 분류하여 소개한다.

일제강점기 거문도 근대화 과정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Geomundo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social structure)

  • 박민정;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8
    • /
    • 2016
  • 본 연구는 거문도를 사례로 근대화 과정에 대하여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근대화 이전 거문도의 사회구조는 하나의 마을을 기본적인 공간단위로 하는 공동체 의례와 조직에 기초한 전통적인 사회로 각 마을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이고 병렬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일본인의 이주라는 일제에 의한 강제된 근대화로 기존의 마을과는 별개로 형성되는 집단거주공간을 중심으로 근대화가 이식되고 확산되었다. 그 과정에서 개별 거주지 간 의 연계성이 강화되면서 공동체 의례뿐만 아니라 새로운 근대적 사회조직의 출현과 그 성격도 변화하였다. 그 후 근대화 토착화기에는 선진어업기술 및 유통체계의 근대화에 따른 자본주의적 생산체제로의 전환으로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근대적 규범이 정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관변조직 뿐만 아니라 각종 자생적 자치조직까지도 식민지 수탈정책을 보조하는 근대화에 역행하는 조직으로 전락하였다. 공간구조는 공동체의 영역 및 구성원의 외연적 확대로 마을 간의 연계성이 강화된 위계적인 구조로 재생산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강제된 근대화'라는 한계성으로 기존의 자율적이고 자생적 조직의 해체에 따른 지역공동체 의식의 붕괴라는 부작용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 PDF

근현대 한의학(韓醫學)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의 교육과정(敎育課程) 분석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Korean Medical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in Modern Times)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3-153
    • /
    • 2017
  • Objective :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the modern Korean Medicin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study their significance. Rather than conducting an in-depth pedagogical research, the paper attempts to summarize and provide a simple analysis on the subject matter due to the lack of the historical evidence of modern Korean Medicine. Method : General theses and academic papers along with daily publications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era, materials owned by Kyung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istory Museum, and history databases ow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Kyujanggak were investigated Result : Upon studying the curriculum of Korean Medicin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fforts to maintain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Korean Medicine in its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Medicine. It could also be discovered that the curriculum was improved through policy measures in order to raise the status of the practitioners and expand the scope of their practices. Th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s been continuously working to develop the Korean Medicine and raise the quality of curriculum, and their efforts were vital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Medicine Doctor system. Conclusion : Systematic academic researches should be done on the curriculum of Korean Medicine's high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fulfill the objective of normalizing the Korean Medicine educ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Korean Medicine.

일제 강점기 여성 단발의 헤어디자인 조형적 요소 분석 (Analysis of hair design formative factors in the women's one length hair style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79-484
    • /
    • 2018
  • 일제 강점기 여성들 one length hair style의 변천사 및 형태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로서 선행논문과 저서를 바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등 헤어디자인의 구성 요소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one length hair style 커트가 가능해지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1910년-192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커트 길이의 단차가 전혀 없는 out line을 지닌 형태, 자연 그대로의 모발 질감, 자연 모발 색상을 보였다. 193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약간의 커트 길이의 단차를 보이면서 다이아몬드 형태, 자연스런 질감의 narrow wave, 과산화수소나 oxygenated water을 이용한 약간의 탈색이 이뤄졌다. 194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형태, 질감, 색상 면에서 화려한 미(美)를 추구하려는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one length hair style에 관한 심층적이고 세분화 된 후속 연구가 가능해지며, 헤어미용 교육의 기초 자료 및 뉴 모드의 트렌드 개발을 위한 초석으로 작용하리라 사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