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n cell line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5초

Evaluation of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 from Colonic Washings from Patients Undergoing Colonoscopy

  • Van, Ni;Ahlberg, Ned;Jung, Byung Chul;Lee, Min Ho;Ahn, Seung Ju;Lee, In-Soo;Kim, Yoon Suk;Rhee, Ki-J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2-368
    • /
    • 2012
  •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 (ETBF) is an intestinal commensal bacterium implicated as a risk factor for colon cancer. The key virulence factor is a secreted toxin called B. fragilis toxin (BFT). In this study we used an in vitro bioassay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ETBF in colonic washings from patients with colorectal polyps and normal control patients. We found that 9.3% of polyp patients and 10.9% of non-polyp patients harbored ETBF, respectively. A total of nine ETBF clinical isolates were isolated and confirmed to be positive for the BFT gene by PCR analysis and the ability to induce IL-8 secretion in the colonic epithelial cell line HT29/c1. Two of the ETBF clinical strains were characterized further in vitro and in vivo. We found that the two ETBF clinical isolates induced E-cadherin cleavage in HT29/c1 cells and promoted colonic inflammation in C57BL/6 mic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valence of ETBF in polyp patients were similar in non-polyp patients suggesting that ETBF carriage does not positively correlate to polyp incidence.

C-11 및 F-18 표지 콜린의 합성과 체내동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and Its Biodistribution of C-11 and F-18 Labelled Choline)

  • 양승대;김상욱;서용섭;전권수;안순혁;허민구;임상무;홍성운;유국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85-191
    • /
    • 2001
  • 목적: 최근 들어 $[^{11}C]$choline은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통한 각종 종양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방사성의약품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C-11의 반감기가 너무 짧은 단점 때문에 일상적인 작업이 쉽지않고, 잦은 합성이 필요하다. $[^{11}C]$Choline의 단점은 반감기가 적당한 F-18이 치환된 $[^{18}F]$fluorocholine을 합성하여 해결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11}C]$Choline은 $[^{11}C]CH_3I$와- N,N-dimethylaminoethanol을 반응시켜 합성하였고, $[^{18}F]$fluorocholine은 $CH_2Br[^{18}F]$F과 N,N-dimethylaminoethanol을 반응시켜 합성하였다. 방사화학적 순도는 고성능액체크로바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두 화합물의 체내동태는 balb/c mouse를 이용하여 5, 20, 40, 80분에 측정하였다. 세포섭취 실험은 glioma (9L)과 colon adenocarcinoma (SW620)를 사용하였다. 결과: 정제후 방사화학적 순도는 98% 이상이었다. 간에서의 섭취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았고 $[^{11}C]$choline은 약 20 %ID/g, $[^{18}F]$fluorocholine은 약 13 %ID/g 섭취되었다. 신장에서의 섭취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주사 80분 후에 각각 15 %ID/g, 20 %ID/g 섭취되었다. 9L과 SW620세포섭취 실험에 있어서 $[^{11}C]$choline은 각각 4.93, 18.69 %ID/g, $[^{18}F]$fluorocholine은 각각 1.77, 2.77 %ID/g이 섭취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11}C]$Choline과 $[^{18}F]$fluorocholine은 종양 세포주에 따라 다른 섭취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다른 종양 세포주에 있어서 두 화합물의 섭취 경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키토산 가수분해물의 In Vitro 항종양성 (In Vitro Antineoplastic Effects of Chitosan Hydrolysates on Various Tumor Cell Lines)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39-643
    • /
    • 2009
  • 키토산 가수분해물의 세포 독성 및 항종양성 실험에서 키토산 가수분해물은 정상세포주인 Vero E6(Africa green monkey kidney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정상세포주에 대한 키토산 가수분해물의 $IC_{50}$값은 1,107.95 ${\mu}g/m{\ell}$이었다. 키토산 가수분해물은 폐암 세포주인 A549, 방광암 세포주인 J82, 대장암 세포주인 SNU-C4, 위암 세포주인 SNU-1, 유방암 세포주인 ZR75-1 등과 같은 사람의 종양세포주에 대한 in vitro 항종양성을 나타내었다. 종양세포주에 대한 키토산 가수분해물의 $IC_{50}$값은 A549, J82, SNU-C4, SNU-1, ZR75-1 세포주의 경우에 각각 421.06 ${\mu}g/m{\ell}$, 417.99 ${\mu}g/m{\ell}$, 445.54 ${\mu}g/m{\ell}$, 380.65 ${\mu}g/m{\ell}$, and 460.49 ${\mu}g/m{\ell}$이었다.

사람 암세포와 단핵세포에서 고포도당 농도에 의한 FDG 섭취 저하의 서로 다른 기전 (Decreased glucose uptake by hyperglycemia is regulated by different mechanisms in human cancer cells and monocytes)

  • 김채균;정준기;이용진;홍미경;정재민;이동수;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0-120
    • /
    • 2002
  • 목적: FDG PET은 악성종양의 진단에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나, 염증에도 섭취되어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염증에서 F-18-FDG 섭취는 단핵세포에서 포도당대사가 항진되어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사람의 암세포와 단핵세포간에 포도당대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사람의 대장암 세포주(SNU-C2A, SNU-C4, SNU-C5)와 폐암 세포주(NCI-H522), 단핵세포를 포도당 농도가 다른 배지에서 각각 배양시키고, FDG 섭취와 포도당운반체 1(Glut1)의 발현, hexokinase 활성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포도당이 없는 배지에서는 암세포와 단핵세포 모두에서 FDG 섭취가 증가되나 포도당 고농도(16.7 mM)에서는 섭취가 감소하였다. 이 고농도에서 Glut1 mRNA의 발현은 대장암 세포주, 폐암 세포주에서 감소하였다. 고농도의 포도당 배지에서 Glut1 단백질의 발현도 4종류의 암세포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단핵세포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SNU-C2A, SNU-C4, NCI-H522 세포에서 hexokinase의 활성도는 비슷하였고, 단핵세포와 SNU-C5에서는 약간 증가하였다. 결론: 포도당 섭취에 있어서 사람의 암 세포주와 단핵세포는 서로 다른 기전을 보이고 있다. 대장암 세포는 포도당 농도에 의한 포도당 섭취 변화가 Glut1에 의하여 조절되나, 단핵세포는 다른 기전을 가지고 있다.

콩 함유 이소플라본의 생리활성과 가공적성 (Studies on Physiological Properties of Isoflavone from Soybean and Its Processing Properties)

  • 한진숙;하태열;김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27-143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콩 식품의 품질 및 가공적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가공적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메탄을 추출 이소플라본의 free radical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아질산 소거능은 메탄올, 에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작용은 이소플라본이 가장 많이 추출된 메탄올 추출물보다 열수추출물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한국인에게 호발하는 위암세포(SNU-1)과 대장암세포(SNU-C4)에 대한 이소플라본 및 대두 추출물의 항종양활성을 확인하였다. 대두 이소플라본이 가공제품이나 특수영양식품으로 가공될 때 문제가 될 수 있는 여러 조건별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분말상태의 대두 이소플라본 농축물$(20\sim40%)$, 99% 이소플라본 표준품, 대두상태의 이소플라본을 대상으로 열, pH, 살균조건에 따른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대두 이소플라본 농축물은 pH 3 이하와 pH 8 이상의 pH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나 대두 상태의 이소플라본은 pH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함량 감소가 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99% 이소플라본 표준품은 산성 pH에서는 안정하나 알칼리에서는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보다 감소폭이 컸다. 한편 이소플라본의 열안정성은 우수하여 이소플라본은 식품의 일반적인 가공 조건에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전립선 암세포 PC-3 세포에서 Silibinin의 세포주기조절을 통한 세포사멸 유도 효과 (Silibinin Inhibits Cell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through Cell-cycle Arrest in PC-3 Prostate Cancer Cells)

  • 김상헌;김광연;유선녕;진영랑;전현주;이창민;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73-1578
    • /
    • 2011
  • Silibinin은 milk thistle에서 분리된 주된 생리활성 성분으로 강력한 항산화제, 항암활성에 대해서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항암활성에 대한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사멸의 기전을 조사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확인하였고, PI 염색을 통해 세포주기를 확인하고, Annexin-V/PI 염색을 통한 세포사멸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세포주기 및 세포사멸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silibinin은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에서 세포주기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여 세포주기 진행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사멸을 유도 함을 알 수 있었다.

CT-26 결장암에 대한 비타민 C와 생식의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 of Ascorbic Acid and Saengshik on CT-26 Colon Cancer)

  • 김동희;등영건;최주봉;이영미;윤양숙;김광용;장병수;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43-50
    • /
    • 2008
  • 곡류, 두류, 과채류, 해조류, 버섯류 등의 식물성 원료를 가열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말화한 것을 혼합한 생식의 성분 중 생리활성물질은 강력한 항산화 기능 및 일부 항암효과를 포함한 생리활성기능을 나타낸다. 본 실험은 BALB/c 마우스에 CT-28 대장암세포를 피하주사한 후 비타민 C와 생식을 급이함으로써 암조직의 증식에 따른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 실험군은 CT-26 세포를 피하주사한 후 암조직의 크기를 5일 간격으로 6회 측정한 결과 비타민 C를 급이한 군은 암을 유도한 군과 암조직의 부피를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암세포 주입 후 10, 15, 20일째의 평균 암조직 부피에서 대조군은 각각 $155.8{\pm}75.8\;mm^3$, $238{\pm}102.9\;mm^3$, $525.0{\pm}291.7\;mm^3$인데 비해서 생식군은 48.1% ($80.8{\pm}60.0\;mm^3$), 43.2% ($135.2{\pm}117.2\;mm^3$), 55.5% ($233.6{\pm}248.2\;mm^3$)의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특히 25일과 30일째에는 대조군의 암조직 부피가 $989.7{\pm}596.8\;mm^3$$1589.7{\pm}1071.0\;mm^3$로 급격히 증가한 반면 생식군은 $304.6{\pm}442.5\;mm^3$$464.9{\pm}705.9\;mm^3$로 대조군에 비해 각각 69.2%와 70.7%의 감소율을 보임으로써 암조직의 증식이 현저히 억제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30일째 암조직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생식은 CT-26 결장암 세포주에 의해 유도된 암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추장 분리 균주의 혈전용해능, 면역활성능 및 세포독성 효과 조사 (Fibrinolytic, Immunostimulating, and Cytotoxic Activities of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Kochujang)

  • 서미영;김승호;이철호;차성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15-322
    • /
    • 2007
  • 본 연구는 고추장에서 분리한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혈전용해능, 면역세포활성능 및 세포독성과 같은 건강기능활성을 조사하고, 건강기능활성 미생물을 고추장에 응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전통식 및 개량식 고추장으로부터 분리된 294균주 중 단백질분해력이 우수한 91균주를 선별하였고, 선별된 91개 균주의 혈전용해능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혈전용해능 활성이 높은 3 균주(TPP 0014, TPP 6013, TPP 6015)를 선별하였다. 이들 최종 선별균주들의 면역세포활성화능력 측정 결과 TPP 6015 균주에 의한 거식세포에 의한 NO 생성량은 3.67 ${\mu}g/mL$이었고, $TNF-{\alpha}$ 생성량은 626.3 pg/mL 그리고 $IL-{\alpha}$ 생성량은 645.9 pg/mL로 측정되어 세 균 주 중 비교적 높은 면역세포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장암 세포주인 SNU-C4와 정상세포주인 CHO-K1에 대한 선별된 균주의 세포독성을 MTT assay에 의해 조사한 결과 SNU-C4 세포주에 65-78%, 그리고 CHO-K1 세포주에 60-70%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추장 시료는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들 선발 균주들을 고추장에 첨가하였을 때, 높은 혈전용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선별 균주들을 API kit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TPP 0014와 TPP 6015 균주는 Bacillus stearothermophilus로 동정이 되었고, TPP 6013 균주는 B. amyloliquefacience로 동정이 되었다.

한국산 검정콩 색소의 생리활성효과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 손준호;정명근;최희진;장운빈;손규목;변명우;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64-768
    • /
    • 2001
  • 한국산 검정콩의 종피색소를 1% HCI 용액으로 $4^{\circ}C$에서 24시간 추출하여 $0.45\;mu}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Sep-pak plus $C_{18}$ cartridge를 통과시켜 흡착된 색소성분을 메탄올로 용출시켜 $30^{\circ}C$에서 농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정콩 세 가지 품종의 조색소액의 생리활성 효과를 살펴본 결과 고혈압에 관여하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실험에서는 검정콩 1호, 일품검정콩 및 밀양 95호에서의 ($IC_{50}$)는 각각 0.22, 0.28, 0.38mg/mL로 나타나 검정콩 1호가 가장 우수하였다. 통풍에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 저해실험에서의 ($IC_{50}$)이 각각 0.118, 0.165, 0.163mg/mL로 나타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실험에서와 동일하게 검정콩 1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효과를 살펴본 결과 $cPLA_2$를 50% 저해하는 ($IC_{50}$)값이 19.7, 10.7, $25.3\;{\mu}g/mL$로 나타났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실험한 결과 각각의 시료 중 밀양 95호가 0.5mg/mL의 농도에서 사람 유래의 결장암 세포주인 HT-29 및 사람과 마우스 유래의 간암 세포주인 HepG2와 Hepa에 대하여 각각 66.0%, 58.2%, 64.4%의 억제능을 보여 시료 중 가장 높은 함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함암효과에서는 하나의 색소로 구성된 검정콩 1호보다는 여러 색소 성분이 공존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지는 색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HT-29 암세포 이종이식으로 유발된 종양에 대한18β-Glycyrrhetinic Acid의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 of 18β-Glycyrrhetinic Acid on HT-29 Cancer Cell in a Murine Xenograft Model)

  • 한용문;김정현
    • 약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164-169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we determined the effect of $18{\beta}$-glycyrrhetinic acid ($18{\beta}$-GA) in the mice model bearing xenografts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Data from the cytotoxicity assay displayed that $18{\beta}$-GA induced cell death in HT-29. The cytotoxicity was enhanced as the $18{\beta}$-GA treatment was prolonged. In case of 72 hrs treatment, $LD_{50}$ of $18{\beta}$-GA was approximately $90{\mu}M$, and the efficacy at $100{\mu}M$ of $18{\beta}$-GA appeared to be equivalent to that of doxorubicin at $1{\mu}M$. Based on the in vitro data, we tested the anti-tumor effect of $18{\beta}$-GA in thymic mice (Balb/c strain). Xenograft tumors were generated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HT-29 ($3{\times}10^6cells/mouse$) to mice and the mice were treated intraperitoneally with $18{\beta}$-GA ($50{\mu}g/time/mouse$) every other day for 4 times. The tumor volumes were measured for a period of 14 days. Data displayed that the $18{\beta}$-GA treatment reduced the tumor volumes (P < 0.05) as compared to control mice. However, this activity was demolished when athymic mice (Balb/c nu/nu) were used instead of thymic mice. This observation appeared that T lymphocyt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nti-tumor activity.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18{\beta}$-GA has anti-tumor activity in HT-29 tumor-bearing mice,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T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