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검색결과 1,555건 처리시간 0.039초

공학인증 관련 지방 사립 대학교 공학 교육 현황 조사와 분석 (Survey and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in Regard to the Accredit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문상국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71-280
    • /
    • 2016
  • 최근 수년간 국내 공과대학에서는 21세기 지식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서 대외적인 경쟁력을 갖고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지속적 국가발전의 주축이 될 고급 인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공학교육의 수준을 국제적인 기준에 뒤지지 않도록 향상시켜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이러한 상황을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속적으로 공학교육 수준의 질을 국제적 기준에 맞추기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공학교육인증제(ABEEK)를 시행함에 있어 공학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공학교육과정을 정립하는 것과 관련하여 공학적 관점 뿐 아니라 학제적 관점을 접목시키는 이론적, 경험적 연구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원대학교 공과대학의 예를 들어 공학인증을 대비한 지방 사립대학교 공학교육의 현황을 AS-IS 와 TO-BE 모델 기법을 적용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제안된 분석은 지방 사립대학교의 현황을 현실적으로 파악하도록 하고, 성공적인 공학인증을 받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공과대학 학생의 수업 내 학습활동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in Clas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송명현;김경언;강승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9-73
    • /
    • 2016
  • 대학교육력 강화와 질 제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학습과정, 다양한 학습활동이 대학교육의 주요한 성과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학습성과, 교육여건, 교육환경 뿐 아니라 공학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으로 그들이 어떠한 학습을 하고 있는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반적인 수업 내 활동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수업 내 학습활동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은 수업에서 교수들이 요구하는 활동에는 활발히 참여하나 그에 반해 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는 덜한 편이었다. 과제수행에 관한 사고력 증진 활동은 자주 수행하였으나, 일상생활에 응용하거나 비판적 사고 활동은 많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내 수강생들과 활발한 협력이 이루어졌고, 수업에 대한 태도가 성실한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과대 수업내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지원이 필요하다.

의미 분석법에 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 (Physics Image Analysis by Sematic Method and Interest in Physics of Freshman Students in the Engineering College)

  • 송영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214-224
    • /
    • 2020
  •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은 물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공과대학 신입생은 고등학교 때에 다양한 학습 환경 조건에서 대학에 입학한다. 대학 물리교육을 위하여 공과대학 신입생의 특성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와 관심 여부를 조사하여,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 대상은 공과대학 1학년 공과 계열 286명, 정보기술 계열 242명, 건설환경 계열 136명 총 664명이다. 분석 내용은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첫째, 물리 이미지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때 물리를 배우지 않은 학생의 물리 이미지 점수가 물리I 또는 물리I,II를 배운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물리 관심 여부는 성별과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고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서는 고등학교 때 물리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이 물리를 이수한 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다. 끝으로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진로탐색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er Search Ability Improvements for Engineering Students)

  • 진성희;한승우;김태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8-21
    • /
    • 2014
  • The increase of youth unemployment has delivered entire interests in career education by many institutes including universities Thereafter, the emphasis on career education makes the ability on career development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in a human life. There are many efforts to assist students for career exploring by universities, however, the findings through these researches have appeared to be insignificant. As a prat of the effor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to create the appropriate career exploring educational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methodologies such as 1) literature reviews; 2) analysis on the career exploring ability and needs on the related programs focusing on 224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3)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areer exploring; 4)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twenty three number of college students; 5) result analysis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The significant findings and a specific case delivered by this study expect to provide valuable contributions to prospective users who intent to involve in the related educational program.

3D 프린팅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수업자료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3D Printing Educa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 이영건;이상현;유승훈;김시태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42-49
    • /
    • 2021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3D printing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to cultivate creative fusion-type talents requir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pecifically, the entire process developed by applying the ADDIE program development model, from 3D modeling to post-processing of printed materials, was performed individually and for each team for about 200 second-year college students for two weeks.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develop the basic ability to apply 3D print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cooperative interactions between team members, and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by collaborating within the team by students from various major fields. They are proved by analyzing an education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conclusion, the program of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for effective 3D prin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기숙형대학(RC)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Program Operation Plan for Residence College)

  • 공효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25-132
    • /
    • 2019
  • 기숙형대학(Residence College, 이하 RC)은 기존의 단순 주거 공간만으로 사용되어 왔던 기숙사와는 개념이 다른 생활과 교육의 일체공간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대학들은 고등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차별화 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또 4차 산업시대형 인재양성을 위하여 RC를 도입해 왔다. 그러나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RC와 RC 교육 프로그램은 외국의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종합적이고 통합된 프로그램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며 RC 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미흡하며 실질적인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향후 예상되는 급속한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RC를 도입하여 운영중인 국내대학의 RC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보고 일찍이 RC를 도입해서 지금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한 유럽의 명문 사립대학 중 케임브리지 대학과 미국의 웰슬리 대학의 RC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최근 우리 대학교육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한 RC 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Ginsenoside compound K inhibits nuclear factor-kappa B by targeting Annexin A2

  • Wang, Yu-Shi;Zhu, Hongyan;Li, He;Li, Yang;Zhao, Bing;Jin, Ying-Hu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452-459
    • /
    • 2019
  • Background: Ginsenoside compound K(C-K), a major metabolite of ginsenoside, exhibits anticancer activity in various cancer cells and animal models. A cell signaling study has shown that C-K inhibited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pathway in human astroglial cells and liver cancer cells. However, the molecular targets of C-K and the initiating events were not elucidated. Methods: Interaction between C-K and Annexin A2 was determined by molecular docking and thermal shift assay.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C-K, followed by a luciferase reporter assay for $NF-{\kappa}B$, immunofluorescence imaging for the subcellular localization of Annexin A2 and $NF-{\kappa}B$ p50 subunit, coimmunoprecipitation of Annexin A2 and $NF-{\kappa}B$ p50 subunit, and both cell viability assay and plate clone formation assay to determine the cell viability. Results: Both molecular docking and thermal shift assay positively confirmed the interaction between Annexin A2 and C-K. This interaction prevented the interaction between Annexin A2 and $NF-{\kappa}B$ p50 subunit and their nuclear colocalization, which attenuated the activation of $NF-{\kappa}B$ and the expression of its downstream genes, followed by the activation of caspase 9 and 3. In addition, the overexpression of Annexin A2-K320A, a C-K binding-deficient mutant of Annexin A2, rendered cells to resist C-K treatment, indicating that C-K exerts its cytotoxic activity mainly by targeting Annexin A2. Conclusio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revealed a cellular target of C-K and the molecular mechanism for its anticancer activity.

공학교육에서의 팀 학습 운영 실태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Team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 한지영;박수연;방재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4호
    • /
    • pp.28-3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eam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For th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professors and 627 students in engineering college. Based on the results, team should be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for effective team learning activiti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in the team learning oper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nditions for students to immerse in team learning through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of team members, tightening management of free riding in team learning, and optimizing team learning period. It is necessary to use the team learning evaluation method in harmony with the team, individual and peer evaluation.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교과목의 플립러닝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Flipped Learning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y' Course)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22-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flipped learning suitable for engineering education field and to draw out effects and improvements by applying it to actual lessons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or a case study,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to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y' which is a liberal arts course of engineering college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PARTNER model was applied and weekly instructional guide was presented by each stage.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reflection journal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more able to achieve the deepening learning stage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than the existing class, and found that they had a more challenging plan after the class.

상명대학교 공과대학 수학교육 강화방안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Engineering College in Sang-Myung University)

  • 홍대기;조태경;박병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479-1486
    • /
    • 2008
  • 최근 국내대학 전반에 걸쳐서 공과대학의 우수 지원자가 점차로 감소되고 있는 상황이며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의 부실과에 따른 신입생의 학력저하에 대한 우려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상황에 대응하여 상명대학교에서는 공학교육의 발전 및 혁신을 위해 공학교육 혁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공학교육 혁신센터는 공학교육 혁신을 위한 장기계획의 일환으로 수학 분야의 교육 강화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논의하여 도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명대학교에서 논의하여 도출한 수학 교육 강화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상명대학교 공과대학과 유사한 환경에 처해있는 다른 학교들의 수학 교육 강화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