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adjustment

검색결과 1,009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간호전문직관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 최은희;장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0-178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179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7.0. Results: As a result, the average major satisfaction was 4.08 out of 5, the average self-esteem was 3.02 out of 4, the average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87 out of 5,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as 3.77 out of 5.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Self-esteem (β=.33, p<.001), major satisfaction (β=.24, p=.003), and major satisfaction at the time of admission (β=.22, p=.002)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se factors explained 47.7% of college life adjustment (F=24.22,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부모간 갈등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후기 청소년의 심리${\cdot}$사회적 적응 (The Impact of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Adjustment)

  • 이영미;민하영;이윤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53-62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287 college students(107 boys and 180 girls) in Daegu and Kyoungbuk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and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program, including median,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llege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parents' marital conflict as lower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s positive were less depressive and less anxious and were good at school than those who perceived them as higher and negative. (2) The college students of the family with negativ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high parents' marital conflict were more negative in psycho-social adjustment than those of the family with positiv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r low parents' marital conflict. (3)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positiv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as more influential on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adjustment than the parents'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Visual Fatigue Reduction Based on Depth Adjustment for DIBR System

  • Liu, Ran;Tan, Yingchun;Tian, Fengchun;Xie, Hui;Tai, Guoqin;Tan, Weimin;Liu, Junling;Xu, Xiaoyan;Kadri, Chaibou;Abakah, Naan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4호
    • /
    • pp.1171-1187
    • /
    • 2012
  • A depth adjustment method for visual fatigue reduction for depth-image-based rendering (DIBR) system is proposed. One important aspect of the method is that no calibration parameters are needed for adjustment. By analyzing 3D image warping, the perceived depth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ree adjustable parameters: virtual view number, scale factor and depth value of zero parallax setting (ZPS) plane. Adjusting these thre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proposed parameter modification algorithm when performing 3D image warping can effectively change the perceived depth of stereo pairs generated in DIBR system. As the depth adjustment is performed in simple 3D image warping equations, the proposed method is facilitative for hardware implement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epth adjustment method provides an improvement in visual comfort of stereo pairs as well as generating comfortable stereoscopic images with different perceived depths that people desire.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the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 정경순;박의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3-263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degree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oregoing.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19 nursing students in B city from May to June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Results : The self-efficacy scor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shown to be 2.95±0.32 points, major satisfaction score was shown to be 3.83±0.55 points, and college adjustment score was shown to be 3.52±0.55 points. The degrees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as follows; grade (F=6.614, p=.000), health condition (F=13.384, p=.000), club activities (t=4.557, p=.000), happiness index (F=32.094, p=.000), part-time job (t=2.781, p=.006), and motive of major selection (F=7.300, p=.000).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r=-.196, p<.001) an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satisfaction (r=.782, p<.001).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r=-.185, p<.001). Conclusion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repetitive studies are necessary in relation to the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hat interest in effort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improve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justment are necessary.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n College Students)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89-195
    • /
    • 2017
  • 청년기에는 사회 생활에의 적응을 위하여 독립적인 자아형성을 추구하고 자아정체감을 발달시켜 나가고 있다. 아울러 한국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진출을 위해 거쳐 가는 곳이 대학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의 형성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사회진출을 위한 자아정체감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정체감은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목표지향성이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은 정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은 정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정체감은 대학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부모 이외 애착대상의 수용-거부, 행동통제와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 (Parental and Partner Acceptance-Rejection,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정윤주;이주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47-959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1) whether romantic partners' or close friends' acceptance-reje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s related to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indicated by hostility/aggression, dependency, negative self-esteem, negative self-competence, emotional unresponsiveness, emotional instability, and negative world view; (2) whether parents' behavioral control in childhood and romantic partners' or close friends' behavioral contro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re related to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3) how parents' behavioral control and acceptance-rejection in childhood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and (4) how romantic partners' or close friends' behavioral control and acceptance-reje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The subjects were 163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Kyungki-do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romantic partners' or close friends' acceptance-rejection are related to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that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behavioral control and romantic partners' or close friends' behavioral control are related to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hat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parents' behavioral control a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parents' hostility/aggression, indifference, and rejection and the results were the same for the romantic partners' or close friends' behavioral control and acceptance-rejection.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mployment Capability Reinforcement Programs for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성열훈;김성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55-363
    • /
    • 2013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충북 소재 1개 대학교의 보건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 및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아진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적응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높아져 향후 취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 적응을 높이고 취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 마련을 위해 학과 특성에 맞는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서명자;오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815-82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4개 간호대학의 248명이다. 자료는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부트스트랩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2.68점, 사회적지지 4.11점, 대학생활적응 3.5점이었다. 학업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아지며,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이다. 매개효과 검증 모형 모델 4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부적 영향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Anger Expression, Social Suppor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 전원희;조명주;나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19-228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와 C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66명이었다.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은 중간 이상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은 일반적 특성 중 지원동기와 지각된 신체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은 분노표현방식과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노표출, 사회적 지지, 지각된 신체건강상태, 분노조절, 분노억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27.1%이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분노표현과 사회적 지지 및 신체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 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07-317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1학년 28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학생활 적응,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정도를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22일부터 10월 7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평점 3.36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는 학업진로가 가장 높았고, 개인심리, 사회체험, 대인관계, 진로준비 순이었다.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는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인 학업활동은 학교성적, 진로준비는 자기효능감, 개인심리와 사회체험은 감성지능, 대인관계는 심리적 안녕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충분히 반영하여 대학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