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ve identit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2초

예술가인가 교육가인가?: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rtists or Educators?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llective Identity of Futur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CEIs))

  • 김인설;박칠순;조효정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185-216
    • /
    • 2014
  • 2012년 2월에 개정된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을 근거로,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제도가 집행된 지 2년이 지났다.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들은 누구이고, 어떠한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로서 자신을 어떻게 정의내리고 있을까? 이 연구의 목적은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찾고자 하는데서 시도되었다. 즉, 정책목표 상에 명시된 것이 아닌 실제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이들이 '나는 누구이고,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에 대한 답을 통해 이들의 집단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n=172)들은 수도권의 한 문화예술교육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생들로 구성되었으며, 현상학적 분석을 정교화 하기 위한 주요도구로 질문지법(questionnaire method)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분석틀로 제임스 마샤(James E. Marcia)의 정체성이론을 사용하였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희망자의 대다수는 정체성의 획득이 아닌 유예와 유실 사이에서 상당히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아직 문화예술교육사의 개념과 정체성이 취득희망자 사이에서조차 모호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양질의 양성과정과 함께 이들이 실제로 자격증 취득 후 진출할 수 있는 활로가 담보되어야만 문화예술교육사의 개념과 정체성 확립이 실질적으로 존립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시사점이다. 이들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는 정책의 성공과 지속성 외에도 문화예술교육인력의 사회 경제적의미를 탐구하는 기초연구로 활용 가능하다.

융(Jung)의 아니마(Anima) 원형에 따른 남성 뷰티스타일 연구 - 남성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le Beauty Style according to the Anima Archetype of Jungian Theory - Focusing on Men's Cosmetic Advertisements -)

  • 정혜경;곽태기
    • 복식
    • /
    • 제61권3호
    • /
    • pp.36-50
    • /
    • 2011
  • The traditional masculinity has been gradually diversified towards the 21th century due to a new social environment. Men embrace his feminine side with heightened aesthetic sense using cosmetic products for better skin, hair, and nails. This diversification of male image and his beauty style proves the addition of feminity to masculinity. C. G. Jung felt that we are all really bisexual in nature. The anima is the female aspect present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men and it is the archetype through which we communicate wi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generally, and it is important to get into touch with it for self-realization. This study analyzes subconscious desire based on the anima archetype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men through the diversity of the gender identity shown in men's cosmetic advertisements, and therefore it aim to help developing a marketing strategy of male beauty industry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male beauty style in cosmetic advertisements through the Jungian anima theo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cosmetic advertisements was typified as Retrosexual, Ubersexual, Metrosexual, Cross sexual. Second, the anima archetype stimulates feminity in male beauty style. Cross sexual type has the highest feminine tendency. Third, range of utilization of cosmetic products is articulated with the diverse gender identity. Cross sexual type is most similar to the female beauty style. This feminization of male beauty style is the external expression of collective unconscious and affords human being to reach self-realization.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집합적 효능감이 이용자들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Self-Disclosure in Social Network Services)

  • 채성욱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39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became popular and many users disclose their personal and sensitive information like private story, photographs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posting and sharing. Despite the privacy concerns in SNSs, individuals continue to disclose their identity online. This phenomenon is called 'privacy parado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collective efficacy on self-disclosure in SNS context and to explain privacy paradox phenomenon. Drawing upon the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with cross-sectional data from 306 individuals. Results revealed that collective 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elf-disclosure while privacy risk is negatively related to self-disclosure. However, privacy concern is not directly related to self-disclo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self-disclosure was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교사의 집단적 자아존중감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ctive Self-esteem on Teachers' Job Stress)

  • 최태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732-74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ollective self-esteem on teachers' job stress. For the study, 223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were selected and data o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collective self-esteem, and job stress were coll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s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job stress of teach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school level, and career experience. When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was controll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group self-esteem of teachers had a great influence on mitigating the perception of job stress. Particularly, it was shown that private collective self-esteem and importance to identit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itigating job stress percep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ollective self-esteem. These results showed that it is an important task for our society to find an effective way to elevate the teacher's collective self-esteem. Teachers' collective self-esteem is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not only in mitigating job stress but also in enhancing self-fulfillment and personal self-esteem of teacher.

문학지리학적 관점에서 본 북촌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물리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Physical Identities of Bukchon Hanok Area Viewed from Literary Geography)

  • 박철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5-124
    • /
    • 2008
  • This study explores the beneficial methodology to increase cultural values of urban style Hanok,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Based on the literary geographical approach, this study defines the physical identities of special Bukchon Hanok area in Seoul. The explored physical identities are to provide basic fundamentals for supplying and maintaining new Hanok buildings, including how to preserve and restore the traditional Hanok areas. They are also to develop various Hanok related cultural products and to encourage Hanok popular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add more the humane values and significances to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es. With these perspectives and through above mentioned methodology, the study draws the physical identities of Bukchon Hanok area and meanings as belows: The first one is the collective identity. Bukchon Hanok area is mainly composed of organic spaces with its collective scenary. Narrow alleys and curved lanes created by collective gaps between Hanok buildings, provide residents and visitors with abundant choices of moving path. The second one is the formal identity. Bukchon Hanok maintain their unique layout patterns. The basic units of Chae are combined in specific ways such as 'ㄱ', 'ㄷ', 'ㅁ' types and result typical formal expression of the area. The third one is grounding identity which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 and every-day living space. Each Chaes of house always surround Madang, Korean traditional court yard with rare vegetation. And the connection to the ground is transferred to the memories of its dwellers. Lastly, the current Hanok still preserve similar characteristics of past time Hanok such as materials, structure and styles by using unique building technics and exposing traditional ornamenting styles.

자아정체성과 성격이 SNS 이용, 온라인 정보취득과 정보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Personality and Self-Identity on Onlin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NS Usage)

  • 김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433-440
    • /
    • 2017
  • 본 연구는 SNS 이용자들의 자아정체성과 성격 특성이 SNS 이용행태와 정보행동(정보취득, 정보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SNS를 이용하는 대학생 180명이며, 최종 완성된 171개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회귀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이 실시되었다. 먼저, 성격 5요인 중 성실성을 제외하고 개방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 모두 SNS 이용행태와 정보행동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성 차원 중 사회적 정체성 지향성은 SNS 이용시간, 친구 수, 집단정체성은 정보취득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더불어, SNS 정보행동 예측변인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보취득의 예측변인은 SNS 이용시간, 개방성, 친화성, 자아정체성(집단 정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전달의 예측변인은 SNS 개수, 이용시간, 개방성, 신경성이었다. 정보전달 예측변인인 신경성은 본 연구에서 부적인 예측변인으로 신경성이 낮을수록 정보전달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 문헌의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타나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Vivienne Westwood in Context and Englishness in Her Work

  • Choi, Kyung-He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8권2호
    • /
    • pp.61-70
    • /
    • 2005
  • A representative British designer, Vivienne Westwood's work. world from radical punk style to aristocratic historical dress is explored in context in terms of Englishness. National identity opens up into the process of mobilization of collective sentiment in the national context, unlike nationalism, and Englishness signifies the idea or emotion of England in contrast with Britishness, the political constructor influenced by geographical aspects. There is no doubt that Vivienne Westwood is central to ideas about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English design on subculture. However, in evaluating a designer and her work we should consider the entire context surrounding her from a broader view, rather than arguing only her own ingenuity. In this article, through reconsidering her originality in the historical reference as well as the resistant punk style in aspect of fluid national identity, I show a case of a constituted Englishness, forged by Vivienne Westwood as a cultural creator of national identity. Vivienne Westwood's case hints the complexities of national culture, which constantly shifts, translating her understandings of history and culture into fashion in her contemporary insight and glamorous ways.

  • PDF

집합주거 리모델링에 있어 시각적 아이덴티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Visual Identity in Apartments Remodeling)

  • 서우석;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4-177
    • /
    • 2003
  •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has been accelerated by the development of machiner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peed of change has been increased after the invention of computers. However, the problem of residence, the space for human life in the city, is still not complete. Ever since apartments rose as a solution for the residential problem caused by urbanization after the 1970s and now after 30 years, remodelling is preferred among the 2 choices, reconstruction and remodelling of apartments, in respect of economy and efficiency. Especially, in remodelling collective residence, construction, equipment environment, sight, etc. are considered and only after testing these various aspects can remodelling succeed. Aiming at studying the need of visual identity among many considerations in remodelling,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remodelling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common residence and suggests the need of visual identity. In Korea where construction design for common residence is monotonous, expressing visual identity can be even more important. The common residence area that symbolizes its unique characteristic will elevate not only its economic value but also the psychological value of its residents.

  • PDF

리더 선출 방법과 집단 효능감이 집단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der Selection Procedure and Collective Efficacy on Group Performance)

  • 조은누리;석동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27-235
    • /
    • 2020
  • 본 연구는 주로 의사결정과제를 통해 검증되어왔던 무작위적 리더 선출 방법의 우수성을 실제 수행과제로 확장시켰고, 리더 선출 방법과 집단 효능감의 집단수행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2(리더 선출 방법: 공식적/무작위적) × 2(집단 효능감: 저/고) 피험자간 실험설계를 통해 집단수행에 대한 영향을 검증했다. 연구 결과, 리더 선출 방법의 주효과가 유의하여 공식적으로 리더가 선출된 집단보다 리더가 무작위적으로 선출된 집단의 수행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는데, 집단 효능감이 낮을 때는 리더가 공식적으로 선출된 집단과 무작위적으로 선출된 집단 간의 수행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집단 효능감이 높을 때는 리더가 공식적으로 선출된 집단보다 무작위적으로 선출된 집단의 수행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집단 효능감이 집단의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리더가 집단의 사회정체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방법(예. 리더와 구성원의 차이점을 부각시키기 보다는 동질성에 대한 지각을 높이는 방식)으로 선출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함으로써 조직과 작업 현장에 기여할 수 있다. 향후에 본 연구를 작업 팀으로 확장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도시 정체성과 시공간 구조의 관계 -장률(張律)의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Urban Identity and Time and Space - Focusing on , Zhang Lu's Film)

  • 조명기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3호
    • /
    • pp.151-191
    • /
    • 2021
  • 이 글은, 영화 <군산>이 재현하는 군산 도시 정체성의 내용은 무엇이며 구성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이 도시 정체성 내용과 구성양상이 영화 서사의 구조와 어떻게 호응하는지를 살핀다. <군산>은 군산과 서울을 즉자적인 도시로 전제하는 동시에 상호 영향 관계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도시로 엮어낸다. 영화 서사 시간이 종료되는 서울은 다시 군산 여행을 위한 출발지로 전환되는데, 관객이 사후적으로 회귀하는 두 곳 즉 영화 서사 시간의 시작 지점 그리고 타이틀이 제시되는 지점이다. 이 영화의 여로형 서사 구조는 2차원의 평면적 원점회귀라기보다는 3차원의 입체적 나선형이다. <군산>은 이 나선형의 시공간적 구조 위에서 두 도시의 성격 그리고 도시 정체성의 선험성에 대해 형상화한다. 서울은 거대서사·집단기억과 미시서사·개인기억의 관계를 불가지한 것으로 단절시키는 도시, 관계·기억을 단절시키고 기억의 지속을 부정하는 도시다. 반면, 군산은 거대서사·집단기억과 미시 서사·개인기억이 공존하는 도시며, 단절의식·고립의식이 치유되고 상호 위로받는 도시다. 동시에 영화는 군산을 서울의 잉여, 대타적 공간으로 재현하는 한편 군산의 정체성을 확고하고 즉자적인 것으로도 그린다. 영화는 스토리와 서사구성의 상응을 통해, 군산과 서울을 역사적 단절과 지속이 교호하는 장(場), 상호대타적인 공간인 동시에 완고한 고유성의 공간으로 이해한다. 이 글은, 도시 정체성을 구성하는 시공간적 관계성과 영화 서사의 구조가 호응하는 양상을 살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