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ve identit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7초

Social Identity and Regulatory Focus: Can Collective Orientation Influences Consumers' Message Evaluation?

  • Park, Sangwoo;Heo, Dakyeong;Shin, Dongwoo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89-112
    • /
    • 2019
  • To investigate the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 self-regulations, the authors propose a dialectic process that describes the changes in the locus of self-regulations between individual self and collective self. The results from three studies display a strong support for the two sets of hypotheses drawn from the proposed process.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consumers can move the locus of self-regulation from individual-self to collective-self when a social identity is activated (preliminary study and study1). Further examination of regulatory swing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 regulatory orientations revealed group identification as a key variable in determining the locus of self-regulation (study2). While a consumer with a high level of group identification changes her locus of self-regulation from an individual to a collective (a regulatory shift) and evaluated messages and products framed consistent with their group orientation, a consumer with low level of group identification maintains her locus of self-regulation in her personal level of self (a regulatory preservation) and evaluated messages and products framed consistent with their personal regulatory focus.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집단적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on Collective Self-Esteem: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Work-Related Identity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79-18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페션이 긍정적 업무 관련 정체성을 매개로 집단적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고,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1일부터 4월25일까지 서울지역 12개 사회복지기관과 경기지역 13개 사회복지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69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이 집단적 자긍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조직 내에서 컴페션을 경험할 때 업무에 대한 긍정성과 집단에 대한 자긍심, 그리고 조직 동일시를 갖게 될 것을 시사해준다.

도시재생 패러다임에서 사회적 앵커로서의 공공도서관 고찰 - 유휴자원 재활용을 통한 공공도서관 건립 사례 분석 - (Public Libraries as a Social Anchor in Urban Regeneration Paradigm - A Case Study of Constructing Public Libraries through Renovating Under-used Spaces -)

  • 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3-15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 패러다임 하에서 공공도서관의 존재당위를 검증하는 것이다. 도시재생 패러다임의 맥락에서 도입된 생활SOC 정책에서 도서관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도서관은 사회적 앵커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앵커는 시공간에 제약된 장소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집합적 정체성을 형성해 사회자본의 형성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공공도서관은 사회자본의 생산을 지원하는 기관이지만 개방과 공유, 정보평등의 사명으로 인해 경계와 소속을 강조하는 집합적 정체성이 미약하다. 공공도서관의 집합적 정체성이 어떻게 강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 패러다임 하에서 유휴자원 재활용 전략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유휴자원의 장소정체성을 집합적 정체성으로 환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휴자원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건립은 도시재생 패러다임에 입각한 사회적 앵커 형성 모델이다.

지역연결망 및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자원봉사 참여에 미치는 영향 (Neighborhood Networks, Identity as a Neighborhood Member, and Volunteering)

  • 전신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234-254
    • /
    • 1999
  • 자원봉사는 그동안 남을 돕는 자선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자원봉사는 지역사회의 복지를 위한 성원들의 공동참여의 노력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개인수준의 이타적이고 규범적인 동기 이외에 지역성원들이 거주하는 지역내 성원들간의 연결망과 지역성원들의 공동체의식으로서의 정체성이 자원봉사 참여를 설명하는 더욱 중요한 요인이 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 경험 연구에서는 자원봉사 참여의 설명요인으로 감정이입, 도덕규범 이외에 지역성원 연결망(친밀도, 접촉도, 통합도)과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그 주요 원인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감정이입과 도덕규범 이외에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자원봉사 참여에서 주요 설명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밖에 지역성원들간의 연결망은 지역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자원봉사 참여에 대해 간접적인 영향력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성원들간의 결속력과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게 하는 그 주요 기반이 됨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지역성원 연결망과 자원봉사 참여 - 지역과 개인수준의 연계를 통한 경험 연구 - (Neighborhood Networks and Volunteering - Linking the neighborhood- and individual-level Dimensions -)

  • 전신현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94-313
    • /
    • 1999
  • 자원봉사는 그동안 남을 돕는 자선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자원봉사는 지역사회의 복지를 위한 성원들의 공동 참여의 노력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수준의 이타적이고 규범적인 동기이외에 지역성원들이 거주하는 지역내 성원들간의 연결망과 지역성원들의 공동체의식으로서의 정체성이 자원봉사 참여를 설명하는 보다 중요한 요인이 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본 경험연구에서는 자원봉사 참여의 설명요인으로 감정이입, 도덕규범이외에 지역성원 연결망(친밀도, 접촉도, 통합도)과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그 주요 원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감정이입과 도덕규범이외에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자원봉사 참여에 있어 주요 설명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밖에 지역성원들간의 연결망은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자원봉사 참여에 대해 간접적인 영향력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성원들간의 결속력과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게 하는 그 주요 기반이 됨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성별에 따른 SNS사용유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집단소속감, 지각된 사회지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Depression by Gender: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Ident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egative Comparison)

  • 이승욱;최윤영;이현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05-215
    • /
    • 2019
  • 본 연구는 Social Networking Sites(SNS)의 사용유형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지지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83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랩 분석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남녀 모두 SNS를 통해 집단소속감을 느끼며 높은 집단소속감은 높은 사회지지와 낮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고, 높은 부정적 사회비교는 높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 집단소속감과 부정적 사회비교 간의 유의미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성의 경우 집단소속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사회비교 역시 높았고 이는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SNS의 사용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집단소속감을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성별에 따른 집단 내에서의 소속감은 부정적 사회비교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었고 이에 따라 우울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Russian's Public Diplomacy through Humanitarian Aid during COVID-19

  • Ignat, Vershinin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제1권2호
    • /
    • pp.1-26
    • /
    • 2021
  • Applying discourse analysis of Russia's narrative on humanitarian aid and its perception by the Western collective identity at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identifies several challenges that constructivism poses to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public diplomacy (PD). In contrast to the mainstream positivist tendenc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D through models, this article expands the PD narrative by inquiring about the role of power, intersubjective knowledge, and collective identities in public diplomacy.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PD questions often ignored by researchers regarding how collective identities can exercise discursive power to interpret incoming narratives, which challenge domestic intersubjective knowledge. It also argues that, because the Russian political elite failed to ensure a coherent story and provide informational support for its humanitarian aid, the Western intersubjective knowledge on Russia negatively contributed to the perception of PD narratives. Thus, the article underscores the importance for PD practitioners to understand how the socially constructed nature of knowledge can improve or harm PD strategies.

융(Jung)의 아니무스(Animus) 원형에 따른 여성 메이크업.헤어스타일 연구 -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Make-up and Hair Style according to the Animus Archetype of Jungian Theory -Focusing on Cosmetic Advertisements-)

  • 정혜경;곽태기
    • 복식
    • /
    • 제61권6호
    • /
    • pp.86-100
    • /
    • 2011
  • The traditional feminity has gradually been diversified in the 21th century due to a change in the society. This diversification of women's images and styles is derived from the addition of masculinity to feminity. C. G. Jung insist that human being is bisexual in nature. Animus is the male aspect in the women's collective unconscious and it is the archetype through which we generally communicate wi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It is also important to get into touch wi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for self-realization. This study analyzes subconscious desires based on the Animus archetype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women through the diversity of the gender identity shown in cosmetic advertise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women's beauty industry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f women's make-up and hair style in cosmetic advertisements through the Jungian Animus theo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cosmetic advertisements was classified into Mother/Wife, Hetaira, Mediale and Amazon. Second, the Animus archetype stimulates masculinity in women's make-up and hair style. Third, range of utilization of cosmetic products is articulated with the diverse gender identity. This masculinization of women's beauty style is the external expression of collective unconscious and affords human being to reach self-realization.

국군간호사관생도의 소수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Distance between Minority Groups and Nursing Cadets)

  • 강경화;우정희;채덕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5-51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distance between minority groups and nursing cadet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entire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cadets. Data from 273 nursing cadets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ocial distan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llective identity (r=.28) and multiculturalism (r=.37).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l distance and perceived threat (r=-.38). Perceived threat, multiculturalism, collective identity, and frequency of contact with minorities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distance. The model explained 24% of the variables. Conclusion: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minority groups' nursing needs in the army, educational programs which help to reduce the perceived threat, to strengthen multiculturalism, and to establish a healthy collective identity of nursing cadets need to be developed.

성차별경험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미치는 영향: 성별집단자존감을 조절요인으로 (The effect of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on belief in a just world: Gender collective self-esteem as a moderator)

  • 김은하;박한솔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3호
    • /
    • pp.429-4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개인자존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별집단자존감이 성차별경험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elief in a just world; 이하 BJW)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300명의 일반 여성을 대상으로 성차별경험, 개인자존감, 성별집단자존감, BJW를 측정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자존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별집단자존감이 성차별경험과 BJW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집단자존감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BJW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집단자존감의 하위유형(멤버쉽, 사적, 공적, 정체성)이 각각 성차별경험과 BJW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정체성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유형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