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and content based filtering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User-Created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Tag Information and Content Metadata

  • Rhie, Byung-Woon;Kim, Jong-Woo;Lee, Hong-Joo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6권2호
    • /
    • pp.29-38
    • /
    • 2010
  • As the Internet is more embedded in people's lives, Internet users draw on new Internet applications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user-created content (UCC)." In addition, there is a noticeable shift from text-centered contents mainly posted on bulletin boards to multimedia contents such as images and videos on UCC web sites. The changes require different way of recommendations comparing to traditional products or contents recommendation on the Internet. This paper aims to design UCC recommendation methods with user behavior data and contents metadata such as tags and titles, and compare performances of the suggested methods. Real web logs data of a major Korean video UCC site was used to empirical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based on similarity of UCC customers' preferences performs better than other content-based recommendation methods based on tag information and content metadata.

협업필터링을 활용한 보험사 웹 사이트 내의 콘텐츠 추천 시스템 제안 (Proposal of Content Recommend System on Insurance Company Web Site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 강지영;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01-206
    • /
    • 2019
  • 온라인에서 보험 정보를 찾는 이용자들이 많은 반면, 보험사 웹 사이트 콘텐츠 추천 연구 사례는 많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험사 웹 사이트의 페이지 방문 이력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선호 가능성이 높은 페이지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데이터는 웹 브라우저 이용 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 사이트 스토리지(Client-side storage)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추천 기술로는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을 연구에 적용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방문여부를 의미하는 이진화된 데이터를 사용한 자카드 인덱스(Jaccard index) 기반의 아이템 기반 협업 필터링(Item-based collaborative, IBCF)에서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향후에는 아이템에 가중치를 부여한 추천 기술을 연구하여, 기업에서 사용 시 마케팅 전략에 부합하는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ourist Destinations Recommendation App by Medical Tourism Type Using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 Cai, Jin;Ryu, G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55-262
    • /
    • 2020
  • Recently, medical tourism is recognized as a high value-added industry because of its longer period of stay and higher expenditure than general tourism. In particular, although the number of medical tourists visiting Korea is increasing, the perception of Korean medical services is lo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app which, based on medical tourism type, recommends tourism destinations. Additionally, this proposed app can expand general tourism as well. It can provide tourists with medical information easily by sorting types tourists. Besides, as medical tourists normally stay long, we can take the advantage of post-treatment time. This app collects medical information data and tourist destination data, and categorizes the types of medical tourists into four categories: disease medical tourism, traditional medical tourism, cosmetic medical tourism, and recreational medical tourism. It provides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type and recommends customized tourist destinations.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is applied for tourist destination recommendations.

웹기반 개인화 디자인 서비스를 위한 효과적인 추천 기법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for Web-based Design Personalization Service)

  • 서종환;변재형;이건표
    • 감성과학
    • /
    • 제9권spc3호
    • /
    • pp.179-185
    • /
    • 2006
  • 본 연구는 다른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추천 기법들을 비교하는 사례 연구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디자인 개인화 서비스 개발의 기회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컨텐츠 기반 기법', '협력적 필터링 기법', 그리고 '인구통계적 필터링 기법'과 같은 대표적인 추천 기법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기법들이 디자인과 같은 컨텐츠를 대상으로 적용되었을 때 예상되는 추천 정확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구통계적 필터링 기법은 나머지 기법에 비해서 비교적 낮은 정확성을 보였으며 컨텐츠 기반 기법이 가장 좋은 높은 추천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협력적 필터링 기법은 참여자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좀 더 높은 추천 정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디자인 추천 서비스는 컨텐츠 기반 기법이나 협력적 필터링 기법의 적용을 통해 그 추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상 사용자의 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된다면 협력적 필터링 기법이 가장 우수한 효율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하였다.

  • PDF

혼합 필터링 기반의 영화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ies Recommendation System of Hybrid Filtering-Based)

  • 정인용;양새동;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3-118
    • /
    • 2015
  • 추천 시스템은 증가되고 있는 정보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합한 정보를 선별해 제공해준다. 추천 시스템은 기존에 입력된 정보들을 알고리즘을 통해 선별하는 과정을 거치고 사용자의 정보나 내용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추천 시스템의 문제점으로는 Cold-Start가 있으며, Cold-Start는 새로운 사용자의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서 추천 시스템에서 새로운 사용자에게 정보를 추천할 때 발생한다. Cold-Start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용자의 정보나 항목 정보가 충족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 기법과 내용 기반의 필터링 기법을 혼합한 혼합 필터링 기법 기반으로 Cold-Start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사용하는 영화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분류 속성과 Naive Bayesian을 이용한 사용자와 아이템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User and Item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Classification Property Naive Bayesian)

  • 김종훈;김용집;임기욱;이정현;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23-33
    • /
    • 2007
  • 협력적 필터링은 피어슨 상관 계수에 의해 유사도를 구하고, 선호도를 기반으로 이웃 선정 방법을 사용하므로 아이템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희박성 및 확장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이템 기반 협력적 필터링이 실용화되었으나 아이템의 속성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추천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분류 속성과 Naive Bayesian을 이용한 사용자와 아이템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명시적 데이터에 기반한 아이템 유사도와 묵시적 데이터에 기반한 사용자 유사도를 복합적으로 참조한다. 참조 결과에 대해 Naive Bayesian을 적용한다. 또한 속성을 반영하기 위해 아이템 분류속성간의 유사관계 순위를 아이템 유사도 계산에 반영함으로써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협업필터링의 희박 행렬 문제를 위한 이행적 유사도 평가 모델 (Transitive Similarity Evaluation Model for Improving Sparsity in Collaborative Filtering)

  • 배은영;유석종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09-114
    • /
    • 2018
  • 협업 필터링은 사회적 추천 방식으로서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추천 시스템 알고리즘으로 폭넓게 사용되어 오고 있다. 협업 필터링은 구조적으로 아이템 평가 데이터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 행렬의 희박도는 추천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평가 행렬의 희박성 문제 개선을 위해 협업 필터링과 내용 기반 방법을 결합하는 복합형 추천 방법에 대한 연구는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협업 필터링의 희소 평가 행렬(sparse rating matrix) 문제 개선 방안의 하나로 공통 평가 아이템이 누락되어 유사도 측정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간 이행적 관계 그래프에 기반하는 유사도 평가 모델을 설계하고 오픈 데이터셋인 Movielens에 적용하여 추천 정확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도서 추천 시스템 구축 (Developing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Using Filtering Techniques)

  • 정영미;이용구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1호
    • /
    • pp.1-17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협업 필터링 기법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추천 기법을 살펴본 후 대출대상 도서의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연관성 규칙 기반 기법, 협업 필터링 기법, 내용기반 필터링 기법을 응용하여 실제 대학도서관에서 특정 이용자가 대출할 만한 도서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각 기법의 추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대출대상 도서를 추천하는 데 있어 협업 필터링 기법과 내용기반 필터링 기법을 각각 따로 적용하는 것보다 두 기법을 함께 이용한 혼합형 필터링 추천 기법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협업 계층을 적용한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이미지 라벨 예측 알고리즘 (Image Label Prediction Algorithm based on Convolution Neural Network with Collaborative Layer)

  • 이현호;이원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756-764
    • /
    • 2020
  • A typical algorithm used for image analysis is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R-CNN, Fast R-CNN, Faster R-CNN, etc. have been stud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NN, but they essentially require large amounts of data and high algorithmic complexity., making them inappropriate for small and medium-sized servic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image label prediction algorithm based on CNN with collaborative layer with low complexity, high accuracy, and small amount of data was proposed. The proposed algorithm was designed to replace the part of the neural network that is performed to predict the final label in the existing deep learning algorithm by implementing collaborative filtering as a layer.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contribute greatly to small and medium-sized content services that is unsuitable to apply the existing deep learning algorithm with high complexity and high server cost.

협업적 필터링 및 퍼지시스템 기반 사용자 성향분석에 의한 영화평가 예측 시스템 (A Movie Rating Prediction System of User Propensity Analysis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d Fuzzy System)

  • 이수진;전태룡;백경동;김성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42-247
    • /
    • 2009
  • 지능형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는 수동적인 시스템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안하는 시스템으로서 최근 콘텐츠 서비스 분야에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 추천 시스템은 콘텐츠 개인화 서비스에 응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추천기법으로 내용기반과 협업적 필터링 기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업적 필터링 및 퍼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천 시스템의 기반 기술인 예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의 과거 영화평가 정보를 바탕으로 영화에 대한 평가점수를 예측한다. 영화평가 예측시스템의 성능은 영화 평가점수의 실제값과 예측값의 오차를 RMSE(root mean square error) 방법으로 계산한 후 기존의 영화평가 시스템 RMSE 값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영화평가 예측시스템이 추천 시스템의 기반 기술로서 활용이 가능하고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추천에도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