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on ability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3초

B2B 기업간 비즈니스 협업 문서 처리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s of Processing System for business Collaboration by B2B)

  • 이상복;강치원;정재길;정희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52-455
    • /
    • 2002
  • B2B 거래에 있어서 거래 기업은 비즈니스 협업 처리를 위해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능력을 정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통해서 정의한 문서는 거래 파트너의 비즈니스 시스템과 상호 운용성을 증대시키는 기본이 된다. 또한 기업의 비즈니스 협업 능력을 정의한 문서들을 기본으로 거래 파트너간 비즈니스 협업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정의한 문서가 필요하다. 협업에 대한 상호 작용을 정의한 문서를 바탕으로 거래 파트너간 비즈니스 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 XML 기반 개방형 프레임 워크인 ebXML에서는 기업의 비즈니스 협업 능력을 정의한 문서를 협업 프로토콜 프로파일 (Collaboration-Protocol Profile: CPP)이라 하고 협업된 상호 작용을 정의한 문서를 협업 프로토콜 약정서(Collaboration-protocol Agreement: CPA) 라고 한다. 본 논문에 B2B 기업의 상호 운용성을 증대시키는 비즈니스 협업 문서 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현 및 설계하였다.

  • PDF

간호사와 의사 간의 협력에 관한 이론적 고찰 (Literature Review with Collaboration Between doctors and nurses)

  • 우선혜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3-82
    • /
    • 2000
  • Twenty-first century coming of health care in our country is in a situation of much conflict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doctors is seen in terms of a traditional and vertical structure. Accordingly.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collaboration amongst individuals of these two professions. Now nursing is trying to find independence and autonomy by carrying out independent professional skills. This study on collaboration and the obstacles hindering its pursuit. The strategies of collaboration to give better health care quality are as follows; First, a program for professional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rain nursing professionals so that nursing can be acknowledged as a profession with a power to carry out on independent job. Second, collaboration reduces expenses and results in satisfactory performances of duty, high productivity, low incidence of medical accident, and higher satisfaction of the patient. Therefore the leader in the higher position should take positive stance for collaboration and help create a cooperative situ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orders for collaboration. opening cooperative wards, and meeting for collaboration. Third, a collaboration model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courses of the nursing and medical school curriculum, which would influence job atmosphere after graduation. Fourth, nurses should have pride in their jobs as professionals and have confidence in their professional skill, knowledge and ability. Nurses should make an effort to share responsibility and have independence and autonomy. Fifth, common people as well as doctors know little about professional practice and the role of nurses, so a publicity campaign is also required.

  • PDF

ebXML의 CPP/CPA 편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s of CPP/CPA Editing System based on ebXML)

  • 최종근;김창수;정회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928-936
    • /
    • 2003
  • 기업 간 비즈니스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B2B(Business to Business) 기업이 지원하는 업무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와 업무 정보 교환을 위해 기업의 기술적인 사항을 정의하고 거래 기업 간의 비즈니스 거래를 위하여 거래 파트너간 합의된 상호작용을 정의한 문서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서를 XML 기반의 개방형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인 ebXML(electronic business XML)에서는 기업의 비즈니스 협업 능력을 정의한 전자를 협업 프로토콜 프로파일(Collaboration-Protocol Profile:CPP)이라 하고 거래 기업간의 비즈니스 협업 상호작용을 정의한 후자를 협업 프로토콜 약정서(Collaboration-Protocol Agreement:CPA) 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ebXML에서 거래 기업 간 상호 운용성을 증대시키는 CPP 문서를 효율적으로 저작 할 수 있는 생성기와 거래기업들의 CPP 문서들을 기본으로 상호 협업을 정의한 CPA문서를 저작할 수 있는 Composer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협업 설계관리를 통한 건설 프로젝트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Project Expected Effect Collaboration Business Design Management)

  • 남혜원;이종식;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89-592
    • /
    • 2007
  • 최근 들어 건설사업관리에서 설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협업업체간의 협업설계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건축 설계업무 능력 향상을 위하여 설계관리 업무에 관련된 설계 프로세스의 흐름에 대한 파악, 관리요소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둘째, 현업에서의 협업설계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설계 프로세스 관리요소를 바탕으로, 공기의 최소화, 각 회사 간의 협업부족에 따른 도서간의 불일치, 설계 변경 시 설계정보 추적 어려움등의 개선을 통하여 설계 최적화를 목적으로 한 협업 설계 관리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협업설계에 관한 체계적인 활용을 통해서 협업 설계관리를 통한 건설 프로젝트의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 기기를 위한 협동작업 시스템의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system for mobile devices)

  • 이은령;김지용;김두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5B호
    • /
    • pp.512-52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협동작업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협동작업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PDA등의 모바일 기기를 살펴보면 CPU의 처리 속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칼라 표현력 등에서 PC와 크게 차이가 나며, 각 모바일 단말기간에도 그 차이가 심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협동작업 시스템은 ITU-T 데이터 회의 표준 프로토콜인 T.120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으로 모바일 협동작업 서버 및 모바일 협동작업 클라이언트, 세션노드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에서는 협동작업 세션을 관리하는 모듈을 데스크 탑인 세션노드에 둠으로써 모바일 기기상에서 수행되는 모듈의 부담을 줄였다. 모바일 협동작업 서버는 모바일 협동작업 클라이언트에게 세션노드가 될 후보 노드들 및 세션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제공하여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세션노드를 설정하고 협동작업 세션을 맺어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협동작업 세션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기기상에서는 모바일 협동작업 클라이언트 및 APE를 포함한 응용 어플리케이션만 실행되고 실제 세션을 운영하는 것은 세션노드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클라이언트 모듈 및 어플리케이션은 JAVA로 구현하여 플랫폼 독립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과학적 가시화를 위한 증강 협업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Designing Amplified Collaboration Environments for Scientific Visualization)

  • 박경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5호
    • /
    • pp.535-542
    • /
    • 2005
  • 증강 협업 환경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그룹과 그룹간의 사용자들이 함께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작업 환경이다. 본 논문은 실시간 협력 작업 환경의 특징적인 공유 작업 공간 모델을 살펴본다 그리고 과학적 가시화를 위한 증강 협업 환경의 공유 작업 공간 모델을 검증하는 반복적인 디자인 실험연구를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원거리 사용자들의 협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 협업 환경의 디스플레이 기술 설정을 바꿔가며 사용자 평가 실험이 진행되었다. 각 실험에서 두 개의 방에 두 명씩 분산된 그룹들에게 협업 가시화를 이용한 집중적인 분석 작업을 시켰다. 그 결과 다른 사람들의 작업 내용을 쉽게 볼 수 있는 고화질 작업환경의 항시 가시성이 분산된 구성원들 간의 상호 인지도와 협력에 도움이 되어 협업 능률을 향상시켰다.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ctivities and Component Analysis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entosus

  • Seong, Joon Seob;Xuan, Song Hua;Park, So Hyun;Lee, Keon Soo;Park, Young Min;Park, Soo N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1호
    • /
    • pp.1961-1970
    • /
    • 2017
  • Lespedeza cuneata G. Don is a traditional herb that has been associated with multiple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antiaging activities and performed an active component analysis of the non-fermented and fermented (using Lactobacillus pentosus)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G. D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fermented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fermented extracts.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inhibitory effects on UV-induced MMP-1 expression, and ability to promote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were investigated in Hs68 human fibroblasts cells. These tests also revealed that the fermented extract had increased antia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non-fermented extract. A component analysi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non-fermented and fermented extracts was performed using TLC, HPLC, and LC/ESI-MS/MS to observe changes in the components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Six components that were different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It was thought that kaempferol and quercetin were converted from kaempferol glucosides and quercetin glucosides, respectively, via bioconversion with the fermentation stra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rmented extract of L. cuneata G. Don has potential for use as a natural cosmetic material with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A Study on the Cognitive Potential of Pre-school Children with AR Collaborative TUI

  • Deng, Qianrong;Cho, Dong-mi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49-659
    • /
    • 2022
  •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school children's psychological perception is ease of learning, and the closest measure is "natural" interac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tangible user interfaces (TUI) for AR collaboration for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 conceptual model is constructed by analyzing physical interaction, spatial perception and social collaboration on the usability of TUI, to explore the role of TUI in pre-school children's cognition. In the empirical study, children aged 3-6 were taken as research objects. The experimental tool is "Plugo" education application. Parents answered questionnaires after observing their children's use. Research shows that physical interaction are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UI. TUI is beneficial to the cultivation of spatial 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ronbach's Alpha and KMO were 0.921 and 0.965, which were significant and pass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2.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fit index, combinatorial validity), we found that physical interaction were closely related to usability. 3. The pa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proves that usabi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ltivation of pre-school children's spatial ability.

아트 콜라보레이션 수업을 통한 창의적 사고의 효과 (Effect of Creative Thinking through Art Collaboration Class)

  • 안지수;허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21-131
    • /
    • 2019
  • 아트 콜라보레이션 광고는 상품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미술작품을 활용하여 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재창조하는 것으로 창의적 사고가 핵심 가치로서 작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기법으로서 마인드 맵과 스캠퍼 기법이 아트콜라보레이션 수업에서 갖는 창의적 사고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중학교 학생 5명에게 총 6차시 아트 콜라보레이션 광고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 결과인 학생 활동지와 작품을 통해 창의적 기법과 창의성의 요소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트 콜라보레이션 활용 미술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주제 정하기 단계인 '마인드 맵' 활동에서는 유창성이 아이디어 탐색 단계인 '스캠퍼' 활동에서는 '융통성'과 '독창성'이 발휘되었다. 둘째, 수업의 전체 과정을 통해 가공되지 않은 수준의 생각을 구체화하고 깊이를 발전시키는 정교화의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두 개 이상의 영역이 만나 각각의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협업하는 사례로 학생들의 창의적 융합 사고증진과 관련된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환자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Nurses'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on Patient Caring Ability)

  • 이지윤;박소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61-47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nurses'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on patient caring ability.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22 nurses from 3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AS 9.4 program. Results: Total mean score for psychosocial health was $3.15{\pm}0.57$, for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3.43{\pm}0.55$, and for caring ability, $4.04{\pm}0.53$. Psychosocial health,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nd married statu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atient caring ability.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re related to patient caring ability, and thus, to improve nurses' caring ability for patient and for self, it is important to create a work environment that keeps nurses healthy and promotes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