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d-hardines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5초

단기(短期) 저온처리(低溫處理)가 수목휴면지(樹木休眠枝) 내한성도(耐寒性度)에 미치는 효과(効果) (Rapid Effect of Low Temperature on the Freezing Resistance of Dehardening Trees)

  • 홍성각;조태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1-35
    • /
    • 1975
  • 본 실험(實驗)은 단기(短期) 저온처리(低溫處理)가 3개의 사과 품종(品種)과 양앵두의 휴면타파중(休眠打破中)인 가지(枝)의 내한성도(耐寒性度)에 미치는 효과(効果)를 연구하였다. 단기(短期) 저온(低溫)처리 효과는 저온(低溫)처리 후의 해빙(解氷)처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해빙(解氷)처리와 함께 $-9^{\circ}C$까지의 결빙온도(結氷溫度)가 3시간(時問) 및복되어 처리되었을 때 사과 및 양앵도의 내한성도(耐寒性度)는 저온(低溫)처리에 의하여 $3{\sim}9^{\circ}C$ 만큼 뚜렷하게 높아졌다. 이와 반대로 해빙(解氷)처리가 없이 결빙온도(結氷溫度)($-9^{\circ}C$)가 10시간 전처리(前處理)되었을 때 내한성도(耐寒性度)는 저온(低溫)처리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자연(自然)에서 일어나는 온도(溫度)의 결빙(結氷)-해빙(解氷) 반복의 역할은 위와 같은 자연적(自然的)인 온도(溫度) 자극이 휴면(休眠)이 깨어나고 있는 나무의 내한성(耐寒性)을 증진(增進)하여 초봄에 일어나는 만상(晩霜)의 피해(被害)에 적응(適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고 고찰(考察)되었다.

  • PDF

간이비가림시설에서의 포도 내한성 발현 및 생육 특성 (Characteristics of Cold Hardiness and Growth of Grapevines Grown under Rain Shelter Type Cultivation System in the Vineyard)

  • 안순영;김승희;최성진;윤해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626-63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노지재배 포도의 내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간이비가림시설 설치에 따른 식물체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간이비가림시설에서 월동한 식물체의 탄수화물 함량은 노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Muscat Bailey A'의 줄기보다 '거봉'과 '캠벨얼리' 품종에서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노지에 비해 간이비가림시설에서 발아율과 신초의 생장도 양호하였으나 방충망, 차광막을 처리한 구에서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포도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은 간이비가림시설에서 발생이 적었다. Stilbene 화합물 함량은 노지보다 간이비가림 처리구에서 함량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함유된 stilbene은 배당체 형태인 t-piceid였으며, resveratrol, piceatannol, c-piceid에 비해 상당히 고함량을 나타내었다. Chalcone isomerase,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proline rich protein 2, temperature induced lipocalin의 transcripts는 시간이 지날수록 유전자의 발현량이 더 많이 축적되었고, 대체적으로 간이비가림시설의 삽수에서 저온 스트레스에 더 강하게 발현되었다. 처리구별 온도차이는 없었으나 노지에 비해 간이비가림시설에서 풍속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간이비가림시설 내에서 차광막을 설치한 경우 풍속의 감소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겨울철의 간이비가림시설과 방충망을 설치함으로써 극저온에 의한 포도나무의 저온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품종과 재식밀도가 알팔파의 형태, 월동 및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ety and Stand Density on Plant Morphology, Winter Survival, and Cold Hardiness of Alfalfa)

  • 민두홍;;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6
    • /
    • 1999
  • 본 연구는 알팔파의 품종과 재식밀도가 식물의 형태, 월동 및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주구는 알팔파 품종('Vernal'과 'Algonquin')과, 세구는 재식밀도(16, 45, 100, 278과 $494plants/m^{-2}$)로 분할구 배치법으로 캐나다 앨버타주의 애드먼톤에서 수행되었다. 식물 지상부의 형태는 재식밀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 개체당 줄기수, 줄기당 무게, 개체당 무게, 그리고 줄기의 직경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월동률은 식물 개체수가 45개 이하에서 100%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식물 재식밀도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월동률을 보였다. 뿌리에 있는 비구조 저장탄수화물(TNC)의 양은 식물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가장 낮은 LT50은 25cm의 식물간격을 지닌 개체 수가 16개인 처리구와, 가장 높은 LT50은 4.5cm의 식물간격을 지닌 개체 수가 494개인 처리구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그러나 알팔파 Vernal과 Algonquin 두 품종간 식물형태, 월동률 및 내한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높은 재식밀도 즉, 평방미터당 식물개체 수가 278개 이상인 처리구는 낮은 재식밀도에 비해 알팔파의 월동률과 내한성에 있어서 전혀 유리한 점이 없었다.

  • PDF

눈 조직의 저온열방출방법을 통한 포도 품종의 내한성 분석 (Cold Hardiness Evaluation of Grapevine Buds by Low Temperature Exotherms among Several Grape Cultivars)

  • 김수진;유덕준;전성훈;허윤영;임동준;이동훈;박서준;이희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3-99
    • /
    • 2024
  • 최근 국내 재배가 많거나 국내 도입이 되고 있는 13개 포도 품종의 눈을 대상으로 LTE를 측정한 결과 'Shooting Star', 'Muscat Bailey A', 'IFG-6', 'Vanessa Seedless', 'Summer Crispu', 'Shine Muscat', 'Jelly Pop', 'Campbell Early', 'Ruby Seedless', 'My Heart', 'Kyoho', 'Thompson Seedless', 'Violet King' 순으로 저온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LTE 값은 'Shooting Star'에서 -18.9℃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Violet King'에서 -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내 재배 시 기준 품종으로 제시되고 있는 'Campbell Early'와 'Kyoho'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상대 비교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지역별 재배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소맥품종에 있어서 발아종자의 Amylase 활력과 내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and on relationship between Amylase activities winter hardiness of germinating seeds in winterwheat varieties)

  • 원종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3-127
    • /
    • 1969
  • 소맥품종의 내한성 정도를 간이하게 판정할 수 있는 연구로서 내한성정도가 이미 알려진 3계급 9품종을 대상으로 하여 발아종자의 Amylase 활력의 강약과 품종의 내한성 정도와의 관계를 5시기 별로 시험했든바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시기별로는 Amylase 활력에 있어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품군간에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 내한성에 강한 품종인 수원8005, 진광, 육성003는 다른 2군의 품종군보다 높은 Amylas의 활력을 보여주었고 내한성이 약한 품종인 적달마, 강도신력, 농촌004는 낮은 Amylase 활력을 나타냈으며 내한성이 중간정도인 농림006, 강도, 농림1002는 중간정도의 활력을 나타내었다. 3. 포장조건에서 내한성 정도가 같아보이는 품종간에서도 Amylase 활력을 강약이 인정되어 보다 세밀한 분류가 가능했다. 4. 시기별로 보면 제1~2일 째에서는 내한성 강, 중, 약 3품종군중 Amylase 활력의 차가 크지 않았으나 3일째에 3품종군간에 더욱 명백한 Amylase 활력의 차를 보여 주었고 제4일과 제5일에는 다시 낮아졌으며 포장의 냉해정도와도 시기에 관계없이 고도의 부의 상관을 인정할수 있었으며 3일째에서 가장 높았다. 5. 고로 발아후 3일에 나타난 결과에 의거 Amylase 활력의 차로 내한성의 강, 중, 약을 구명하는 것이 가장 알맞은 것으로 보이며 내한성판별의 기준으로써 효율적 편법으로 인정되었다.

  • PDF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별 꽃눈의 내동성과 재배안전지역 (Floral Bud Cold Hardiness and Cultural Safety Zone in Rabbiteye Blueberry Cultivars)

  • 김홍림;곽용범;한점화;오필경;채원병;김성철;김목종;김진국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7-333
    • /
    • 2014
  • 래빗아이블루베리는 북부형과 남부형 하이부쉬 블루베리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블루베리의 한 품종군이다. 하이부쉬 블루베리에 비해 높은 토양적응성과 다수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저온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단점 역시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래빗아이 블루베리의 품종별 꽃눈의 내동성 범위를 구명하고 그에 따른 재배안정지대를 설정하는데 두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재료는 경남 남해에 소재한 국립원예특작 과학원 남해출장소 블루베리 유전자원 포장에서 1월 상순에 굵기와 꽃눈의 개수 등이 균일하도록 채취하였다. 결과지의 저온반응은 전해질 누출량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꽃눈의 내동성은 절개한 후 씨방의 갈변율이 50%에 도달한 온도($LT_{50}$)를 경계로 구분하였다. 각 품종의 내동성을 바탕으로 재배안전지대설정은 1981~2010년까지 30년간의 극최저 기온 자료를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별 가지의 전해질 누출량은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5^{\circ}C$조건에서의 전해질 누출량은 'Brightwell'이 가장 낮았고, 'Bluegem'이 가장 많았다. 한편 'Brightblue', 'Brightwell', 'Climax', 'Delite', 'Gardenblue', 'Southland' 그리고 'Woodard' 품종들은 $-20^{\circ}C$ 처리에서 전해질 누출량이 증가하였다.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별 꽃눈의 내동성($LT_{50}$)은 'Bluegem' 과 'Homebell' ($-13.3^{\circ}C$)이 가장 낮았고, 'Tifblue'($-25^{\circ}C$)가 가장 높았다. 'Bonita', Gardenblue', 'Brightblue' 그리고 'Southland는 $-15.0{\sim}-16.7^{\circ}C$ 범위 내에서 내동성을 나타냈으며, 'Delite', 'Brightwell', 'Austin' 그리고 'Climax'는 $-18.3^{\circ}C$에서, 'Bluebelle', 'Woodard' 그리고 'Powderblue'는 $-20^{\circ}C$범위 내에서 내동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래빗아이 블루베리 내한성 영역을 6개 구역으로 분류하였으며, 'Tifblue'를 제외한 대부분 품종들의 재배안전 지대는 전남 및 경남지역과 그 이남지역 이었다. 한편 본 연구의 실험실조건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재배현장(노지 및 시설)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안전지대 설정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캠벨얼리' 포도의 수체관리와 내한성 (Cold Hardiness in Relation to Vine Management in 'Campbell Early' Grapevines)

  • 송기철;최인명;조명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87-390
    • /
    • 2000
  • 포도나무의 수체관리와 수량이 과실품질과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화성지역과 수원지역에서 '캠벨얼리' 품종을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동해 상습지역인 화성지역은 수원지역에 비해 동계 최저기온 극값이 낮았고, 재식거리가 좁아 과다결실을 하고 있었으며, 수확시기도 7일 가량 늦은 경향이었다. 또한 포도나무의 결과모지내 탄수화물 함량도 1.2~1.7% 정도 낮았으며, $-15^{\circ}C$의 저온처리에 의해 발아율도 현저히 낮았다. 수원지역에서 포도 착과량별 과실품질과 결과모지의 발아정도를 보면, 착과량이 많아질수록 과방 및 과립의 크기는 차이가 없었으나, 당도가 떨어지고, 착색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착과량이 많아지면 결과모지의 탄수화물 함량이 적어지는 경향인데, 특히, $-15^{\circ}C$ 이하의 저온 처리에 의해 발아율이 현저히 낮아졌다. 과실품질을 고려한 적정 수량은 2.3~2.6MT/10a이 적합하였다.

  • PDF

厚葉性 뽕품종 厚葉綠의 同質4倍體 ″4原뽕 28號″의 創成 (Breeding of an Autotetraploid, Sawonppong 28, Derived from a Thick Leaf Mulberry Variety, Huyeoprok (Morus sup.))

  • 박광준;성규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6-58
    • /
    • 2002
  • 뽕잎 두께가 비교적 두껍고 수량성이 높은 후엽녹의 생장점에 Colchicine용액 적하처리를 하여 창성한 4배성인 4원뽕 28호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체세포의 염색체수는 2n=56인 4배체이다. 2. 봄철 발아개엽기는 중생뽕이고 잎모양은 삼각형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폭광형이고 잎두께는 매우 두께우며 잎면적당 염록소 함량이 많다. 3.가지길이는 비교적 짧고 가지수도 다소 적으며 가지굵기는 굵은 편이고 기부불발아장비율이 높고 내동성은 약하다.

콩과목초의 사초 수량 및 품질 비교 (Comparison of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orage Legume)

  • 김종덕;김수곤;권찬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437-442
    • /
    • 2004
  • 콩과목초는 젖소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토양에는 질소비료원이다. 본 시험은 콩과목초의 사초생산성과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천안연암대학의 실습농장에서 실시하였다. 공시한 콩과목초 5초종은 2모작이 가능한 목초로 크림손 클로버(Trifolium incarnatum L.) 'Tibbee', 헤어리 베치(Vicia villosa Roth) 'Common',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L.) 'Kenland', 페르시안 클로버(Trifolium resupinatum L.) 'Leeton', 알팔파(Medicago sativa L.) 'Vernal' 이다. 콩과목초의 내한성은 크림손 클로버가 7점인 것을 제외하고는 공시품종 모두가 8점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콩과목초의 개화기는 크림손 클로버가 4월 23일로 공시초종 중에서 가장 빨리 개화하였으며, 헤어리 베치는 5월 13일, 레드 클로버는 5월 3일, 알팔파는 5월 12일에 개화하였다. 그러나 페르시안 클로버는 수확시까지 출수를 하지 않았다. 수확시 건물률은 크림손 클로버가 17.6%로 공시초종 중에서 가장 높았다. 건물 및 TDN 수량은 크림손 클로버와 헤어리 베치가 공시초종 중에서 가장 많앗다. 조단백질 함량은 헤어리 베치가 20.5%로 가장 높았다. NDF 및 ADF 함량은 페르시안 클로버가 35.5 및 25.0%로 가장 적었다. NDF와 ADF를 근거로 계산한 상대사료가치(RFV)는 헤어리 베치를 제외하고는 콩과목초 모두가 125이상으로 특급이었다. 페르시안 클로버는 공시초종에서 상대사료가치와 TDN이 가장 높은 양질의 콩과목초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콩과목초 중 크림손 클로버와 헤어리 베치가 사초수량이 높았고, 페르시안 클로버가 품질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