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d stratificatio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5초

2013년 2월 동해의 근해 해황에 의한 연안 성층 (Coastal Stratification Induced by Oceanographic Conditions of Open Sea in the East Sea on February, 2013)

  • 최용규;김상우;정희동;심정민;권기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7-333
    • /
    • 2013
  • 동해에서 외양의 해양학적 현상으로 인하여 연안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층 현상을 이해할 목적으로 2013년 2월 국립수산과학원의 해양조사 정선관측 자료와 함께 연안의 3개 지점(속초, 죽변, 감포)에서 조사한 CTD 자료를 분석하였다. 속초와 감포 연안은 혼합 상태였으며, 죽변 연안은 강항 성층을 이루고 있었다. 또한 해양 정선 조사에서 104선(죽변)의 연안쪽 정점에서도 마찬가지로 107선(속초)과 209선(감포)의 연안쪽 정점에 비해서 성층이 강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104선(죽변)의 정점 9의 깊이 200 m층에서 $4.0^{\circ}C$의 양의 수온 편차를 보였으며 이것은 연안까지 이어져 양의 수온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10^{\circ}C$ 등온선이 깊이 200 m까지 아래로 오목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104선의 정점 9를 중심으로 10~40 cm/s의 속도로 시계 방향의 소용돌이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는 죽변 연안에서 나타난 성층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접안에 의해서 형성된 것임을 보여주었다. 난수성 소용돌의 변화는 동해에서 대구와 같은 냉수성 어종의 회유에 장애물이 될 수도 있어 수산 자원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단열용기의 잠열재 배치에 따른 내부 온도 균일성에 대한 영향 (Effect of Latent Heat Material Placement on Inside Temperature Uniformity of Insulated Transfer Boxes)

  • 지형용;정동열;최석천;김정열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3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저온물류 시스템의 단열용기의 온도유지 성능에 대하여 5℃급 저온 LHM을 배치하였을 때 배치구성 조건에 따른 온도특성을 확인하였다. LHM을 단열용기 내부에 배치하였을 때 6면과 5면에 상/하부 배치 비중에 차이를 두고 외기부하에 따른 내부 공기 온도균일도 및 목표 온도 유지시간을 분석하였다. 단열용기 내부 공기는 상부의 상승온도와 이때 발생하는 밀도차에 의한 공기 대류현상이 온도 성층화를 발생시키고, 균일도를 확보하기 위해 LHM의 상부 배치 비중이 하부보다 컸을 때 균일성이 높고 유지 시간이 오래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상부 배치 비중을 높이기 위해 하부 배치를 제외한 조건에서 높은 균일성을 보이지만 짧은 유지 시간으로 보여 적정조건으로 알맞지 않다. 결과적으로 단열용기의 단열재 대칭구성과 LHM의 동일한 중량을 배치하여 보냉용기를 제작할 경우, LHM의 전면 배치를 바탕으로 하부에 비해 상부 배치 비중을 늘렸을 때 내부 공기 온도의 분포 균일도와 유지시간 성능을 높이는데 효율적인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저온물류 보냉용기 성능분석에 있어,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른 조건의 상변화 온도와 잠열량을 갖는 다양한 저온영역대의 LHM을 적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성능 예측 결과를 확보할 수 있고 온도 균일도를 위한 단열 및 잠열 복합 구성 이송 용기의 최적 설계조건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아시아 특산식물 애기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ex Siebold & Zucc (Moreaceae) 종자의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Seed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ex Siebold & Zucc (Moraceae) Native to East Asia)

  • 김건모;정재민;정지영;최혁재;이승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43
    • /
    • 2022
  • 본 연구는 동아시아 특산식물 애기닥나무의 자원식물로서 활용을 위한 대량증식법 개발을 위해 실시하였다. 종자의 발아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광·온도조건, GA3 처리, 저온층적처리를 실시하였다. 온도조건 실험에서 4, 15/6, 20/10, 25/15℃에서 발아율은 각각 0, 42.5, 44.4, 91.7%였다. 따라서 애기닥나무 종자의 발아 최적온도는 25/15℃였다. 온도조건에 따라 발아가 제한되었지만, GA3 처리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조건에서도 발아율을 높일 수 있었다. 저온층적처리를 통해 발아소요일수를 단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애기닥나무 종자를 conditional dormancy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적정 발아 온도조건은 25/15℃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조건에서도 GA3처리로 종자기반 대량증식이 가능하며, 향후 산업적인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한열 성향에 따른 한약 제제의 유효성과 안전성 비교 (Efficacy and Safety of Herb Medication According to Cold-heat Tendency of Knee Osteoarthritis Patients)

  • 송지연;김민정;성원석;김필군;구본혁;곽현영;김지혜;김동혁;박연철;서병관;백용현;최도영;이재동;박동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97-108
    • /
    • 2012
  • Objectives :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syndrome differentiation in clinical research of herb medic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efficacy and safety of herb medication according to cold-heat tendency of OA knee patients. Methods : During December 2010 to July 2011, 138 knee OA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WIN-34B 600mg(300mg, b.i.d.), 1,200mg(600mg, b.i.d.) and placebo b.i.d. for 8 weeks. Patient were re-classified into cold-heat tendency group according to cold-heat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efficacy and safety, we assessed the 100mm pain VAS at baseline and 8 weeks later, and we monitored adverse event of patients during treatment period. Results : 1. Efficacy study : In WIN-34B 1,200mg group, VAS mean changes of heat tendency group showed slightly increase than those of cold tendenc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wo groups. In heat tendency group, WIN-34B 1,200mg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VAS compared to placebo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d tendency group. 2. Safety study; In WIN-34B 600mg group, incidence of adverse events of cold tendency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heat tendency, but not in WIN-34B 1,200mg group.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WIN-34B tend to have more efficacy in heat tendency-knee OA patients and WIN-34B is safe drug relatively, regardless of cold-heat tendency. In further clinical research on efficacy and safety of WIN-34B, stratification using syndrome differentiation is required.

회화나무 종자발아에 미치는 전처리의 효과 (Effects of Several Pre-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r Sophora japonica L.)

  • 탁우식;김태수;최충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80-585
    • /
    • 2006
  • 본 연구는 경립종자로서 종피가 단단하고 두꺼워 발아시 어려움이 있는 회화나무 종자를 여러 가지 전처리를 통해 발아율 및 발아지수를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종피 파상처리로서 황산 30, 60, 90% 용액에 30분간 침지하였고, 종자의 유근 반대편 부위를 1/8, 2/8, 3/8씩 절단하였다. 또한 종자를 젖은 수건에 싸서 밀봉 후 $4^{\circ}C$ 저온고에 각각 3, 5, 10일간 보관하였으며, $90{\sim}95^{\circ}C$ 뜨거운 물에 각각 2, 5, 10분간 침지하였다. 전처리된 종자는 각각 다른 발아특성을 나타내었다. 황산 처리된 종자는 발아율 및 발아지수에서 무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황산 90%처리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종자 절단 처리에서는 절단 길이가 늘어날수록 발아율 및 발아지수가 감소하였으며 종자의 냉층적 처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58). 열탕 처리시 2분 침지 종자는 무처리 종자보다 발아율 및 발아지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5, 10분 침지 종자는 발아하지 않았다. 전처리가 종자 발아뿐만 아니라 유묘활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전처리 종자로부터 생장한 유묘를 대상으로 상대생장율 및 T/R율을 조사한 결과 황산 90% 처리구의 유묘에서 가장 뛰어난 수고 및 근원경의 상대생장율과 T/R율을 관찰 할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서 황산 90% 용액에 30분간 침지처리를 했을 때 회화나무 종자의 발아율, 발아지수를 비롯한 유묘의 상대생장율 및 T/R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2010년 하계 보돌바다의 수온과 염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Bottol Bada, Yeosu during Summer in 2010)

  • 조은섭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1-306
    • /
    • 2011
  • 본 연구는 2010년 보돌바다의 수온과 염분 분포를 파악하여 수괴 특성을 조사했다. 조사 정점은 보돌바다 내측과 외측을 중심으로 총 3 정점에 대하여 2010년 7월 29일, 8월 13일, 8월 30일에 각각 조사했다. 조사 시기는 전류시에 모두 해당되고 조사 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조위가 낮아지는 시기로 조사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실시했다. 정점 1의 경우 7월 29일만 수심 4m에서 수온약층이 발견되었으나, 8월 13일과 8월 30일에는 약층을 볼 수 없고 표층과 저층간의 수온차는 정점 2와 3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정점 2와 3은 7월 29일 수온약층이 강하게 형성되어 8월 30일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심 15m부터 저층까지의 냉해수 수괴는 매우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온에 비하여 염분은 정점 2와 3에서 8월 13일과 8월 30일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정점 1은 조사기간 동안 균일한 염분농도를 보였다. 투명도는 정점 2을 기준으로 하여 정점 1과 정점 3은 조사 회수에 따라 변동폭이 매우 큰 반면에 정점 2는 균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점 2는 정점 1과 정점 3의 경계 수역임을 알 수 있고 보돌바다는 내 측 상이한 수괴를 형성하고 있으며 보돌바다 외측의 뚜렷한 성층화는 많은 일조량과 약한 풍속 및 8월부터 보돌바다 외측에 고염의 외양수 유입으로 인하여 이러한 성층화 발달의 주요 요인으로 생각된다.

The Yellow Sea Warm Current and the Yellow Sea Cold Bottom Water, Their Impact on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Southern Yellow Sea

  • Wang, Rong;Zuo, Ta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1호
    • /
    • pp.1-13
    • /
    • 2004
  • The Yellow Sea Warm Current (YSWC) and the Yellow Sea Cold Bottom Water (YSCBW) are two protruding features, which have strong influence o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Yellow Sea. Both of them are seasonal phenomena. In winter, strong north wind drives southward flow at the surface along both Chinese and Korean coasts, which is compensated by a northward flow along the Yellow Sea Trough. That is the YSWC. It advects warmer and saltier water from the East China Sea into the southern Yellow Sea and changes th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greatly in winter. During a cruise after onset of the winter monsoon in November 2001 in the southern Yellow Sea, 71 zooplankton species were identified, among which 39 species were tropical, accounting for 54.9 %, much more than those found in summer. Many of them were typical for Kuroshio water, e.g. Eucalanus subtenuis, Rhincalanus cornutus, Pareuchaeta russelli, Lucicutia flavicornis, and Euphausia diomedeae etc. 26 species were warm-temperate accounting for 36.6% and 6 temperate 8.5%.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warm water species clearly showed the impact of the YSWC and demonstrated that the intrusion of warmer and saltier water happened beneath the surface northwards along the Yellow Sea Trough. The YSCBW is a bottom pool of the remnant Yellow Sea Winter Water resulting from summer stratification and occupy most of the deep area of the Yellow Sea. The temperature of YSCBW temperature remains ${\leq}{\;}10^{\circ}C$ in mid-summer. It is served as an oversummering site for many temperate species, like Calanus sinicus and Euphaisia pacifica. Calanus sinicus is a dominant copepod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and can be found throughout the year with the year maximum in May to June. In summer it disappears in the coastal area and in the upper layer of central area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shrinks its distribution into YSCBW.

Interannual variability of spring bloom in the Gulf of Maine observed by SeaWiFS

  • Son, Seung-Hyun;Thomas, Andrew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328-331
    • /
    • 2006
  • Eight years of SeaWiFS data quantify variability in the time/space patterns of spring bloom development in the Gulf of Maine (GOM). Maximum and earliest spring bloom are usually observed over Georges Bank, later on the deep basins from the west to the east GOM, and latest development along the eastern Maine coast in cold, tidally mixed water. Pronounced interannual variability of spring bloom timing, spatial position, and magnitude are shown in the GOM. Strongest negative anomalies are present in April 1998 and 2001 over Georges Bank and the eastern GOM, and in January to April of 2005 over the most of GOM. Positive anomalies are strong in April 2001, 2003 and 2004 in varying locations as well as in February and March 1999. It is suggested that interannaul variability in spring phytoplankton bloom concentrations is strong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water mass and stratification which might be influenced by basin-scale forcing due to large climate change.

  • PDF

성층화된 축열조의 1차원모델에 대한 적분 근사해 (Integral Approximate Solutions to a One-Dimensional Model for Stratified Thermal Storage Tanks)

  • 정재동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2권7호
    • /
    • pp.468-473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approximate integral solutions to the one-dimensional model describing the charging process of stratified thermal storage tanks. Temperature is assumed to be the form of Fermi-Dirac distribution function, which can be separated to two sets of cubic polynomials for each hot and cold side of thermal boundary layers. Proposed approximate integral solutions are compared to the previous works of the approximate analytic solutions and show reasonable agreement. The approach, however, has benefits in mathematical difficulties, complicated solution form and unstable convergence of series solution founded in the previous analytic solutions. Solutions for a semi-infinite region, which have simple closed form solutions, give close agreement to those for a finite region. Thermocline thickness is obtained in closed form and shows proportional behavior to the square root of time and inverse proportional behavior to the square root of flow rate.

변압기를 모델링한 두 개의 동심 원형 실린더 내에서 난류 자연대류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turbulent natural convection in a cylindrical transformer enclosure)

  • 오건제;하수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57-166
    • /
    • 1999
  • Numerical calculations of turbulent natural convection in an enclosure of the 20 kYA oil-immersed transformer model are presented. The transformer is modelled as two concentric cylinders with different heights and diameters. The thermal boundary layers are well represented i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along the wall of the transformer model. The flow stratification between the hot and cold walls can not be seen in the transformer model. The turbulence eddy viscosity has its maximum at the center of the core and its maximum values at the top of the core are larger than those at the bottom of the co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