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8초

DMT를 이용한 사질토 정지토압계수 평가방법 (A Method Evaluating K0 of Granular Soil using DMT)

  • 최성근;이문주;배경두;이우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4C호
    • /
    • pp.193-2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의 응력이력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정지토압계수($K_0$)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사질토의 상태정수(${\psi}$)를 매개로 하여 $K_D/K_{0-\psi}$ 관계와 $E_D/{\sigma_m}^'-{\psi}$ 관계를 조합한 $K_D/K_0=\chi(E_D/{\sigma_m}^')^{\delta}$ 의 형태로 표현된다. 챔버에서 수행된 딜라토미터시험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제안된 관계식은 응력이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은 사질토의 정지토압계수 추정 시 딜라토미터 시험결과 만을 이용하는 간편한 방법이며, 콘관입시험과 딜라토미터 시험 결과를 동시에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실트질모래 지반에서 버켓기초의 압입저항력에 대한 원심모형실험 연구 (Jacking Penetration Resistance of Bucket Foundations in Silty Sand Using Centrifuge Modelling)

  • 김동준;윤준웅;이규열;지성현;추연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25-35
    • /
    • 2015
  • 서남해안 지역의 중간조밀한 실트질모래 지반에서 버켓기초 스커트벽체의 압입저항력을 원심모형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압입저항력은 석션을 작용하지 않고 버켓기초를 지반에 관입시킬 때 발생하는 저항력으로서 자중관입 깊이와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스커트벽체의 주면저항력에 의한 지반의 응력증가 효과를 고려하는 방법(Houlsby and Byrne, 2005) 을 기반으로 실험 결과와 유사한 압입저항력을 산정할 수 있었다. 압입저항력 산정에 이용되는 수평토압계수, 스커트 벽체와 지반간의 경계면 마찰각 등의 주요 물성값의 산정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응력증가 효과의 고려 여부와 물성값의 변화가 압입저항력 산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실험을 통해 계측된 압입시 지반거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래지반에 타입된 개단말뚝의 관내토지지력 산정 (Computation of Plug Capacity for Open -Ended Piles Driven into Sands)

  • 백규호;이승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9권4호
    • /
    • pp.7-16
    • /
    • 1993
  • 지반조건이 관내토의 지지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건을 갖는 모래지반에 타입된 개단말뚝에 대하여 토조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모형말뚝은 말뚝의 지지력을 외주면마찰력과 관내토지지력, 그리고 말뚝 단면부지지력의 세가지로 분리 측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몇가지 가정하에 실험결과로부터 계산된 관내토 내부의 토압계수는 말뚝의 관입깊이와 지반의 상대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지반의 초기 압밀압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토압계수는 관내토의 하단부에 접근할수록 증가한다. 관내토의 1차원 해석으로부터 계산된 관내토지지력과 실측치의 비교로부터 Randolph등과 O'Neill등에 의하여 제안된 P를 이용한 1차원 해석이나 API의 추천방법은 관내토지지력을 상당히 과소평가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관내토의 1차원 해석을 통한 관내토지지력의 예측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1차원 해석에 필요한 관내토의 토압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경험식이 제안되었으며, 제안된 식은 모든 지반조건에 대하여 적당한 관내토지지력을 산정한다.

  • PDF

이방과압밀점토의 비배수크리프파괴 (V%drained Creep Rupture of an Anisotropically Overconsolidated Clay)

  • 강병희;오선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6호
    • /
    • pp.153-162
    • /
    • 1996
  • 이방압밀이 과압밀점토의 비배수크리프파괴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등방 및 이방과압일시킨 점토시료에 대해서 비배수상태에서 크리프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비배수 크리프파괴거동은 점토시료의 응력이력 즉 과압밀비와 압밀응력비$(\sigma_{3c}/\sigma_{le})$의 크기에 의해서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점토의 크리프강도는 과압밀비와 압밀응력비가 클수록 증가하므로 정지토압계수가 1.0보다 작은 점토지반의 크리프파괴 가능성을 등방압밀크리프피 괴시험에 의해서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리고 점토의 크리프강도는 과압밀비와 압밀응력비의 크기에 관계없이 Finn과 Shead(1973)의 제안식에 의한 상한항복강도로서 구할 수 있었다.

  • PDF

북극진동과 한반도 지표기온 관계의 장기변동성 (Decadal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ctic Oscillation and Surface Air Temperature over Korea)

  • 전예준;송강현;손석우
    • 대기
    • /
    • 제31권1호
    • /
    • pp.61-71
    • /
    • 2021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tic Oscillation (AO) and surface air temperature (SAT) over Korea is re-examined using the long-term observation and reanalysis datasets for the period of December 1958 to February 2020. Over the entire period, Korean SA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O index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0.4, only in the boreal winter. It is found that this correlation is not static but changes on the decadal time scale. While the 15-year moving correlations are as high as 0.6 in 1980s and 1990s, they are smaller than 0.3 in the other decades. It is revealed that this decadal variation is partly due to the AO structure change over the North Pacific. In the period of 1980s-1990s, the AO-related sea level pressure fluctuation is strong and well defined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and the related temperature advection effectively changes the winter SAT over Korea. In the other periods, the AO-related circulation anomaly is either weak or mostly confined within the central North Pacific. This result suggests that Korean SAT-AO index relationship, which becomes insignificant in recent decades is highly dependent on mean flow change in the North Pacific.

벽체(壁體)의 변위(變位)와 토압분포(土壓分布)와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연구(硏究) -비점성토(非粘性土)의 지표면(地表面)이 경사(傾斜)질 경우- (A Study on the Effects of Lateral 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on the Distribu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In the Case of Sloping Noncohesive Backfills-)

  • 조희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4
    • /
    • 1973
  • $C_{\small{OULOMB}}$$R_{\small{ANKINE}}$의 토압론(土壓論)에 기초(基礎)하여 중력식구조물(重力式構造物)이나 deflection 성구조물(性構造物)에 흔히 발생(發生)한 B형변위(型變位)에 대하여 연구고찰(硏究考察)함으로써 식(式) $$E=1/2\;H^2\frac{sin(u-{\varepsilon})cos({\alpha}+{\varepsilon})}{cos(u+{\alpha})}{\cdot}cot(u+{\rho})$$을 얻었는데 이식(式)은 토압재분배(土壓再分配)를 고찰(考察)한 식(式)이므로 실용도(實用度)가 높으리라 생각되며 본식(本式)에 의(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토압(土壓)은 벽고(壁高)의 자승(自乘)에 직비례(直比例)한다. 2. 토압(土壓)은 지표(地表)의 경사도(傾斜度)에 정비례(正比例)하며 벽체(壁體)의 변위(變位)에 반비례(反比例)한다. 3. 토압선도(土壓線圖)는 이차포물선(二次抛物線)으로 분포(分布)한다(그림 5의 b). 4. 토압강도(土壓强度)는 정수압적분포(靜水壓的分布)를 한다(그림 5의 c).

  • PDF

연직배수재로서 순환골재와 쇄석의 활용방안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Vertical drains)

  • 이달원;이정준;김시중;이영학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969-978
    • /
    • 2010
  • In this study, a laboratory model test on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vertical drains to use alternative material of sand in soft ground is perform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the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showed largely 1.2~4.0 times and 3.0~3.3 times greater than sand, respectively. Therefore, it showed enough to be an alternative material to the sand which had been being used a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rainage material before. The variations of pore water pressure with time showed constantly regardless of the load in all vertical drainage materials. When water level drops suddenly, the pore water pressure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crushed aggregate is reduced to nearly zero. Therefore, it was applicable to the field because discharge capacity was similarity to that of sand. The settlement in crushed aggregates and recycled aggregate decreases gradually with the load increase. When water level drops suddenly, earth pressure in all drains materials was evaluated the equivalent drainage capacity similarity to sand because it show approaching the nearly zero.

  • PDF

쉴드 터널 세그먼트 라이닝의 신뢰성 설계를 위한 변수의 변동계수 결정 (Determination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parameters for the reliability design of shield tunnel segment lining)

  • 변요셉;김도;이성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875-885
    • /
    • 2019
  • 본 논문은 쉴드 터널의 신뢰성 기반 설계시에 세그먼트 라이닝에 작용하는 전체 하중에 대한 변동계수와 토압에 대한 변동계수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도심지 구간에 해당하는 지반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풍화토 및 풍화암에 대한 통계적 특성치를 산정하였으며, MCS기법을 활용하여 이 값들을 Terzaghi 이론식에 적용하여 변동계수를 산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풍화토및 풍화암에 대한 이완하중의 변동계수는 0.08~0.14의 범위로 나타났고, 작용하는 전체 하중에 대한 변동계수는 LC1 = 0.38, LC2 = 0.33, LC3 = 0.37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변동계수는 쉴드 터널의 세그먼트에 대한 신뢰성 기반 설계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등방 지반에서 터널굴착을 위한 3차원 아칭식의 유도 및 그 영향 조사 (Derivation of a 3D Arching Formula for Tunnel Excavation in Anisotropic Ground Conditions and Examination of Its Effects)

  • 손무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2호
    • /
    • pp.19-27
    • /
    • 2018
  • 테르쟈기는 트랩도어 처짐에 기반한 상부지반의 수직활동면을 가정한 2차원 아칭식을 제안하였다. 이후 관련 식은 3차원 터널굴착조건과 경사활동면을 고려할 수 있도록 확장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터널굴착조건에서 비등방지반조건을 반영하여 터널 횡방향 및 종방향에서의 지반물성치 및 활동면의 경사각을 달리하여 고려할 수 있도록 더욱 확장된 아칭식을 유도하고 제시하였다. 제시된 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지반물성치, 경사활동면, 굴착조건, 상재하중, 토압계수)에서 발생되는 수직응력에 대해 조사하였고 테르쟈기의 2차원 아칭식과도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발생 수직응력은 굴착폭 및 굴착길이, 경사각, 상재하중이 증가할수록 증가했고 점착력과 마찰각, 토압계수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굴착길이가 작을 때와 횡방향 지반물성치에 의해서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테르쟈기 2차원 아칭식과 비교하여 발생 수직응력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차이정도는 지반물성치, 경사활동면, 3차원 터널굴착 조건에 따라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3차원 아칭식은 터널굴착으로 인한 복잡한 아칭현상을 보다 잘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엔진구동 지열 열펌프의 성능 분석(III) - 대체냉매를 이용한 증기압축식 열펌프의 운전특성 - (Performance Analysis of an Earth Coupled Heat Pump System Operated by an Engine(III) -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Vapour Compression type Heat Pump Using Alternate Refrigerant -)

  • 김영복;이승규;김성태;송대빈;강호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6호
    • /
    • pp.513-522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et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of an water-air compact heat pump system using R-134a. The experiments was done for three elvels of the air mass flow rate and the compressor driving speed during air-heating process.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e condenser inlet and outlet was 17~23$^{\circ}C$, 36~44$^{\circ}C$, respectively.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was 1$0^{\circ}C$, 6$0^{\circ}C$,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was not depending on the air mass flow rate and the compressor driving spee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t the condenser inlet and outlet was ranged of 10~18.5kg/$\textrm{cm}^2$ and that at the evaporator was ranged of 3.1~3.3kg/$\textrm{cm}^2$. The pressure drop at the condenser and evaporator was about 1.5, 1.2 kg/$\textrm{cm}^2$,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coefficient for air heating was about 3.3~4.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