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onut water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8초

소성 점토다공체 및 코코넛 피트를 혼합한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Soil Formulated by Blending Calcined Clay and Coconut Peat and its Effect on Plant Growth)

  • 허근영;강호철;김인혜;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7-115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artificial soil formulated by blending calcined clay and coconut peat with perlite, then to evaluate this soil as a perlite substitute for use as an artificial planting medium. To achieve this, a determin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t's effect on plant growth were conducted by comparing those with large perlite grains and small grai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ulk density was 0.41g/㎤. This density was lower than that of field soil, but higher than that of large perlite grain(0.23g/㎤) and small grain(0.25g/㎤). The porosity, field capacity,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ere 71.3%, 49.2%, and 3.8$\times$10-2cm/s, respectively. The air-permeability, water holding capacity, and drainage were better than or equal to that both large and small perlite grain. 2) It was near-neutral in reaction(pH=6.6). It had a high organic carbon content(65.8g/kg) and a low available phosphoric acid content(84.7mg/kg). It was similar to crop soil in cation exchange capacity(11.4cmol/kg). It had a low exchangeable calcium content(0.71cmol/kg), a low exchangeable magnesium content(0.68cmol/kg), a high exchangeable potassium content(2.54cmol/kg), and a high exchangeable sodium content(1.12cmol/kg). Except for the exchangeable potassium and sodium content, the chemical properties were better than or equal to both large and small grain perlite.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content will inhibit plant growth. 3) In Experiment 1, the plant growth tended to be higher compared to that of large and small perlite gains. But in Experiment 2, it tended to be lower. This might be linked to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content. 4) It could be considered as a renewable perlite substitute for greening of artificial soil.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leach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to avoid the risk of inhibiting plant growth.

Optimization of As Bioleaching by Herbaspirillum sp. GW103 Coupled with Coconut Oil Cake

  • Govarthanan, Muthusamy;Praburaman, Loganathan;Kim, Jin-Won;Oh, Sae-Gang;Kamala-Kannan, Seralathan;Oh, Byung-Taek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2호
    • /
    • pp.47-5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bioleaching of arsenic (As) using Herbaspirillum sp. GW103 an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bacteria and As during bioleaching. Five variables, temperature, time, CaCO3, coconut oil cake, and shaking rate, were optimiz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ased Box-Behnken design (BBD). Maximum (73.2%) bioleaching of As was observed at 30℃, 60 h incubation, 1.75% CaCO3, 3% coconut oil cake, and 140 rpm. Sequential extraction of bioleached soil revealed that the isolate Herbaspirillum sp. GW103 significantly reduced 28.6% of water soluble fraction and increased 38.8% of the carbonate f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diazotrophic bacteria Herbaspirillum sp. could be used for bioleaching As from mine soil.

왕겨의 재활용 및 하수처리 활용기술 개발 (Reuse of Rice-Hull and Appl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n Waste Water Treatment)

  • 신호상;안혜실;정동균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3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 /
    • pp.170-173
    • /
    • 2003
  • Activated Rice-Hull carbon was developed to remove ammonia compounds in water matrix. Isotherm adsorption tests of ammonia were conducted using a bottle-point technique and column test. Residual ammonia after Jar-Test or passing through the column was determined by Indophenol method, and assessed the removal efficiency for ammonia of the adsorbent. As a result, the adsorption capacity for ammonia of activated racehull carbon was very larger than that of coconut shell carbon, because the rice hull carbon had the higher BET surface area of silicate. The activated racehull carbon is under the development as adsorbent to remove ammonia in drinking water and waste water.

  • PDF

오존과 활성탄 공정해서의 1,4-Dioxane 제거 특성 (Removal of 1,4-dioxane in Ozone and Activated Carbon Process)

  • 손희종;최영익;배상대;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280-1286
    • /
    • 2006
  • 활성탄 재질별 신탄에서의 1,4-dioxane에 대한 흡착능을 평가한 결과, 석탄계 신탄의 파과시점은 BV 3600, 야자계와 목탄계 신탄의 경우는 BV 1440과 144 정도로 나타났다. 1,4-dioxane에 대한 최대 흡착량(X/M)은 석탄계 활성탄이 578.9 ${\mu}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142.3 ${\mu}g/g$, 목탄계 7.4 ${\mu}g/g$이었다. CUR은 석탄계 활성탄의 경우 0.48 g/일,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은 1.41 g/일과 6.9 g/일로 나타났으며 야자계와 석탄계 활성탄의 k값은 17.9와 91.5로 나타났다. 오존 단독처리 공정에서의 1,4-dioxane 제거특성을 평가해 본 결과, 2 mg/L의 오존 투입농도에서는 1,4-dioxane의 제거율이 38%인 반면 5 mg/L 고농도 오존처리로 87%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전처리 산화공정이 없는 BAC 공정(3.1년 및 5년 이상 사용탄)에서는 부착 미생물에 의한 생물분해에 의한 제거는 없었으며 2와 5 mg/L $O_3+BAC$ 공정에서 EBCT를 $10{\sim}30$분으로 하여 운전하였을 경우 오존 단독공정에 비해 $2%{\sim}6%$ 정도 제거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오존처리 후의 BAC 공정은 1,4-dioxane 제거에 큰 효과가 없었다. 1,4-dioxane이 고도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되었을 시 GAC 공정을 채택한 정수장의 경우 석탄계 신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오존/BAC 공정의 경우는 BAC 접촉조의 EBCT를 증가시키는 운전 방법 보다 오존의 투입농도를 증가시키거나 오존 접촉조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운전하는 방식이 1,4-dioxane 제거에 대해 효과적인 운전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낙동강 하류 상수원수의 생물활성탄에 의한 수질개선 및 세균분포 특성 (Improving Water Quality and Bacterial Characteristics during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Biological Activated Carbons on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 박홍기;나영신;정종문;류동춘;이상준;홍용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11
    • /
    • 2001
  •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Investigation of bacterial characteristics have been conducted in a pilot plant using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in water treatment process at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Most of water control parameters were highly improved after passing through BAC. Approximately 54% of dissolved organic carbon was removed in coal-based BAC process. Bacterial biomass and bacterial production appeared $9.8{\times}10^8 CFU/g and 7.1mg-C/m^3$.hr in coal-based BAC, respectively. Predominant bacteria species grown in BAC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Flavobacterium, Alcaligenes, Acinetobacter and Aeromonas species. Particularly Pseudomonas vesicularis was dominant in both coal-based and coconut-based BACs, while Pseudomonas cepacia was dominant in wood-based BAC.

  • PDF

포도 4배체 '후지미노리'와 3배체 '썸머블랙'의 교배로 얻은 미숙배의 기내배양 (In Vitro Culture of Immature Embryo Obtained by Crossing between Tetraploid Grape 'Fujiminori' and Triploid 'Summer Black')

  • 고재철;오주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352-358
    • /
    • 2013
  • 포도 4배체 'Fujiminori'에 3배체 'Summer Black'을 인공교배하여 얻은 미숙배의 발아 및 식물체 분화를 목적으로 MS 배지에 $GA_3$와 Coconut water(CW)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배양을 실시하였다. 'Fujiminori'에 'Summer Black'을 교배하여 64.3%의 미숙배를 얻을 수 있었고, 미숙배를 기내 배양한 결과 $GA_3$ 모든 처리구(0.01, 0.05, 0.25, $1.25mg{\cdot}L^{-1}$)에서는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15.8-31.6%만이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또한 $GA_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하배축은 신장되었고, 비대생장은 억제되었다. CW 모든 처리구(5, 10, 15, 20%) 중에 CW 10%와 CW 15% 처리구에서는 각각 68.4%와 66.7%로 많은 식물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줄기의 길이생장, 마디수, 발근수는 CW 10% 처리구에서, 뿌리길이는 CW 15% 처리구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포도 4배체 'Fujiminori'와 3배체 'Summer Black'의 인공교배를 통해 얻어진 미숙배의 발아 및 생장을 위해서는 CW 10-15%를 첨가한 MS 배지를 이용한 배배양이 효과적이다.

송이균사(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의 생육에 미치는 탄소원 및 비타민의 영향 (Effect of Carbon sources and Vitamins on Mycelial Growth of 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

  • 이창윤;홍운표;정명준;한영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226-232
    • /
    • 1997
  • 경주시 남산으로부터 송이를 채집하여 균사를 분리하였다. 집락 및 균사의 형태, 균사의 독특한 송이향(1-octene-3-ol)을 기준으로 하여 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이라 명명하였다. T. matsutake DGUM 26001은 사용한 복합액체배지 중 yeast malt extract 및 Czapek-Dox 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균사생육을 보여주었으며, nutrient glucose 배지, Macaya-Lizano 배지, 및 Tricholoma matsutake 배지(TMM)에서의 균사생육은 양호하였다. 세균 배양에 사용되는 colombia 배지, brain heart infusion 배지, Luria-Bertani glucose 배지 및 brucella 배지에서의 균사 생육은 매우 저조하였다. TMM 배지에 다양한 탄수화물을 탄소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다당류의 starch, 이당류의 trehalose 및 maltose, 단당류의 sorbitol, xylitol 및 glucose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육이 양호하였다. Starch를 탄소원으로 하는 TMM 배지에서 30일간 균사를 배양하였을 경우, 8.85 g/L의 건조 균사중량을 얻을 수 있었다.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하는 TMM 액체배지에 coconut water 및 pyridoxine을 비타민으로 첨가하여 30일간 배양 후, 가장 우수한 균사 건조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각각 8.65 및 8.32 g/L의 균사 건조량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할미꽃 정단 분열조직 배양을 통한 효율적 미세번식 (Effective Micropropagation of Pulsatilla cernua var. koreana through Apical Meristem Culture)

  • 고정애;김현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62-367
    • /
    • 2008
  • 할미꽃의 정단 분열조직배양에 의한 기내 효율적 미세번식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2,4-D, NAA, kinetin, TDZ와 BA를 혼용처리한 MS배지에 정단분열조직을 배양하였다. 배지내 2,4-D와 kinetin, 2,4-D와 TDZ, NAA와 TDZ 혼용처리는 캘러스 유도에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나 NAA와 BA가 혼용 처리되었을 때 배발생적 또는 기관분화성 캘러스가 유도되었다. 특히 0.5mg/L NAA와 1.0mg/L BA 혼용처리된 MS 배지에서는 캘러스로부터 고빈도로(62%) 신초가 형성되어 캘러스 유도 및 신초형성에 적합하였다. 적합배지에 10% coconut water를 첨가하여 30일마다 계대배양 하므로 캘러스 증식률, 신초 분화율 및 신초 신장이 현저히 증가되었는데, 그 결과 절편체 당 평균 12.9개의 shoot bud를 분리할 수 있었다. 할미꽃 기내 유도된 식물체에서 뿌리는 쉽게 분화되지 못하였으나 9.0mg/L NAA 단용 또는 0.5mg/L NAA와 1.0mg/L BA 혼용처리된 MS배지에서 캘러스를 통해서만 분화되었다. 이들 뿌리는 동일 배지에서 캘러스유도 및 식물체 분화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시원체가 되기도 하였다.

활성탄과 생물여과 공정에서의 유기질소계 염소 소독부산물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Nitrogenous Organic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by Activated Carbons and Biofiltration)

  • 서인숙;손희종;최영익;안욱성;박청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4-191
    • /
    • 2007
  • 활성탄 공정에서 chloropicrin, DCAN, DBAN 및 TCAN과 같은 질소계 염소 소독부산물의 제거기작은 운전초기에는 흡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부착미생물의 활성이 중진되면서 부착미생물에 의한 생분해와 흡착에 의해 제거되었으며, 이들 물질들은 생분해능이 큰 물질들로 조사되었다. 입상활성탄 재질별 chloropicrin, DCAN, TCAN 및 DBAN의 제거 특성은 석탄계와 야자계 재질의 활성탄에서 제거율이 높았고, 목탄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거능을 보였으며, 안트라사이트 biofilter에서 가장 낮은 제거능을 보였다. 활성탄 재질별 부착 미생물의 생체량과 활성도는 석탄계가 가장 높았고, 야자계, 목탄계, 안트라사이트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 변화에 따른 chloropicrin, DCAN, TCAN 및 DBAN의 제거 특성은 수온이 $10^{\circ}C$ 이하로 저하될 경우 부착 bacteria의 생체량과 활성도 감소로 제거율이 감소하였다.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한 생물여과 공정은 수온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부착 bacteria에 의한 직접적인 생물분해가 주 제거 메카니즘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Chloropicrin, DCAN, TCAN 및 UBAN과 같은 질소계 염소소독부산물들의 유입농도가 높은 경우 이들의 제거시에는 수온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며, 흡착능이 소진된 활성탄이나 흡착능이 없는 여재를 사용한 생물여과 공정에서는 수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이들의 유출 가능성이 있었다.

Optimization of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Orchid Coelogyne cristata

  • Naing, Aung Htay;Lim, Ki-By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260-266
    • /
    • 2011
  • An efficient protocol was established for high 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through a callus culture of Coelogyne cristata. The best frequency of callusing was obtained from a PLB segment (3-5 mm)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coconut water (CW) and a combination of both 3 $mg{\cdot}L^{-1}$ of 2,4-D and BA. When the calli were sub-cultured on the MS medium without any PGRs, the average number of somatic embryos were higher than those with PGRs treatment. NAA is the most critical factor among PGRs, which dramatically hindered for the formation of a somatic embryo. The efficacy of the addition of coconut powder (CP) for somatic embryogenesis was almost the same in all treatments. However, the number of somatic embryos formed distinctly depended on age of the callus. The somatic embryos converted into healthy plants with well-developed shoots on the same medium. Plantlets showed the best responses of root and shoot growth when transferred to $\frac{1}{2}$ MS medium containing 1.5 $g{\cdot}L^{-1}$ of activated charcoal. All plants with above 3.0-cm-high were successfully acclimatized in the green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