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ting blad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3초

가스터빈 블레이드용 IN738LC의 열기계피로수명에 관한 연구 (Thermo-Mechancal Fatigue of the Nickel Base Superalloy IN738LC for Gas Turbine Blades)

  • 에릭 플러리;하정수;현중섭;장석원;정훈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188-193
    • /
    • 2000
  • A more accurate life prediction for gas turbine blade takes into account the material behavior under the complex thermo-mechanical fatigue(TMF) cycles normally encountered in turbine operation. An experimental program has been carried out to address the thermo-mechanical fatigue life of the IN738LC nickel-base superalloy.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out-of-phase and in-phase TMF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on uncoated and coated materials. In the temperature range investigated. the deposition of NiCrAlY air plasma sprayed coating did not affect the fatigue resistance. In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a physically-base life prediction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of the contribution of different damage mechanisms has been applied. This model was able to reflect the temperature and strain rate dependences of isothermal cycling fatigue lives, and the strain-temperature history effect on the thermo-mechanical fatigue lives.

  • PDF

전구체 박막 증착법을 이용한 CuInSe2 박막 합성 및 결정화 메커니즘 분석

  • 이동욱;최영우;용기중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67-367
    • /
    • 2011
  • 태양전지에서 광흡수층으로 널리 쓰이는 CuInSe2은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20%대의 고효율을 기록하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증발법 및 스퍼터링 등의 기존 진공, 고온 기반 공정 기술은 원천적인 공정비용 절감이 어렵고, 고가의 희귀원소인 In 등의 원료 활용도가 떨어져 실험실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최근 공정 비용을 최소화와 원료 활용을 극대화를 통해 고효율 CIGS 박막형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비진공 방식의 전구체 박막 코팅 및 열처리를 통한 광흡수층 제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doctor-blade coating을 이용하여 전구체 박막을 기판 위에 형성하고 열처리 온도에 따른 박막 물성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박막 형성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또한 합성된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태양전지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SEM, XRD, TGA 분석을 통해 Cu, In, Se 전구체들이 각각 binary phase, 즉, Cu2-xSe 및 In2Se3의 metal chalcogenide을 형성하고, 고온에서 서로 결합하여 CuInSe2로 결정화 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합성된 CIS 박막은 근적외선 및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광흡수도를 보였으며, 전기적으로 Mo 전극과 ohmic contact을 이룸으로써 CIGS계 태양전지의 광흡수층으로의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 PDF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양극용 다공성 cermet 전극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porous cermet electr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anode)

  • 이규환;장도연;김만;강성군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91-298
    • /
    • 1993
  • In order to substitute for porous nickel anode in Molten Carbonate Fuel Cell(MCFC), porous cermet elec-trode was fabricated with Ni and Ni-P coated ceramic powder. Ni and Ni-P were coated by electroless plat-ing method in the nickel solution containing of hydrazine and sodium hypophosphate as a reducing agent. The plating solution was stirred by air and mechanical agitator. Ultrasonic irradiation was applied to the plating bath to improved the effect of agitation and coating speed. Electorde was formed by pressing method and doc-tor blade method followed by sinterd at$ 800^{\circ}C$ for 6 hours in H2 environment. Anode performance test carried out by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chnique in the MCFC operating condition and 154-161mA/$\textrm{cm}^2$ as ob-tained as a anode current density at the+100mV overpotential.

  • PDF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니켈 분말을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체 제조 (Prepara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s Filled with Nickel Powder and MWCNT Fillers)

  • 김성훈;박성환;권재범;하기룡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410-4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와 니켈 분말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복합체를 제조하여 물성을 비교하였다. 복합체 제조에 앞서, MWCNT 표면을 개질하여 카르복실기(-COOH)와 아미노기($-NH_2$)를 도입하였으며, 표면 개질 혹은 개질되지 않은 MWCNT와 니켈 분말을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에 분산하여 전기 전도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triethylenetetramine (TETA)를 경화제로 사용하여 전도성 복합체와 혼합한 후, doctor blade법으로 코팅하여 전기전도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MWCNT의 표면 개질 여부와 에폭시 수지와의 반응여부는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meter,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및 elemental analyzer (EA)로 확인하였으며, 복합체의 표면 형상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복합체의 면 저항 값은 4-point probe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미노기로 표면 개질한 MWCNT 0.5 wt%와 40%의 니켈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체의 면 저항 값은 $(9.87{\pm}1.09){\times}10^4{\Omega}/sq$로 니켈 분말만 53.3%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체의 면 저항 값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0.5%의 아미노기로 개질된 MWCNT를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체는 순수 니켈 분말만 사용하는 복합체보다 13.3%의 니켈 분말 함량을 감소할 수 있음을 알았다.

알루미나이징 강의 마모특성에 관한 연구 ( 1 ) - Rolling-Sliding 마찰의 초기마모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ear Characteristics of Aluminizing Steel ( 1 ) - Wear in Run-in Period on Rolling-Sliding Contact -)

  • 이규용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4권2호
    • /
    • pp.69-78
    • /
    • 1978
  • 알루미나이징강에 대하여 초기마모영역에서 rolling-sliding 마모시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차 확산재의 내마모성이 가장 우수하고 처녀재에 비하여 저응력 레벨에서 약 18%, 고응력에서 약 40%의 마모감소를 나타낸다. 2) 2차 확산재는 피복층과 합금층 경계부근의 공공생성으로 인하여 예상보다 내마모성이 낮다. 3) 알루미나이징강의 rolling-sliding 접촉에 의한 마모파양의 형태는 spalling 이며 spalling crack은 합금속의 경계부근에서 발생한다.

  • PDF

풍력 블레이드를 위한 CNT 코팅 유리섬유의 적용성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NT-coated Glass Fiber for Wind Blades)

  • 장홍규;김영철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6호
    • /
    • pp.336-34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 풍력 블레이드를 위한 CNT 코팅 유리섬유의 전자기적/기계적 적용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W급 이상의 대형 복합재 블레이드는 민수용/군수용 레이더와의 신호간섭 문제로 인한 발전단지 위치선정 제약과 무게 증가에 따른 발전효율 저해, 구조적 건전성 부족에 따른 수리비용 증가의 당면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CNT 코팅 유리섬유를 제안하였다. 먼저 제안된 CNT 코팅 공정을 통해 유리섬유 표면에 CNT를 강력히 코팅하고, Va-RTM을 통해 CNT 코팅/유리섬유 에폭시 복합재를 제작하여 전자기적/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전자파 흡수체 설계/제작 및 시험/평가를 통해 X-band의 8.3~12.1 GHZ에서 90% 이상 전자파 흡수성능을 가짐을 검증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계적 물성 시험/평가를 통해서 인장, 압축, 면내전단 강도/강성의 모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열 및 기계적 반복하중 하의 내열금속 표면 홀 주변 산화막의 변형 및 응력해석 (Cracking Near a Hole on a Heat- Resistant Alloy Subjected to Thermo-Mechanical Cycling)

  • 이봉훈;강기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9호
    • /
    • pp.1227-1233
    • /
    • 2010
  • 가스터빈엔진 내의 블레이드에서는 표면에 외부의 찬 공기를 흘려주는 작은 냉각 홀들을 가공하고 열 차단 코팅시스템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기지금속을 고온에서 보호한다. 열 차단 코팅은 열피로 과정에서 산화막의 성장 및 접합층과 산화막의 열팽창계수의 불일치로 산화막내부에 잔류응력이 발생하며 궁극적으로 코팅층의 분리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열합금 시편 표면에 작은 홀을 가공하여 여러 가지 고온 유지 조건에서 열 및 기계적 피로 시험을 수행하여 홀 주위의 산화막의 변형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기계적 피로가 홀 주위의 산화막의 변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동일한 산화막 두께에서 고온 유지 시간이 짧을수록 변형이 쉽게 발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홀 주위 산화막의 응력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연구도 시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