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word analysi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8초

연구동향 탐색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Research on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by Exploring Research Trends)

  • Choon-Ho LEE;Hoe-Chang YANG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4호
    • /
    • pp.53-63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papers published by Korean researchers related to traditional markets, to check what topics have been studied, and to make various suggestions for research directions and effective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word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BERTopic, LDA, dynamic topic modeling and OLS regression analysis using Python 3.7 on the English abstracts of a total of 502 papers extracted through ScienceON. Results: As a result of word frequency analysis and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udies related to traditional markets have been conducted not only on factors related to customers, but also on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and government policies, and the degree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perceived by customers using traditional markets. Through BERTopic and LDA, three topics such as 'Traditional market safety management' were identified, and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market safety management' is relatively less attention by researche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on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should be conducted from a specific consulting perspective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data, a causal model study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merchants as well as consumers, and an integrated and convergent approach to policy formulation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반한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Metadata Research by Using Co-word Analysis)

  • 최예진;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3-83
    • /
    • 2016
  • 다양한 매체와 유형으로 생산되는 정보자원에 대한 이용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자원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조직의 도구로서 메타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분야의 연구 영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8년 1월 1일부터 2016년 7월 8일까지 Web of Science 핵심컬렉션에 등재된 저널에 게재된 문헌을 대상으로 'metadata'라는 질의어로 Topic 검색을 수행하여, 총 727건의 논문에 대한 서지정보를 수집하였다. 이 중 저자 키워드를 가진 410건의 논문의 저자 키워드로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거쳐 저자 키워드 총 1,137개를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빈도수 6회 이상의 키워드 37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위해 첫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2개 영역 9개 군집을 도출하였으며, 메타데이터 분야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고, 중심성 분석을 통한 전역 중심 키워드와 지역 중심이 높은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둘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형성된 6개의 군집을 다차원축적지도상에 표시하였으며, 각 키워드들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향후 메타데이터 관련 교육과 연구의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lysis of Laughter Therapy Trend Using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LEE, Do-Young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4호
    • /
    • pp.33-3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rend and central concept of domestic researches on laughter therapy.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total 72 theses verified by inputting the keyword 'laughter therapy' from 2007 to 2021.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performed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zed the types of researches through topic modeling, and verified the visualized word cloud and sociogram. The keyword data that was cleaned through preprocessing, was analyzed in the method of centralit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rough the 1-mode matrix conversion process by using the NetMiner (version 4.4) Program. Results: The keywords that most appeared for last 14 years were laughter therapy, depression, the elderly, and stress. The five topics analyzed in thesis data from 2007 to 2021 were therapy, cognitive behavior, quality of life, stress, and the elderly. Conclusions: This study understood the flow and trend of research topics of domestic laughter therapy for last 14 years, a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on laughter therapy, which reflects the flow of time in the future.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웹 아카이빙 주제영역 연구 (A Study on Web Archiving Subject Analysis Based on Network Analysis)

  • 김희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5-2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Web of Science DB를 대상으로 주제어(topic)가 web archiving에 해당하는 288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동시출현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웹 아카이빙 주제 영역에서는 의학영역 정보기술 및 시스템과 관련된 이미지 아카이빙 관련연구들이 가장 중점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문헌정보학 및 기록관리학 영역에서의 웹 아카이빙 연구는 크게 웹 아카이빙 및 디지털 보존 프로젝트 주제와 웹 아카이빙툴과 방법론 주제를 중심으로 수행되어왔으며, 향후 웹 아카이빙 소프트웨어 및 툴 관련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Linking Service Perception to Intention to Return and Word-of-Mouth about a Restaurant Chain: Empirical Evidence

  • GARA, Edwen Huang;GARA, Edwin Huang;RAHMAN, Fathony;WIBOWO, Alexander Joseph Ibnu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73-83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restaurant service percep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ts implications on customers' attitude towards, intention to return to, and word-of-mouth (WOM) regarding a restaurant chai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ata from 421 respondents were col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fter analyzing the data normality and removing responses with missing data and outliers, 342 responses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We found that service perception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ed the customers' attitude toward the restaurant chain, which affected customers' intention to return and WOM about the restaurant chain. Conclusions: This paper provides one of the most important empirical results for managers in the restaurant sector, especially in Indonesia. Restaurant managers should thus provide training to their employe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raction with the customers and thereby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e limitations listed in this study include the exclusion of respondents' income. For future research, we suggest investigating models of customer participation or consumer value co-creation for restaurant marketing success. Consumers are generic actors in the service ecosystem engaged in the value co-creation process.

지구적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학술활동과 환경운동 경향 연구 (An Informetric Study on Academic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Movements in Solving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 박재신;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83-1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구적 환경문제의 해결 방식으로서 환경과학 분야의 학술활동과 같은 학문적 접근 방식과 환경 NGO 중심의 환경운동과 같은 실천적 접근 방식을 두 가지 주요 흐름이라 보고, 이들 각각의 특성을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지난 10년 간 환경과학 분야에서 인용된 저널의 주제범주 간 동시인용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 분야의 지식 구조를 파악하였고, 환경 NGO의 웹 사이트에서 수집된 외부링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들의 관심 분야를 확인하였다. 또한 저널 논문과 NGO 뉴스에서 추출된 핵심어를 이용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하위 주제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주제적 유사성과 상이성을 구체화하였다.

4대 해외 패션 컬렉션의 디자인 key-word 비교분석 - 2018년 패션 컬렉션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n design key-word of the four major international fashion collections - focus on 2018 fashion collection -)

  • 김새봄;이은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9-11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shion trends and the direction of the four fashion collections by analyzing the design key-words of the four major international fashion collections in 2018.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by extracting the key-words from Marie Claire Korea in 2018, with the total of the collected data numbering 2,144. The data was analyzed by text mining using the R program and word-cloud, and a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of fashion collection designs in 2018 were fringe and ruffle detail, silk and denim fabric, vivid color, stripe and check pattern, pants suit item, and oversized silhouette, focusing on romanticism and sport. Secon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collections were pastel colors in S/S, primary and vivid colors in F/W. Details were embroidery and cutouts in S/S, patchwork and fringe in F/W. Third, the design trends of the four major fashion collections were presented in the Paris collection: stripes, check patterns, embroidery, lace, tailoring, draping, romanticism, and glamor. In the Milan collection, checks, prints, denim, and minidresses reflected sport and romanticism. The London collection included fringe, ruffles, floral patterns, flower patterns, and romanticism. The New York collections included vivid colors, neon colors, pastel colors, oversize silhouettes, bodysuits, and long dresses.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비탈면 붕괴 예측 및 분석 연구에 관한 지적구조 분석 (Domain Analysis of Research on Prediction and Analysis of Slope Failure by Co-Word Analysis)

  • 김선겸;김승현
    • 지질공학
    • /
    • 제31권3호
    • /
    • pp.307-319
    • /
    • 2021
  • 최근 드론 및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탈면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다소 미흡한 실정이며, 여전히 비탈면 붕괴 대비에 취약하다. 이러한 이유로 비탈면 붕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탈면 붕괴 예측 및 분석 연구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연적이며, 이를 위해 비탈면 붕괴 예측 및 분석에 관한 이해가 선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비탈면 붕괴 예측 및 분석 연구의 지적구조를 규명하여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2016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5년간의 Web of Science 기반으로 문헌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동시출현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세부 주제 영역을 밝히고, 키워드 간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여 관계, 중심성 분석을 통한 전역 및 지역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형성된 군집을 다차원축적지도에 표시하였으며, 각 키워드들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비탈면 붕괴 분석 및 예측 연구의 지적구조를 밝히고, 향후 연구 방향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빅데이터 기반한 미세플라스틱 지적네트워크 분석 (Microplastics Intellectual Network Analysis based on Bigdata)

  • 김영희;장관종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39-259
    • /
    • 2022
  • 2019년 이후부터 전 세계적으로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국내·외 미세플라스틱 연구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은 국내연구 방향 수립에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CI와 WoS에서 미세플라스틱 논문들을 발췌하여 저자 키워드동시출현단어분석, 논문동시인용분석, 저자동시인용분석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분석방법론으로 국내외 연구 차이점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연구주제 분석은 인간의 생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와 일상에서의 미세플라스틱의 처리에 관한 연구가 국내에서 추가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품질을 살펴보는 논문 인용 깊이 분석에서는 국외 2.25와 국내 1.39로 국내가 아직 부족함을 보였고, 다양한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공동연구전선 구성형태 분석은 국내는 22개 군집 중에서는 3개가 Star형 구조가 있고, 국외의 경우는 19개 군집 모두가 Mesh 구조로 되어 있어 국내는 특정 연구 분야에서는 정보의 흐름과 공유가 부족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는 미세플라스틱의 연구주제 확장과 연구 질의 향상, 더불어 다양한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연구 추진체계 개선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주제 모델링(Topic Modeling)을 기반으로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을 한다면 실시간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도 가능할 것이다.

국내 제조업 화재사고 데이터 분석을 통한 복합 유해·위험요인 확인 (Identifying Hazard of Fire Accidents in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Data Analytics)

  • 김경민;서용윤;이종빈;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3-31
    • /
    • 2023
  • Revis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led to enacting and revising related laws and systems, such as placing fire observers in hot workplaces. However, the operating standards in such cases are still ambiguous. Although fire accidents occur through multiple and multi-step factors, the hazards of fire accidents have been identified in this study as individual rather than interrelated factors. The aim has been to identify multiple factors of accidents, outlining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that recently occurred in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major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Then representative accident types were derived by combining the main keywords through the co-word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hazards and their relationships. The representative fire accidents were identified as six types, and their major hazards were then addressed for improving safety measures using the identification of hazards in the "Risk Assessment" tool. It is found that various safety measures, such as professional fire observers' training and clear placement standards, are needed.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revising practical laws and guidelines for fire accident prevention, system supplementation, safety policy establishment, and future relate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