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word Analysis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8초

학위논문 주제어 중심 연구동향 분석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esearch Trend Analysis Focused on Thesis Key Word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김은실;강승혜
    • 한국어교육
    • /
    • 제29권2호
    • /
    • pp.25-48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o this end, key words were extracted from 29,470 academic thes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7.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re is greater quantity in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than about literature, and starting from 2010, there was an increase in studies similar to those from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Next, in comparison to the other fields,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greater variance in its research theme-in particular, numerous studies related to the site of education. Finally,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the following trends: a) there are copious studies focused o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omparison to other fields, b) there are a greater number of studies focused on culture, and c) the key words change by time period which suggest that research demands transformed over time. Overall, a total of 64 highest frequency key words from the three academic fields were investigated. Of these, 22 were common key words and 42 were differential key words. In this way, it was possible to illuminate the identity of each field.

Online Shopping Research Trend Analysis Using BERTopic and LDA

  • Yoon-Hwang, JU;Woo-Ryeong, YANG;Hoe-Chang, YANG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0
    • /
    • 2023
  • Purpose: As one of the ongoing studies on the distribut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n online shopping so far to propose not only the development of online shopping companies but also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retailers and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English abstracts of 645 papers on online shopping registered in scienceON were obtained. For the analysis through BERTopic and LDA using Python 3.7 and identifying which topics were interesting to researchers. Results: As a result of word frequency analysis and co-occurrenc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udies related to online shopping were frequently conducted on factors such as products, services, and shopping malls. As a result of BERTopic, five topics such as 'service quality' and 'sales strategy' were derived, and as a result of LDA, three topics including 'purchase experience' were derived. It was confirmed that 'Customer Recommendation' and 'Fashion Mall' showed relatively high interest, and 'Sales Strategy' showed relatively low interest.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hat more diverse studies related to the online shopping mall platform, sales content, and usage influencing factors are needed to develop the online shopping industry.

이용자 중심의 이미지 접근과 이용 분석을 통한 차세대 멀티미디어 검색 패러다임 요소에 관한 연구 (Towards Next Generation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by Analyzing User-centered Image Access and Use)

  • 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21-138
    • /
    • 2017
  • 멀티미디어 정보환경의 발전과 다양한 요구를 지닌 정보이용자는 멀티미디어의 접근과 이용에 있어서 기존 정보검색 패러다임에서 중요시하지 않았던 요소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특히 이미지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의 감정 접근과 이용은 다양한 정보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추상적 개념인 감정을 이용자에게 접근점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감정으로 접근이 가능한 게티 이미지 뱅크의 이미지를 5가지 기본 감정으로 검색하여 부여된 색인어 총 22,675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색인어는 전체감정, 긍정감정, 부정감정의 세 가지 데이터셋으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분석을 위해서는 동시출현단어행렬로 작성되어 가중 네트워크와 군집화기법으로 시각화되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체감정은 대분류로써 긍정감정, 부정감정, 가족의 3개 군집과 하위 20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긍정감정은 10개의 군집이며, 부정감정은 10개의 군집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가중 네트워크와 군집구성 분석을 통해, 세 가지 중요한 차세대 멀티미디어 검색을 위한 요소로 논의하였다. 첫째는 이미지 감정 표현을 위한 인물 색인어 특성이다. 둘째는 명시적 단어와 감정을 표현하는 함축적 단어와의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서 상대적으로 색인이 용이한 명시적 단어만으로도 함축적 단어 추론 가능성이다. 셋째는 감정으로 표현하는 함축적 단어의 유사어/동의어로의 확장은 이용자 중심의 접근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점이다.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 특성과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Characteristic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by Analyzing Cited Data)

  • 최형욱;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9-124
    • /
    • 2017
  • 여러 학문 분야에서 데이터의 공유와 재이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다른 연구자의 데이터를 다시 연구에 사용하고 인용을 부여하는 관행이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톰슨로이터는 Data Citation Index(DCI)라는 데이터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2012년부터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DCI는 모든 학문의 전 영역에서 데이터의 인용 현황을 저널의 논문과 유사하게 집계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인용이 활발한 사회학 분야의 인용된 연구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분야의 특성과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인용을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의 지적구조와 비교하였으며,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의 특성과 고유한 지적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두 종류로 수집하였다. 첫째는 DCI에서 'Sociology'로 주제 검색을 수행하여 총 8,365건의 인용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둘째로, 논문 인용 분석과의 비교를 위해서 Web of Science에서 'Sociology'로 주제 검색을 수행하여 총 12,132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두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자키워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수행한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는 2영역 15군집으로 구성된 반면, 논문을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는 3영역 17군집으로 나타났다. 내용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사회학의 지적구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 논문 기반 사회학과 달리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는 의학 분야와의 활발한 접목을 찾아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공중보건과 심리학이 중심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프로파일링 및 동시출현분석을 통한 지능정보시스템 연구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Identity Using the Keywords Profiling and Co-word Analysis)

  • 윤승정;김민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4호
    • /
    • pp.139-155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의 고유한 연구영역을 파악하고자 지능정보연구 학술지에 최근 3년 동안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수집하여 프로파일링 기법과 동시출현빈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능정보시스템 연구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밝히는 동시에 향후 추구해야할 연구영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정체성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뿐만 아니라 유사학회에 해당하는 한국경영정보학회 그리고 한국정보시스템학회의 키워드 및 연구방법론을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에서 인공지능/데이터마이닝, 지능형인터넷, 지식경영에 대한 주요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고려할 때 각 분야의 대표적인 학회로 한국빅데이터서비스학회 및 한국빅데이터학회,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한국지식경영학회의 연구 경향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키워드 분석 결과만을 요약하면,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는 키워드 부문에서는 텍스트마이닝, 데이터 마이닝 및 추천시스템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공지능/데이터마이닝 분야에서는 빅데이터 개념 자체와 감성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고, 지능형인터넷 분야에서는 SNS와 구매의도, 신뢰, 기술수용모델에 집중하고 있었다. 지식경영 분야에서는 지식관리, 지식 공유 키워드에 집중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뿐만 아니라 유사 연구 분야에서 생태계 전반적 융합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다.

2계층 유사관계행렬 구축을 통한 질의 처리 (Fuzzy Query Processing through Two-level Similarity Relation Matrices Construction)

  • 이기영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10호
    • /
    • pp.587-59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표제와 초록에 대한 2단계 색인어 유사관계행렬을 구축하였다. 동시출현빈도 기반으로 구축된 색인어 유사관계행렬은 호환관계에 따른 질의 확장으로 재현률을 유지하면서 2단계 내용기반 검색으로 정확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색인구조이다. 따라서, 주제 분석을 통해 영역지식을 추출하고 이용자의 정보 요구와 영역지식을 퍼지논리 기반으로 추론하였다. 본 연구는 질의에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용어 불일치 및 정보표현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이다.

  • PDF

한국과 미국에 있어 영화 수익관련 통계량과 확산 현상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ox-office Related Statistics and Diffusion in Korea and US Film Markets)

  • 김태구;홍정식
    • 경영과학
    • /
    • 제32권1호
    • /
    • pp.133-145
    • /
    • 2015
  • Motion picture industry in Korea has been growing constantly and aroused various kinds of research attention. Particularly, the introduction of official box-office database service brought quantitative studies. However, approaches based on diffusion models have been rarely found with domestic film markets. In addition to the fundamental statistical review on Korea and US film markets, we applied a diffusion model to daily box-office revenue. Unlike conventional preference of Gamma distribution on the film markets, estimation results proved that BMIC can also explain the trend of daily revenue successfully. The comparison with BMIC showed that there is a distinctive difference in diffusion patterns of Korea and US film markets. Generally, word-of-mouth effect appeared more significant in Korea.

학술 연구논문 데이터에 기반한 시각화 (Data Visualization based on Academic Research Papers)

  • 이현창;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9-100
    • /
    • 2018
  • Citation of academic research papers is a very important result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their utiliza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Most papers are composed of authors' keywords. However, there may be some papers with little relevance between the textual content and the presented keywo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tract and present important keywords through objective methods for titles and abstracts of thes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velopment results of important keywords through data visualization for academic research papers.

  • PDF

Conceptual Extraction of Compound Korean Keywords

  • Lee, Samuel Sangk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447-459
    • /
    • 2020
  • After reading a document, people construct a concept about the information they consumed and merge multiple words to set up keywords that represent the material. With that in mind, this study suggests a smarter and more efficient keyword extraction method wherein scholarly journals are used a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roduction rules based on a concept information of words appearing in a document in a way in which author-provided keywords are functional although they do not appear in the body of the document. This study presents a new way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each keyword, excluding non-relevant keywords. To identify the validity of extracted keywords, titles and abstracts of journals about natural language and auditory language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comparison of author-provided keywords with the keyword results of the developed system showed that the developed system was highly useful, with an accuracy rate as good as up to 96%.

의미 지향성 분석을 통한 단문 텍스트 기반 감정인지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Short Text using Semantic Orientation Analysis)

  • 김현우;이승룡;정태충;윤석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375-377
    • /
    • 2012
  •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SNS, 모바일 메신저, SMS와 같은 단문 기반 메시지는 자신의 감정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매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주로 장문의 텍스트로부터 긍정, 부정 분류나 문서의 성향을 분석하는 것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의미지향(Semantic Orientation)방법은 검색엔진을 통해 감정 키워드와 인지하고자 하는 단어의 동시 빈출 정도를 PMI로 계산한 것으로 WordNet과 같은 의미 사전이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의 특성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 지향성 및 다른 텍스트 기반 감정 분류 기술에 대해 비교하고 이들을 활용하여 한국어로 구성된 단문 텍스트에서 효율적인 감정 분류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