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nidilid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천궁의 세포배양에 의한 정유성분의 생산 (The Production of Essential Oils by Tissue Culture of Cnidium officinale)

  • 신승원;박봄뫼
    • 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9-183
    • /
    • 1994
  • Callus was derived from the shoots of Cnidium officinale. The growth rate of callus and the production of essential oils were studied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The essential oils in the rhizome of Cnidium officinale and the cultivated callu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It appeared that NAA induced higher growth rate and production of essential oils than 2,4-D. The compositions of essential oils were influenced by the illumination. Butyl phthalide, cnidilide, senkyunolide, butylidene phthalide, ligustilide, grandisol, tricosane, 3-methylphenol and 2-pentylthiophene were identified in the cultivated callus.

  • PDF

고본뿌리의 정유성분 (The Essential Oils of Ligusticum tenuissimum Roots)

  • 육창수;강찬구;인문교;김경옥;김종우
    • 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73-276
    • /
    • 1997
  • Ligusticum tenuissimum belongs to Umbelliferae, and its root is generally used in headache, common cold and arthralgia L. We have extracted and isolated butylidene phthal ide, 3-butylidene-4,5-dihydrophthalide of phthalide group and l-limonene, etc. of terpenoid group from the root by ordinary method. In Ligusticum sinense, L. jeholense, L. tenuissimum, L. jeholense var. tenuisectum, and L. officinale etc., the components of cnidilide, ligustilide of phthalide group are common features and specific constituents in genus Ligusticum. Therefore comparing that there is no phthalide group in genus Angelica, we think it is able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genus between Ligusticum and Angelica of Umbelliferae in chemotaxonomy.

  • PDF

국내산 천궁의 향기 성분 (Th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Cnidium officinale Makino)

  • 최성희;김혜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2-585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lavor compnenets of Korean Cnidium officinale M.. The extraction of the flavor compounds of Cnidium officinale M. was accomplished by a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a Likens and Nickerson's extraction apparatus.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analyz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and GC-mass spectrometry. The change of the 림팩 contents in each samples was determined in terms of two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The flavor contents of sample at low temperature storage were higher than those at room temperature storage, and increased until storage period of 70 days. The major components of Cnidium officinale M. were terpene compounds including α-pinene, β -selinene, γ-selinene, and phthalides including butylidenephthalide, cnidilide, neocnidilide, senkyunolide A, ligustilide, which are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characteristic flavor of the Cnidium officinale M.. Especially, great amount of cnidilide and ligustilide was shown in sample of low temperature storage.

  • PDF

천궁(Cnidium officinale)의 향기성분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unds of Cnidium officinale)

  • 이재곤;권영주;장희진;김옥찬;박준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0-25
    • /
    • 1994
  • The volatile components were extracted from root of Cnidium officinale M. by SDE(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and analyzed by GC/M.5 and GC retention index matching.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over 22 volatile components. Major components were cnidilide (35.1%), neocnidilids (13.4%), ligustilide (23.2%). The essential oils were separat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Merck 70-230mesh), and 4 fractions among 12 fractions separated had a, good aroma character.

  • PDF

약용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Herbs Ganjang)

  • 심성례;유근영;김원;전삼녀;서혜영;한규재;김준형;송현파;조남철;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3-25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기능성 간장을 제조하여 일반 간장과 특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일반 간장과 3% 및 5%의 약용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 간장에 대한 일반성분 분석결과, 성분 조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향기성분 분석 결과, 일반 간장과 기능성 간장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추출물에서 유래된 paeonol과 senkyunolide A 및 cnidilide들이 기능성 제품에서도 관찰됨으로써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간장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각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아 약용 식물추출물이 관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체적으로 약용식물 추출물 3% 첨가와 5% 첨가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기능성 간장 제조 시 3% 첨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국산 및 중국산 천궁과 당귀의 Phthalide류 함량 비교 (Comparison on the Phthalides content of Cinidil Rhizoma and Angelicae Radix cultivated in Korea and China)

  • 김건우;정형진;정규영;손현주;오세명;김순영;남수환;박재호;심영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4-31
    • /
    • 2001
  • 천궁에서는 butylidene phthalide, butyl phthalide, senkyunolide, cnidilide + neocnidilide 및 ligustilide가 동정되었으며, 이들 성분의 70% 이상을 ligustilide와 senkyunolide가 차지하였다. Phthalide류 총량으로 볼 때 연길산 및 안국산의 중국재배 천궁은 한국재배종보다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길림산은 한국 재배종보다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성분의 함량도 낮아 품질이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의 연길산 천궁은 ligustilide와 senkyunolide의 광분해생성물인 butylidene phthalide 및 butyl phthalide함량이 높아 유통기간과 보관상의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되어져 약재 수입시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당귀에서는 butylidene phthalide와 ligustilide가 동정 되었으며, 전체의 약 90%를 ligustilide가 차지하였다. 우리나라 재배종 당귀 중의 ligustilide 함량은 중국 연길산의 상품 및 하품보다 높았으나, 안국산 및 길림산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길림산을 제외한 중국산 당귀는 ligustilide의 광분해산물로 생성되는 butylidene phthalide함량이 우리 나라 재배종에 비하여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천궁에서와 같이 중국산 약재의 유통과 보관상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 PDF

한국산과 중국산 고본(藁本)중 정유성분의 정성.정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Essential oil in Angelicae tenuissimae Radix or Ligustici rhizoma)

  • 박호군;이상인;이선현;박현미;이재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9-193
    • /
    • 1997
  • Angelicae tenuissimae Radix의 정유성분에 대한 구조규명과 채취장소에 따른 정유성분의 정량실험 결과 및 Ligustici rhizoma와의 정성 정량적 차이점에 관한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Ligustici rhizoma와 Angelicae tenuissimae Radix 산지별 네가지 시료의 용출함량을 비교한 결과 경북 석포에서 채집한 시료가 11.3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중국산 Ligustici rhizoma가 3.49%로 가장 낮은 용출함량을 나타냈다. GC/MS로 구조를 분석한 결과 Angelicae tenuissimae Radix의 정유성 분은 ${\alpha}-pinene,\;{\alpha}-phellendrene,\;{\delta}-3-carene,\;{\gamma}-terpinene$, 4-vinylguaiacol, ${\alpha}-farnesene,\;(t)-{\beta}-farnessene,\;{\gamma}-elemene$, sesquiterpene alcohol, butylphthalide, senkyunolide, butylidenephthalide, z-butylidenedihydrophthalide (z-ligustilide) 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Ligustici rhizoma 정유성분에서는 Angelicae tenuissimae Radix와 다르게 senkyunolide가 38.7%로 주성분이었으며, butylphthalide(17%), cnidilide(8.8%), z-ligustilide(8.8%) 등을 함유하였다. 따라서 Ligustici rhizoma와 Angelicae tenuissimae Radix의 주성분이 서로 상이하며, 그 조성비도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고본의 주성분은 ligustilide (한국산 고본)과 senkyunolide (중국산)로서 앞으로 임상실험을 통하여 이들 성분의 정확한 약리효과를 규정함으로써 고본(藁本)을 규격화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