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ned Korean white cattl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멸종위기의 백한우(체세포복제 포함)의 성장 및 혈액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Growth and Hematologic Characteristics of Endangered Korean Native Cattle)

  • 김현;최창용;성환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5-181
    • /
    • 2015
  • 본 연구에 사용된 공시축은 2013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사육 중인 모색을 기준으로 동일연령인 일반한우(황우), 백한우 및 복제소 18두(황우 10두, 백우 7두 그리고 복제소 1두)를 대상으로 혈액학적 수치를 확인하였다. 동일연령의 복제소와 백한우의 성장 단계별 혈액학적 검사 결과에서 1년 이하에서 1~2년으로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RBC 관련 6개의 인자의 측정수치가 정상치 범위내 임을 확인했다. 또한 일반한우와의 비교에서도 차이점이 인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복제소를 포함하는 백한우군와 일반 한우군 간의 RBC($11.2{\sim}10.1{\times}10^6/{\mu}l$, $12.0{\sim}10.3{\times}10^6/{\mu}l$로)와 PL치($592{\sim}448{\times}10^3/{\mu}l$, $589{\sim}450{\times}10^3/{\mu}l$로)에서 각각 유의성 있는 감소(P<0.05)가 인정되었다. 또한, 복제소와 백한우의 백혈구계 검사 결과에서도 1년 이하에서1~2 년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WBC 수치($12.0{\sim}11.1{\times}10^3/{\mu}l$, $12.5{\sim}10.0{\times}10^3/{\mu}l$)가 감소했지만, 정상치 범위 내의 결과를 확인했다. 백혈구 분포의 백분율에서는 전반적으로 복제소 및 백한우의 림프구가 41.0~39.0%, 43.1~41.6%이며, 분엽형 호중구 수치는 32.0~29.0%, 33.9~30.9%로 나타났다. 일반 한우군과 복제소를 포함하는 백한우군 간의 백혈구계의 림프구 수치의 비교에서는 백한우군(41.6%)로, 일반한우(45.1%)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음(P<0.05)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백한우의 귀체세포 유래의 복제소의 혈액학적 분석 결과로 건강상에 문제점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Production of transgenic cattle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with the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on factor (hG-CSF)

  • Carvalho, Bruno P.;Cunha, Andrielle T.M.;Silva, Bianca D.M.;Sousa, Regivaldo V.;Leme, Ligiane O.;Dode, Margot A.N.;Melo, Eduardo 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2호
    • /
    • pp.61-68
    • /
    • 2019
  • The hG-CSF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is a growth and stimulation factor capable of inducing the proliferation of bone marrow cells, several types of leukocytes, among other hematopoietic tissue cells. hG-CSF is used in used to treat anomalies that reder a small number of circulating white blood cells, which may compromise the immune defenses of the affected person. For these reasons, the production of hG-CSF in a bioreactor system using the mammary gland of genetic modified animals is a possibility of adding value to the bovine genetic material and reducing the costs of hG-CSF production in pharmaceutical industry. In this study, we aimed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hG-CSF bovine through the lipofection of bovine primary fibroblasts with an hG-CSF expression cassette and cloning these fibroblasts by th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technique. The bovine fibroblasts transfected with the hG-CSF cassette presented a stable insertion of this construct into their genome and were efficiently synchronized to G0/G1 cell cycle stage. The transgenic fibroblasts were cloned by SCNT and produced 103 transferred embryos and 2 pregnancies, one of which reached 7 months of ge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