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test

Search Result 8,20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소아 암 환자에서 발생한 균혈증 :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Bacteremia in Pediatric Cancer Patients : Causative Organisms and Antibiotic Sensitivities)

  • 김용한;이현동;하정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619-623
    • /
    • 2005
  • 목 적 : 면역 저하된 소아 암 환자에서 균혈증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하면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 질 수 있는 질환으로서 호발 원인균의 발생 빈도 및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은 지역적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조사하여 경험적 항생제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9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소아 암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지와 혈액배양검사 결과를 조사하여 균혈증이 확진된 39명, 58례를 대상으로 원인 균의 종류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소아 암 환자에서 균혈증의 발생빈도는 균혈증이 의심되어 혈액배양을 시행한 1,022례 중 58례로 5.7%였다. 균혈증을 일으킨 가장 흔한 원인 균은 그람양성균으로 총 37례(63.8%) 였고 그람음성균은 총 21례(36.2%)였다. 그람양성균의 경우 Staphylococcus epidermidis (22례, 37.9%), Staphylococcus aureus (10례, 17.3%), Streptococcus (5례, 8.6%) 순이었고, 그람음성균의 경우 Escherichia coli (7례, 12%), Enterobacter (4례, 6.9%), Klebsiella (4례, 6.9%), Serratia (2례, 3.5%), Acinetobacter (2례, 3.5%), Proteus (1례, 1.7%), Morganella morganii (1례, 1.7%) 순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그람양성균 37례 중 6례(16%)에서만 penicillin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15례(40%)에서 oxacillin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Staphylococcus aureus는 1례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vancomycin에, 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1례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teicoplanin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그람음성균의 경우, 21례 중 2례(10%)만이 cefotaxime에, 4례(19%)에서만 ceftazidime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Aminoglycoside에는 21례 중 6례(29%) 에서만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21례 모두에서 imipenem에 감수성을, 2000년 이후부터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meropenem에도 모든 예에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결 론: 균혈증이 의심되는 소아 암 환자에서 그람양성균에 의한 균혈증이 증가하는 점과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항생제 다제내성 빈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유념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얼렌증후군에서 컬러필터가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or Filter on the Reading Ability in Teenager with Irlen-Syndrome)

  • 이동준;임현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5-136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광과민성 난독증인 얼렌증후군(Meares-Ilren syndrome visual stress: MISViS)으로 진단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검사와 관련된 설문조사 및 각자 읽기에 도움이 되는 필터를 이용한 필터 사용 전, 후 읽기속도를 측정하여 읽기 속도 개선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방법: 얼렌증후군 진단은 MISViS 선별설문결과에서 임상기준 점수(MISViS score) 2.13 이상으로 나오면 얼렌증후군이 있는 것으로 진단하였다. 읽기검사는 문맥이 맞지 않고, 내용이 없는 문장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1분 동안 읽도록 하여 읽기 속도를 측정하였다. 15개의 컬러필터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터 kit에서 각 그룹의 농도가 최하위인 필터를 선택하여 착용시킨 후 반응을 관찰하였다. 결과: 얼렌증후군 그룹의 MISViS score는 2.57이었고, 정상그룹의 MISViS score는 0.66이었다. 얼렌증후군 그룹의 필터착용 전과 후 읽기속도결과는 읽기속도(reading speed) $102.27{\pm}27.86(wpm)$에서 $118.87{\pm}26.99(wpm)$ (p=0.001), 정상그룹의 읽기속도는 $132.93{\pm}6.88(wpm$)에서 $133.43{\pm}6.64(wpm)$ (p=0.131)의 결과를 보였다. 두 그룹간의 필터 착용 전과 후의 오류변화 결과는 얼렌증후군 그룹이 줄생략(skipping)은 $0.25{\pm}0.62$회에서 0회(p=0.191), 단어잘못읽기(error)는 $1.83{\pm}1.69$회에서 $0.17{\pm}0.38$회 (p=0.004), 반복읽기(repetition)는 0회 이었다. 정상그룹의 줄생략(skipping)은 0회, 단어잘못읽기(error)는 $0.21{\pm}0.43$회에서 $0.07{\pm}0.27$회(p=0.336), 반복읽기(repetition)는 $0.14{\pm}0.36$회에서 0회 (p=0.165)의 결과를 보였다. 얼렌증후군 15명에서 선택된 컬러 필터의 색은 청색계열 컬러 필터의 선택비율이 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상대조군 14명에서 선택된 컬러 필터는 회색계열 컬러 선택비율이 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MISViS score가 얼렌증후군을 선별하는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얼렌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청소년들은 각자에 적합한 컬러필터를 착용 했을 때 읽기 개선 효과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렌증후군에서 컬러필터 선택은 개인에 적합한 고유의 컬러필터 파장이 서로 다르므로 선택을 신중하게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Mycoplasma pneumoniae 유행 시기(2003년 하반기)의 항체 양전율에 대한 조사 (A Study of Antibody Conversion Rate During a Mycoplasma pneumoniae Epidemic Period(the Second Half of 2003))

  • 김도균;유진호;유영;고영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5호
    • /
    • pp.500-505
    • /
    • 2005
  • 목 적 : 소아 호흡기 감염의 주된 병원체인 M. pneumoniae는 일반적으로 4 내지 7년의 유행 주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M. pneumoniae 유행 기간 중 항체 양전율에 대한 정확한 국내 보고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2003년 하반기 M. pneumoniae 유행 기간 전후로 항체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항체 양전율을 조사하고 나이, 초기 항체가, 아토피 유무가 항체 양전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상반기 본원 외래를 방문하여 Mycoplasma 항체를 측정한 환아 중 혈청 항체가가 음성, 1 : 40, 1 : 80이었던 환아 191명을 대상으로 2004년 상반기에 추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추적 검사상 항체 역가가 4배 이상 증가한 경우를 항체 양전으로 정의하였고 항체 양전 여부에 따라 항체 양전군과 항체 비양전군으로 구분하였다. 혈청 항체 검사는 Serodia-Myco II 입자 응집법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들의 평균 나이는 $6.6{\pm}2.7$세였다. 남여 수는 각각 137명과 54명이었고 4세 이상 환아 중 아토피로 분류된 환아는 75명(44.6%)이었다. 대상 환아 중 항체 양전을 보인 환아는 83명(43.5%)이었다. 항체 양전군과 비양전군의 나이, 성별, 아토피 유무를 각각 비교하였을 때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대상 환아들을 나이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각 군 사이 유의한 항체 양전율의 차이는 없었다. 초기 항체가가 음성, 1 : 40, 1 : 80이었던 환아들에서 항체 양전율은 각각 45.5%, 46.3%, 26.1%로 각 군 간 항체 양전율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아토피군과 비아토피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항체 양전율은 각각 40.0%, 48.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2003년 하반기의 M. pneumoniae 유행 시기에 항체 양전율은 43.5%로 관찰되었으며 나이, 초기 항체가, 아토피 유무에 따른 항체 양전율의 차이는 없었다. 위 결과로 미루어 보아 M. pneumoniae 유행 시기에 소아 연령의 상당수에서 M. pneumoniae 감염에 이환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M. pneumoniae의 혈청학적 역학 연구에 항체 양전율 조사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96-well microplate를 이용한 Trichophyton Rubrum의 항진균제 감수성검사 (Antimycotic Susceptibility Testing of Trichophyton Rubrum by Microculture Method)

  • 이무웅;김종철;최종수;김기홍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96-406
    • /
    • 1992
  • 저자들은 Granade와 Artis의 방법에 따라 96-well microplate와 24-well macroplate를 이 용하여 T. rubrum 9주를 대상으로 경구용 항진균제인 ketoconazole과 itraconazole에 대한 MIC를 측정하여 실제 임상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배양온도, 배양용기의 크기, 배지의 종류를 달리하여 MIC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점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96-well microplate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배양시 균농도에 따른 판독시기의 차이는 높은 균농도(흡광도 2.0, 1.0)에서는 4일만에, 낮은 균농도(흡광도 0.5, 0.25)에서는 6-8일만에 판독할 수 있었고, MIC는 높은 균농도에서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시 점차 차이가 줄어들었다. 2. $37^{\circ}C$$25^{\circ}C$에서 각각 배양시 배양온도에 따른 MIC의 차이는 96-well microplate를 사용하여 $37^{\circ}C$에서 배양시 keto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이하-$0.04{\mu}g/ml$,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이하-$0.04{\mu}g/ml$였으며 $25^{\circ}C$에서의 ketoconazole에 대한 MIC는 0.08-$5.68{\mu}g/ml$,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0.71{\mu}g/ml$$37^{\circ}C$에서의 MIC는 $25^{\circ}C$에서의 MIC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3. 24-well microplate와 96-well microplate에서 각각 배양시 배양용기의 크기에 따른 판독시기는 96-well microplate 액체배지에서는 4-6일로 24-well macroplate 액체배지에서의 8-12일에 비해 판독시기가 빨랐으나, MIC의 차이는 없었다. 4.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에서 배양시 배지종류에 따른 MIC의 차이는 액체배지를 함유한 24-well macroplate를 이용한 경우 keto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이하-$5.68{\mu}g/ml$,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 이하-$0.36{\mu}g/ml$였고 고체배지에서는 keto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이하-$5.68{\mu}g/ml$,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 이하-$5.68{\mu}g/ml$로 고체배지에서의 MIC가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96-well microplate를 사용하여, 흡광도 1.0의 균농도로 접종하여, $25^{\circ}C$에서 배양 후 5-6일째 육안으로 판독하는 것이 항진균제 감수성 검사를 빠르고 간편하게 실시 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한국형 자가평가 불안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

  • 이중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279-294
    • /
    • 1996
  • 불안의 존재나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한국형 자가평가 불안척도를 연구 개발하기 위하여 1994년 8월 부터 1996년 9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신과 및 국립 부곡 정신병원 정신과에 외래 및 입원한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불안장애 환자 집단은 남자 52명(53.6%), 여자 45명(46.4%)으로 총 97명(32.1%)이며, 이들 진단의 정확도를 위하여 환자의 선정 기준은 DSM-IV에 의해 불안장애 환자로 진단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 집단은 검사 당시 정상적인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피험자로 주로 고등학교 학생과 일반 대학생 그리고 지역 사회 일반 성인 및 그 가족을 중심으로 하여 남자 104명(50.7%), 여자 101명(49.3%)인 총 205명(67.9%)이였다. 이들에게 Zung의 자가평가 불안척도를 한국형으로 번안하여 조사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종합 검토하여 불충분한 자료를 제거하고 SPSS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SAS의 문항 분석을 시행하여 각 문항간의 상관관계, 문항 내적 상관도, 검사의 신뢰도 검증 및 요인분석 그리고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정상과 이상 집단을 판별 할 수 있는 판별력을 알아 보기위하여 판별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불안척도로 평가된 비교 집단의 평균 총점은 $32.36{\pm}6.35$이였다. 불안척도로 평가된 불안장애 환자 집단의 평균 총점은 $50.53{\pm}7.67$이였다. 비교 집단인 정상 집단은 전체 불안 점수의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1.0%(2명)이었고, 불안장애 집단의 전체 불안 점수의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25.9%(56명)이었다. 본 척도에 대한 검사-재검사의 신뢰도 검증에서 신뢰도 계수는 0.98(p < 0.001), 항목-전체간의 상관계수의 평균치는 0.60(0.16-0.76), 내적 일관성은 0.96(p < 0.001)이며,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요인분석에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불안이 여러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도 시사한다. 불안척도에서 비교 집단인 정상인 집단에서 항목별로 높게 평가된 상위 문항들은 발한, 초조, 우려, 불면 및 호흡곤란 등이었고, 하위 항목은 졸도감, 혼돈, 이상감각, 현기증 및 진전 등의 항목이였다. 불안장애 집단이 SAS에서 항목별로 높게 평가된 상위 문항들은 우려, 초조, 발한, 호흡곤란 및 불면 등이며, 하위 항목은 졸도감, 이상감각, 악몽, 현기증 및 진전 등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에서 서로 항목별 내용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형 자가평가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판별분석을 한 결과 두 집단을 정상인 집단과 불안장애 환자 집단으로 판별하는 전체 정확 판별율(93.7%)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앞으로 한국형 자가평가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장애가 있는 피험자를 객관적인 자료에 의해 선발 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사려된다.

  • PDF

인공신경회로망을 이용한 F-18-FDG 뇌 PET의 간질원인병소 자동해석 (Automatic Interpretation of Epileptogenic Zones in F-18-FDG Brain PET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재성;김석기;이명철;박광석;이동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5-468
    • /
    • 1998
  • 이 연구에서는 간질 환자의 F-18-FDG 뇌 PET 영상을 공간정규화 기법으로 표준지도 위에 정규화한 후 표준지도의 해부학적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뇌기능영상의 영역을 자동적으로 분할하고 각 해부학적 위치의 F-18-FDG 섭취율을 추출하였다. 뇌 각 영역의 F-18-FDG 섭취율을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을 입력으로 하는 인공신경회로망을 구성하고 학습시켜 핵의학 전문의가 판독한 결과와 얼마나 일치되는지를 분석하였다. 핵의학 전문의 2명이 좌측측두엽간질(112명), 우측측두엽간질(81명) 혹은 정상(64명)으로 판독한 F-18-FDG 뇌 PET 영상을 대상으로, 학습의 치우침을 줄이기 위해 각 질환 군에서 동일한 수(40명)를 선택하여 학습군을 구성하고 학습군을 제외한 정상 24명, 좌측측두엽간질 72명, 우측 측두엽간질 41명의 F-18-FDG PET을 시험군으로 하였다. 모든 영상을 SPM76을 이용하여 MNI 표준지도 위에 공간정규화하고 전체 뇌영역의 평균 계수를 100으로 정규화하였다. 영역 분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표준지도를 34개 영역으로 분할하고 모든 영상에서 각 뇌영역엔 대한 평균 계수를 추출하였다. 비선형 패턴분류에 효과적인 다층퍼셉트론 신경회로망 모델을 써서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으로 학습시켰다. 한 층의 은닉층을 부여하고 은닉층의 뉴런 수를 5개부터 차츰 늘려가며 최적의 개수를 선택하였다. 초기 가중치와 바이어스 값은 무작위 값을 갖게 하였다. 출력단은 세 개의 뉴런을 갖고 각 뉴런은 입력이 정상이면 [1 0 0], 좌측측두엽간질이면 [0 1 0], 우측측두엽간질이면 [0 1 0]의 값을 탐 값으로 하였다. 뉴런의 활성화 함수는 시그모이드 함수를 사용하였다. 입력단은 17개의 뉴런으로 구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뇌영역의 계수 타이(오른쪽-왼쪽)를 입력으로 하였다 회로망의 학습 횟수를 10,000번으로 제한하여 오타의 허용치를 1로 설정하고 학습 횟수가 넘거나 오차가 허용치보다 작을 때 학습을 중단하게 하였다. 모멘텀과 적응형 학습율을 사용하여 신경회로망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학습 속도를 빠르게 하였다. 모든 PET 영상에서 성공적으로 공간정규화 파라메터를 추출하여 표준지도에 정규화할 수 있었다 다층퍼셉트론 모델을 기반으로 한 인공신경회로망으로 27개의 은닉층 뉴런을 사용했을 때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습군에 대해서 1508번의 반복 학습을 시킨 결과 오차율 0%인 신경 회로망을 얻었으며 시험군에 대해 적용한 결과 전문가의 판독결과와 80.3%의 일치율을 보였다. 은닉층의 뉴런 수가 10개나 30개인 경우에도 학습군에 대해 오타율 0%인 신경회로망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의 시험군에 대한 일치율 역시 75∼80%의 값을 보였다.

  • PDF

한국인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Copy 수의 정량적 분석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in the Patients of Korean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 박지은;장민희;조성원;김유신;원형재;조정현;백광현;이숙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4호
    • /
    • pp.245-251
    • /
    • 2006
  • 목 적: 제2형 당뇨의 위험도가 높은 PCOS 환자와 미토콘드리아와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mitochondria DNA copy 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ESHRE의 진단 기준을 만족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 여성 28명과 연령이 비슷하며 규칙적인 생리를 하는 여성 28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genomic DNA는 혈액에서 추출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의 ribosomal RNA 부위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증폭한 후 클로닝 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한 후, 이를 토대로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의 미토콘드리아 initial quantity를 계산하였다. 결 과: Real-time PCR 결과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의 mtDNA copy 수는 $2,167,887.50{\pm}1,252,459.28$, 정상 대조군은 $1,726,410{\pm}407,858.519$으로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8).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의 혈액에서 mtDNA copy 수를 조사한 결과, 정상 대조군과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 사이에서 mtDNA copy 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병인에는 상당히 복합적인 요소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그 중 인종적, 지역적 그리고 유전적인 변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앞으로 여러 인종에서 더 많은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여야 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돼지정자의 수정능력과 Reactive Oxygen Species의 관계분석 I. Xanthine과 Xanthine Oxidase에 의한 정자의 전배양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permatozoa Abil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in Porcine: I. Sperm Preincubation by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 박춘근;정희태;김종흥;이상찬;양부근;김정익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3호
    • /
    • pp.315-322
    • /
    • 1998
  • 본 연구는 xanthine과 xanthine ox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전배양된 돼지동결정액의 수정능력에 있어서 catalase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외수정을 위한 기본 배양액내에서 0 또는 30분간 전배양한 정자는 catalase를 첨가 (40 및 15%)한 경우 보다는 무첨가 (66 및 38%)시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침입율을 나타냈지만 (p<0.05), 배양액내에 xanthine을 첨가해 정자를 0, 30 및 60분간 전배양했을 때에는 catalase 무첨가 (33, 41 및 19%) 보다는 첨가시 (68, 70 및 49%)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침입율이 인정되었다 (p<0.05). 그러나 xanthine oxidase를 첨가하여 정자의 전배양을 행하지 않은 경우는 catalase의 첨가 (13%) 보다는 무첨가 (51%)시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침입율을 나타냈지만 (p<0.01), 전배양(30 및 60분)후에는 catalase의 존재유무와 정자전배양시간에 관계없이 매우 낮은 정자침입율 $(10\sim21%)$을 나타냈다. xanthine과 xanthine oxidase를 동시에 첨가하여 0, 30 및 60분간 정자를 전배양한 경우 catalase의 무첨가 (14, 4 및 8%)보다 첨가 (75, 55 및 52%)시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침입율을 나타냈다 (p<0.001). 한편, 다정자침입율은 xanthine, xanthine+xanthine oxidase의 첨가시 정자전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atalase의 첨가보다는 무첨가시 낮은 다정자침입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xanthine과 xanthine oxidase를 동시에 첨가시 catalase의 존재는 정자의 전배양후에도 다정자침입을 억제하면서 수정능력의 유지를 위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자가 슬개건과 네 겹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비교 (Comparis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utogenous Patellar Tendon versus Quadruple Hamstring Tendon)

  • 김석중;권오수;최동원;송호욱;강현택;인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5
    • /
    • 2004
  • 목적: 자가 슬개건과 네 겹의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최소 2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슬개건 군이 35.9${\pm}$3.8개월, 슬괵건 군이 27.0${\pm}$2.4개월이었다. 재건술 시 사용한 이식건은 자가 슬개건 군이 20예, 자가 네 겹 슬괵건 군이 21예였다. 최종 추시시 결과 평가는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평가 기준, KT-2000 관절계, 방사선학적 검사와 압통, 감각 이상 등 이식건 공여부 병변을 이용하여 판정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IKDC 평가 기준상 B(거의 정상) 이상의 양호한 결과를 보인 비율이 자가 슬개건 군에서 80%, 네 겹 슬괵건 군에서 76.2%로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KT-2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상 자가 슬개건 군에서 평균 1.50${\pm}$1.31 mm, 네 겹 슬괵건 군에서 1.89${\pm}$1.05 mm로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 사진상 네 겹 슬괵건 군에서 슬개건 군보다 현저한 터널 확장 소견을 보였다. 이식건 공여부 평가상 슬개건 군에서 30%, 네 겹 슬괵건 군에서 9.5%의 합병증 소견을 보였다 ·결론: 횡고정 핀 및 Intrafix 고정 방법을 이용한 자가 네 겹 슬괵건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임상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공여부 합병증은 적어 전방십자 인대 재건술의 좋은 술식의 하나로 사료된다.

  • PDF

학교집단소변검사에서 발견된 단독 현미경적 혈뇨의 추적 관찰 (Follow-up of children with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detected in a mass school urine screening test)

  • 염미선;윤회수;이주훈;한혜원;박영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82-86
    • /
    • 2006
  • 목 적: 1990년대 초반부터 시행된 학교집단소변검사에서는 단독혈뇨가 가장 많이 발견되고 있으나, 이러한 환아들의 장기적 예후나 추가적검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이들 환아의 추적 관찰결과를 통해 예후와 필요한 추적검사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0년 8월부터 2004년 2월까지 학교신체검사에서 무증상적 혈뇨가 발견되어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 의뢰된 환아 중 단백뇨(>250 mg/일)나 다른 신염의 증거, 선천성신기형, 신기능의 저하(크레아티닌청소율 <85 mL/분/$1.73m^2$)가 없는 단독 혈뇨 환아들을 대상으로 경과를 관찰하였다. 추적 관찰은 6개월마다 요검사와 혈청 크레아티닌, 단백, 알부민을 측정하였고 요검사 상 단백뇨가 나온 환아에서 24시간 요단백을 측정하여 500mg/일 이상인 경우 신생검을 시행하였다. 결 과: 총 331명의 경과를 관찰하였으며 남자는 157명, 여자는 174명이었다. 평균 나이는 $9.9{\pm}2.3$세(7-15세)였고, 평균 추적 관찰기간은 $2.2{\pm}1.6$년(1-10년)이었다. 경과관찰 중 혈뇨가 소실된 환아는 75명(22.7%)으로 평균 소실 기간은 $2.6{\pm}1.7$년(1-8년)이었으며, 나머지 256명(77.3%)에서는 혈뇨가 지속되었고 그 중 8명(2.4%)에서 유의한 단백뇨 증가를 보였다. 이들 8명 중 4명은 경과관찰 중 단백뇨가 다시 감소하여 추가적인 검사 없이 경과관찰 중이며, 나머지 4명에서는 단백뇨가 지속되어 신생검을 시행하였다. 이중 2명에서는 특이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고, 나머지 2명은 경도의 IgA신병증으로 진단되었다. 경과관찰 중 신기능 저하나 고혈압을 보인 환아는 없었다. 결 론: 학교집단소변검사에서 발견된 단독 혈뇨 환아의 임상 경과는 양호하므로 신생검 등의 침습적검사는 불필요하며 정기적인 요검사와 혈액검사로 환아의 경과를 관찰하여도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