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utogenous Patellar Tendon versus Quadruple Hamstring Tendon

자가 슬개건과 네 겹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비교

  • Kim, Seok-J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ijongbu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won, Oh-S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ijongbu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i, Dong-W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ijongbu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ng, Ho-Wo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ijongbu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Hyun-Tae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ijongbu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In, Y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ijongbu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석중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권오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최동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송호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강현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인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s of two different autografts used to reconstruct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bone-patellar tendon-bone and quadruple hamstring tendon. Materials and Methods: Forty one cases (20 bone-patellar tendon-bone cases and 21 quadruple hamstring tendon cases) were followed up more than 2 years postoperatively. Patellar tendons were fixed with interference screws and hamstring tendons were fixed with cross pins and intrafix sheaths and screws. Follow-up results were evaluated with KT-2000 arthrometer,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evaluation form and follow up X-ray Donor site morbidity was analysed. Results: Final IKDC) scores more than B grade and side to side differences of manual maximum test using KT-2000 arthrometer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s(p>) between the two groups. Plain radiographs of hamstring group showed marked widening of the femoral and tibial tunnels at postoperative 2 years. Patellar tendon group showed 30% rate of anterior knee complications.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using autogenous hamstring graft with new fixation method showed comparable clinical results to using autogenous patellar tendon graft with fewer anterior knee symptoms.

목적: 자가 슬개건과 네 겹의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최소 2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슬개건 군이 35.9${\pm}$3.8개월, 슬괵건 군이 27.0${\pm}$2.4개월이었다. 재건술 시 사용한 이식건은 자가 슬개건 군이 20예, 자가 네 겹 슬괵건 군이 21예였다. 최종 추시시 결과 평가는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평가 기준, KT-2000 관절계, 방사선학적 검사와 압통, 감각 이상 등 이식건 공여부 병변을 이용하여 판정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IKDC 평가 기준상 B(거의 정상) 이상의 양호한 결과를 보인 비율이 자가 슬개건 군에서 80%, 네 겹 슬괵건 군에서 76.2%로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KT-2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상 자가 슬개건 군에서 평균 1.50${\pm}$1.31 mm, 네 겹 슬괵건 군에서 1.89${\pm}$1.05 mm로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 사진상 네 겹 슬괵건 군에서 슬개건 군보다 현저한 터널 확장 소견을 보였다. 이식건 공여부 평가상 슬개건 군에서 30%, 네 겹 슬괵건 군에서 9.5%의 합병증 소견을 보였다 ·결론: 횡고정 핀 및 Intrafix 고정 방법을 이용한 자가 네 겹 슬괵건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임상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공여부 합병증은 적어 전방십자 인대 재건술의 좋은 술식의 하나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