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x index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한라산 동.서사면 좀꽝꽝나무 아개체군 자생지의 환경 및 생태적 특성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ex crenata var. microphylla Max. Subpopulations Habitats in the East-West Slopes in Mt. Halla National Park)

  • 이동곤;김용식;신현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62-572
    • /
    • 2011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의 동 서사면에 자생하는 좀꽝꽝나무 아개체군의 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요인,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의 동 서사면 해발고 500m~1600m 내에 설정한 56개 조사지를 대상으로 TWINSPAN 분석결과 주목-산개벚지나무군집, 당단풍나무군집, 개서어나무-굴거리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곰솔군집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좀꽝꽝나무 아개체군의 우점치가 높은 군집은 개서어나무-굴거리나 무군집으로 해발고 600m~1200m 지점에 포함되며, 교목상층의 우점종은 개서어나무(I.P.: 29.82%)이고 아교목층의 우점종은 굴거리나무(I.P.: 26.76%), 관목층은 좀꽝꽝나무(I.P.: 33.08%)이었다. 이곳의 토양은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및 Ca, Mg의 양료가 많은 곳이다. 좀꽝꽝나무 아개체군의 우점치가 높은 곳은 동쪽사면 해발고 600m~800m, 서쪽사면 해발고 800m~1,000m 부근으로 이곳은 냉온삼림대 남부에 해당되는 곳으로 개서어나무의 우점치가 높고 종다양도지수도 0.7427로 낮은 편으로 개서어나무의 극상림을 형성한 안정된 상태로 보인다.

경주국립공원 서어나무군락 식생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 홍석환;조재우;김지석;이수동;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34-940
    • /
    • 2012
  •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무장사지계곡의 서어나무 출현지역을 대상으로 서어나무군락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천이 극상림으로서 군락의 유지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서어나무가 출현하는 지역에 한해서 서어나무의 우점도를 고려하여 $10m{\times}10m(100m^2)$ 조사구 16개소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5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는데, 아우점종의 종구성에 다소 차이가 있는 서어나무군락이 3개 유형이었으며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서어나무군락이 각각 1개 유형이었다. 서어나무군락은 호습성 낙엽활엽수가 함께 나타나는 군락과 졸참나무가 함께 나타나는 군락, 여타의 낙엽활엽수가 함께 나타나는 군락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종다양도지수는 0.4899~0.9490으로 나타났다. 군락별로 살펴보면 서어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은 서어나무군락으로의 지속이 예측되었으나, 서어나무와 졸참나무가 경쟁하고 있는 군락의 경우에는 서어나무의 세력이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축소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온대중부지방에서 서어나무림을 극상림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조사자료의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序列法에 依한 全北 長安山 森林群落 分析 (Ordination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ies of Mt. Changan , Chonbuk)

  • Kim, Chang-Hwan;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231-241
    • /
    • 1991
  • The analyses of correlation, enviromental gradient, continuum and polar ordination methods were used for studing on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vegetation and their habitats in Mt. changan, chagsu-gun, korea. influencing correlation of moisture index to the main 41species from the study area they were composed of several groups by leading species of quercus mongoulica, that of carpinus tschonoskii and that of fraxinus mandshurica.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ree communities in different habitats by environmental gradient i.e. each community of f. mandshurica, mangnolia sieboldii and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have occurred in moist place, that of c. teschonoskii and q. serrata, in mesic and that of q. mongolica, q.variabil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in dry. in addition an occupied distribution area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continuum index e.g. cornus controversa,betula costata,q. v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over altitudinal 800m were distributed to a habitat were forming climax by q. mongolica, and/or c. controversa, f. mandshurica, q. serrata and c. tschonoskii under altitudinal 800m were done, by g. tschonoskii. while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rea was classified into 6 communities such as q. mongolic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q. serrata community, g. tschonoskii community,c. controversa community and f. mandshurica community by means of polar ordination analysis and these have come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 PDF

산림토양내 carboxymethylcellulase의 분포와 미생물의 생장 및 활성과의 상관에 대하여 (Distribution of abiontic carboxymethylcellulase in relation to microbial growth and activity in forest soils)

  • 이영하;하영칠;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7-156
    • /
    • 1985
  • Seasonal and vertical variations of abiontic soil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 activities were assessed every other month for a year in two contrasting forest soils and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il CMCase activity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In climax deciduous soil, variations in CMCase activities caused by differences in sampling time were greater than those caused by differences in soil depth. On the other hand, counter phenomenon was obserned in coniferous soil at the stage of developmen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soil CMC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0.01) correlated with microbial respiration rates ($O_2$ uptake) and all of the microbial population size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determination of abiontic soil CMCase activity is an useful additional index for evaluating the overall microbial growth and activity in soils.

  • PDF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 산림군집구조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Yunhachon Valley Chirisan national Park)

  • 송광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2-391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해서 48개의 조사구(1개 조사구 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하였다 48개의 조사구는 DCA 분석에 의하여 2개의 군집(들메나무군집 시날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층위별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들메나무와 신갈나무는 현상태를 계속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들메나무군집은 계곡부 토지극상림을 이루고 있었다 연하천계곡의 Shannon 종다양도지수는 들메나무군집은 1.0810 신갈나무군집은 0.2468이었다 들메나무는 함박꽃나무 물참대 참회나무 바위 마발도리 개회나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갈나무 생강나무, 조릿대, 노린재 , 당단풍과 부의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칠갑산의 식생 (Vegetation of Mt. Chil-gab)

  • Koh, Jae Kee;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33-42
    • /
    • 1987
  •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il-gab was studied from 1983 to 1984. By Z-M method, the actual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and 1 plantation; Quercus variabilis, Q. variabilis-Styrax obassia, Q variabilis-Q. dentata, Q. varisbilid-Q. mongolica, Q. acutissima-Q. variabilis, Zelkova serrata-Styrax japonica, Capinus laxiflora,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Larix leptolepts plantation (on the mountain foot) community. The plant communities of Q. variabilis and S. japonica as edaphic climax, in terms of the isopleth line of warmth index. Based on the data of vegetation survey and environmental analysis, the actual vegetation ma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map were perpared with scale of 1/25, 000.

  • PDF

강원도 신갈나무 군락의 우점도 다양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Dominance-Diversity on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 장규관;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0-165
    • /
    • 1997
  • 본 연구는 강원도 오대산, 점봉산, 중왕산 지역의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우점도 다양성 지수를 조사하였다. 신갈나무 군락은 종다양도 지수가 0.4~1.2, 종풍부도 지수가 2~11, 균재도 지수가 0.6~0.9로 어느 한 값에 치우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된 상태의 것으로 판단된다. 종서열 중요치 곡선은 모든 군락에서 대수정규분포에 접근하고 있으며, 비교적 기울기가 완만하였다. 그리고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의 기울기가 비교적 급하게 나타나 균등성이 낮았으며,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락의 종서열 중요치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나타나 균등성이 높고 군락의 안정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munity Ecological Revaluation of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Kim, Ji Hong;Kang, Sung Kee;Lim, Seon 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74-81
    • /
    • 2016
  • Classified into sub-tree of the growth-form,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hardly reach the uppermost canopy with limited height growth potentialit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However, the two species usually dominate lower stories of the forest,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overall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orest. Based on the vegetation data of 106 $20m{\times}20m$ sample plots in Mt. Jumbong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ecological constitution by several quantitative analysis so a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s of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were absent or few in overstory, but emerged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midstory and understory, providing adequate proof of the ecological importance. The comparison of indices of succession between presented and predicted values in midstory did not make much difference, suggesting that the species composition would not change much and come close to steady state in midstory and understory. The pair combination of species association noted that A. pseudosieboldianum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C. cordata, Quercus mongolica, and Tilia amurensis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A. pseudosieboldianum, A. pictum subsp. mono and Fraxinus mandshurica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F. rhynchophylla. Being compared with other major canopy tree species in the study forest, the target species of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had strong regeneration strategies, partially characterized by large number of saplings and pole sized trees and high ratio of live crown, which indicated high shade tolerance to survive in the limited amount of light under the canopy. Even though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do not reach and occupy the canopy layer mainly due to the inherent growth form, they would have highest competitive potentiality to prosper and dominate in the midstory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천연림의 수종 대치 작용 모델에 의한 산림천이 경향 분석 (The Analysis of Forest Successional Trend by Species Replacement Model in the Natural Forest)

  • 김지홍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1-10
    • /
    • 2003
  • 본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에서 산림 천이 경향과 잠재 산림 식생을 검토 분석한 것이다. 106개의 20m×20m 정방형 표본구를 설치하여 중ㆍ상층목의 아래에서 생육하는 하ㆍ중층목에 의해서 세대 교체되는 과정을 바탕으로 천이 경향을 평가하였다. 조사 대상 산림의 천이 경향분석은 Markov chain의 수학적 이론에서 변형된 추이 행렬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조사 산림은 천이의 중간 단계에 있으며, 수종 구성상 극성상림에 도달하려면 50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42.6%와 8.1%의 높은 상대밀도를 유지하고 있는 신갈나무와 음나무는 극성상의 안정상태가 되면 각각 13.3%와 0.5% 이하로 수종 구성비율이 감소하리라 예상된다. 반면에 전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당단풍의 구성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래 수종 구성 비율의 증감은 내음성 지수를 바탕으로 연구 모델을 검토한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추이행렬 모델의 실제 상황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 모델의 가정과 민감도 역시 고찰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결과가 지적하는 바에 의하면 조사 산림의 현재 생태적 동태는 인간에 의한 방해와 교란이 있은 후 천이가 진행 중임을 반영한다.

  • PDF

웹 기반 산불위험지수 표출시스템에서의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설계 사례 (Case Study of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Design for Web-based Forest Fire Hazard Index Presentation System)

  • 조윤원;조명희;안승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8-68
    • /
    • 2002
  • 최근 재해방재 사업에 대한 인식이 고조화 되면서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일반 국민들에게 국가에서 시행하는 재해방재 서비스를 웹이라는 공간을 통해 제공함으로서 국민들의 재해방지에 대한 관심을 부각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는 웹 환경하에서 대규모의 국가적 재해로 연결될 수 있는 산불의 당일 발생위험지수를 시각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산불방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인식을 불러 일으켜 산불피해를 조금이나마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산불위험지수 예보시스템은 우리나라의 당일 산불위험지수를 지도상에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위험지수산출에 관계되는 자료들을 텍스트 형식으로 서비스하도록 한다.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는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이 변해 가는 현재의 추세를 반영하기 위하여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이용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 개발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향후 사용자 요구 사항변경이나 서비스 영역의 확대 시 시스템 유지보수 측면에서 탄력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아울러 본 시스템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웹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도 컴포넌트 재사용을 통하여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