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ic environment change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8초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승정원일기'를 토대로- (Weather and Climatic Environment of Seoul Area in South Korea during 1623~1800, Reconstructed from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承政院日記)')

  • 이준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6-8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매일의 날씨와 기상현상을 토대로 기상기후 정보를 자료화하고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기상 및 천변재이에 관한 정보를 추가 조사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1623~1800년 기간 서울지역의 기상과 기후 환경을 파악하였다. 1500~1760년은 소빙기에 해당하여 조사기간 서울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여름이 서늘하였으며 대체로 기상현상의 변화가 심하고 한랭 건조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날씨와 기상현상 및 기후변화가 1650년, 1710년, 1770년을 전후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비와 눈의 일수는 1640년대에 큰 변화를 나타내기 시작해 1650년대~1710년대에 크게 감소하였고, 171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계절적으로 여름의 비 일수는 1710년대 말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눈의 일수는 1770년대 중반 이후 크게 감소하였다. 우박 일수는 1720년대 말에 크게 증가해 176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흐린 날의 일수는 1710년대를 전후로 여름에는 크게 감소하나 겨울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안개일수는 1770년경 이후에 현대의 평년값보다 적은 일수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들 시기는 상대적으로 강화된 한랭화와 건조화의 경향을 따르며, 역사기후학적 비교자료 및 지구과학 생물학적 자료의 연구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한다.

  • PDF

기후인자가 임목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mate Factors on the Tree Ring Growth)

  • 윤미해;이우균;김문일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55-267
    • /
    • 2013
  •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 조안면 시우리 주변 임목의 연륜 생장과 주요 기후인자인 월별 온도와 강수량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측정된 연륜생장량은 표준화를 거쳐 크로스데이팅을 실시한 후 기후인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기후인자는 전년도 8월부터 당해 연도 9월까지의 월별 평균 온도와 최저 온도, 최고 온도 그리고 강수량을 이용하였다. 모든 임목들이 평균 온도와 최저 온도, 최고 온도의 상관관계에서 전년도 9, 10월과 부의 상관이 나타났으며, 신갈나무의 경우 전년도 12월과 당해 연도 1, 2월에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소나무는 당해 연도 8, 9월의 최고 온도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부의 상관은 해당 월의 기후인자가 임목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고온에 따른 토양수분의 감소와 이로 인한 수분스트레스가 임목의 생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당해 연도 3월의 온도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온도상승이 생장이 시작되는 시기를 앞당겨 주어 생장기간을 늘려주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대부분의 임목들이 추재 생장이 시작되는 시기인 5~9월과 전년도 10~12월의 강수량과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강수로 인한 원활한 수분공급이 임목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위험스런 지구 온난화 경향 무엇이 원인인가? (Rapidity of Recent Global Warming : What Factors are Important\ulcorner)

  • 김문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0
    • /
    • 1993
  • A brief description on the greenhouse gases, the greenhoue effect, sea level changes, forcing of climate, the history of Earth's changing climate based on the IPCC REPORT and the records of the recent variation of the climate in the Republic of Kore is presented here for help enhancing awareness of the issues. The climate of the Earth has the potential to be changed on all timescales by the fluctuations of the concentrations of radioactively active greenhouse gases, solar radiation, aerosols and albedo. However, the rate of the recent global warming seems to be larger and rapid than any have occurred thorughout recorded history enough to draw the world-wide attention and worry concerned with the theme of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ere are still uncertainties in the predictions relating to the timing, magnitude and the pattern of the climatic change due to the current incomplete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the complex processes. Nonetheless, the scientific results avaliable is sufficient to allow for decisive precautionary measures to be taken.

  • PDF

Variations in Root and Tuber Crops Production due to Climate Change

  • Hwang, Sung-Eun;Chon, Chun-Hwang;Park, Geon-You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35-140
    • /
    • 2015
  • Climate change which occuring the recent abrupt fluctuations in meteorological and climatological elements is bound, brings about more significant impacts and changes in human lif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due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tends to have been decreased the food production, which is expected to make crop resources more and more important. Accordingly, agricultural meteorology should also become more important.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root and tuber crops (potatoes and sweet potatoes), which are emergency crops, and meteorological elements were analyzed, and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s on the production of such crops were examined. This study concludes that agriculture and food resources are important, and suggests that we should prepare for changes in crops, the weaponization of food, and the lack of water resources in the future. The meteorological element and crops element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weet potatoes, which are negatively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need breeding improvement and cultivation method development, and potatoes, which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require preparations for climate changes that exceed the climatic limit. The variations of agricultural production contributed to changes in crop produc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meteorology and the food crop industry should be fully recognized to prepare for climate change.

철도차량 기후환경시험을 위한 국제 규격(UIC, EN, IEC) 및 국내 규격(시험방법) 분석 및 고찰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International(UIC, EN, IEC) and Domestic Standards(Test Methods) for Climatic Wind Tunnel Test of Rolling Stock)

  • 장용준;정종덕;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82-789
    • /
    • 2020
  • 국내에서 제작되는 철도차량의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하여 다양한 기후환경에서도 최고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철도차량의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혹독한 기후환경시험 모사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국제·국내 규격을 조사 및 비교 분석하였으며, 국내 규격의 향상 방안을 고찰하였다. 기후환경시험 풍동내에서 풍속 및 온도 규정은 UIC, EN 및 IEC 규격에 규정되어 있으며, EN 50125-1에서 가장 큰 풍속인 180km/h까지 시험하도록 되어있다. 극저온 시험은 UIC 및 EN 규격에서 가장 낮은 온도 -45℃를 제시하고 있으며, IEC 62498-1에서 55℃까지의 고온시험을 규정하고 있다. 태양광 복사 시험은 UIC, EN, IEC 규격에서 최대 1200W/m2 복사 강도까지 규정되어 있다. 강우시험은 IEC, EN 및 KS R 9145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살수량, 살수 압력 및 살수방법 등에서 차이점이 있다. 강설시험의 경우는 국내외적으로 상세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여압 시험은 KRTS-VE-Part31 국내 기준에서 규정되어 있다. 고속 철도차량 기밀시험은 UIC 660 및 779-11에서 객실내 압력 변화율 규정이 있으며 차량 기밀도가 규정되어 있다. 국내 규격에서는 풍속에 대한 규정은 매우 미비하며, 태양광 복사 시험 및 강설 시험 규격은 존재하지 않는다. 철저한 기후환경 시험을 위하여 국내 철도 완성차 관련 기술기준 및 시험 규격을 국제수준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 형태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잠재성 평가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Potentiality of Renewable Energy Based Urban Forms)

  • 정아름;정민희;이언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22-32
    • /
    • 2010
  • The world is facing environmental problem described as climate change and exhaustion of fossil fuel. In order to solve theses problems, importance of renewable energy is extremely growing. For stable energy supply, it is need to apply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s in urban-scale, because some renewable energy system' outputs are greatly influenced by climatic condition. Especially, solar irradiation and wind velocity are influenced by urban geometric environment as well as climatic cond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newable energy potential according as urban form.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solar energy and wind energy in urban-scale and classify urban type according as characteristics of urban f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renewable energy system application guidelines for urban and energy planning.

기후인자가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Climate Factors on Tree-Ring Growth of Larix leptolepis Distributed in Korea)

  • 임종환;성주한;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22-131
    • /
    • 2016
  • 본 연구는 연륜기후학적 방법에 의해 기후인자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일본잎갈나무의 연도별 생장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자료에서 수집된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 자료를 정리하였다. 한편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변수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1950년부터 2010년까지 정리된 월평균 기온과 월강수량 자료를 시군 단위로 정리하였다. 기후조건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일본잎갈나무의 시군별 연륜생장 자료를 군집분석한 결과 6 개의 기후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연륜생장 자료에 대한 크로스데이팅과 표준화 절차를 통해 각 군집별 지표연대기를 제작하였다. 각 군집별 지표연대기의 적합성은 연륜생장의 평균민감도, 자기상관계수, 신호 대 잡음비, 신호강도와 같은 기초통계량 분석을 통해 점검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군집별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변수 간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반응함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일본잎갈나무의 지역별 생장특성의 추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패턴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의 기후적 요인에 따른 한국 전통 특수의상연구 - 조선시대 기층민 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in Accordance with Climatic Factors of the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 홍보라;간호섭
    • 복식
    • /
    • 제66권3호
    • /
    • pp.107-120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functions in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in accordance with the climatic factor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udy focused on clothes worn by common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Climate change has been a major global issue in recent times, and it has been a hot topic in social, cultural, scientific, economic, and industrial communitie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and finding ways to cope with unusual temperatures. This thesis studies the development of special costumes in preparation for unusual climates, and requirements of the costume in accordance with the climatic factor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Its biggest significance lies in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research data on special costume studies, and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which have been fairly insufficient up to this point. After the Little Ice Age, the Joseon Dynasty period faced poor external environment due to unusual temperatures. The results of studying the costumes of the commoners are as follows: The climate of the Korean peninsula display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eason, so the form, material, and appearance of the seasonal clothing items showed clear differences, and the difference in the crops cultivated according to the climate led to difference in material and material preference shown in the costumes. This meant that costumes differed based on region. In addition, difference in social hierarchy, regulations on costume according to class, and farming oriented social background during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slowed the development of costumes of commoners, but appear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pecial costumes. We anticipate more succeeding studies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and special costumes in the future. We hope more costumes that can wisely respond to the approaching changes in temperature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designed via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Scenario Generator를 활용한 사회경제경로 시나리오 반영 미래 토지피복 추정 (Estimation of Future Land Cover Considering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using Scenario Generators)

  • 송철호;유소민;김문일;임철희;김지원;김세진;김강선;이우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3-234
    • /
    • 2018
  • Estimation of future land cover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is an important factor in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policy. This study estimated future land cover considering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using Scenario Generators. Based on the storylines of SSP1-3, future population and estimated urban area were adopted for the transition matrix, which contains land cover change trends of each land cover class. In addition, limits of land cover change and proximity were applied as spatial data. According to the estimated land cover maps from SSP1-3 in 2030, 2050, and 2100, respectively, urban areas near a road were expanded, but agricultural areas and forests were gradually decreased. More drastic urban expansion was seen in SSP3 compared to SSP1 and SSP2. These trends are similar with previous research with regard to storyline, but the spatial results were different. Future land cover can be easily adjusted based on this approach, if econometric forecasts for each land cover class added. However, this requires determination of econometric forecasts for each land cover class.

Spatial Changes in Work Capacity for Occupations Vulnerable to Heat Stress: Potential Regional Impacts From Global Climate Change

  • Kim, Donghyun;Lee, Junbeo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20
  • Background: A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intensifies, exposure to heat stress will grow, leading to a loss of work capacity for vulnerable occupations and affecting individual labor decisions. This study estimates the future work capacity under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8.5 scenario and discusses its regional impacts on the occupational structure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e data utilized for this study constitute the local wet bulb globe temperature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from the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f Korea. Using these data, we classify the occupations vulnerable to heat stress and estimate future changes in work capacity at the local scale,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structure. We then identify the spatial cluster of diminishing work capacity using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Results: Our findings indicate that 52 occupations are at risk of heat stress, including machine operators and elementary laborers working in the construction, welding, metal, and mining industries. Moreover, spatial clusters with diminished work capacity appear in southwest Korea. Conclusion: Although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he work capacity associated with heat stress in terms of climatic impact, this study quantifies the local impacts due to the global risk of climate change.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mainstreaming an adaptation policy related to work capacity in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