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y slope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4초

부산시 남구 문현동 산사태 지역의 지질 및 점토광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eology and Clay Minerals of the Landslide Area in the Munhyun-dong, Nam-gu, Pusan)

  • 황진연;김선경;김춘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13-125
    • /
    • 1999
  • 부산시 남구 문현동 산사태 지역에 산출하는 점토광물에 대해 X-선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및 화학분석 등의 조사를 행하여 산출상태 및 광물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지역에는 할로이사이트, 버미큘라이트, 운모/버미큘라이트 혼합층광물, 버미큘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 카오리나이트, 일라이트 등의 여러 점토광물이 다량 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상태로 보아 이들 점토광물은 기반암인 안산암의 풍화변질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산암의 초기 풍화단계에서 할로이사이트가 형성되고, 그 후의 중간단계에서 버미큘라이트, 운모/버미큘라이트 혼합층광물 및 버미큘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이 형성되었으며, 최종의 풍화단계에서 카오리나이트가 주로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산사태 발생지역의 중심부와 미끄러진 바닥면의 점토에서 할로이사이트, 버미큘라이트, 버미큘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 등의 팽윤성 점토광물이 다량 산출되었다. 따라서 이들 점토광물은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면의 전단저항을 급격히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산사태 발생의 중요한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질 및 구성광물 등의 검토 결과, 이 지역의 산사태는 급한 경사면, 집중호우, 절리의 발달, 암석의 변질작용, 그리고 팽윤성 점토광물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발생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산사태의 조사 및 방지대책에 있어서 지질과 함께 점토광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질구조 영향에 의한 암반비탈면 붕괴 사례 연구 (Case Study on Rock Slope Failures Caused by Geologic Structures)

  • 박부성;조현;박동인;김준호;최재호
    • 지질공학
    • /
    • 제27권4호
    • /
    • pp.417-42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암반비탈면을 대상으로 붕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질구조에 의한 붕괴현황, 원인분석 및 대책에 관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다양한 지질구조에 의한 암반비탈면 붕괴 사례 중 단층점토가 협재된 단층면의 교차에 의한 붕괴, 엽리 및 암맥관입접촉부 파쇄대에 의한 붕괴 및 심부 암종경계면(점토대)에 의한 붕괴 등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정밀지표지질조사, 물리탐사 및 시추조사 등을 통한 붕괴원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 비탈면의 지질구조적 특성, 붕괴유형 및 지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비탈면 활동을 방지하고 비탈면의 항구적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개착과정에서 인장균열이 발생된 동해고속도로 건설현장 암반사면의 거동 해석 (An Analysis of the Behavior of Rock Slope with Excavation-Induced Tension Cracks Located in DongHae Highway Construction Site)

  • 조태진;이창영;고기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8호
    • /
    • pp.15-27
    • /
    • 2004
  • 개착과정에서 대규모 인장균열이 발생한 암반사면의 파괴거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사면지역 암반의 구조적 특성분석을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으며, DOM 시추작업을 수행하여 불연속면의 방향성과 시추공 내의 출현위치를 측정하였다. 회수된 코어를 관찰하여 개착면 및 인근 자연사면의 파괴 거동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예상 활동면의 존재성을 확인하였으며, 협재된 팽윤성 점토광물의 조성을 XRD 회절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사면 안정성 분석은 사면지역에 표출되는 절리들의 trace 분포 및 방향성을 고려하여 수행하였으며, 사면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절리들의 시추공 내에서의 위치 및 방향성에 의거하여 심도별 지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추공 별 예상 파괴 활동면의 3차원 위치 좌표에 의거하여 구역별 거동 벡터를 산정하고 예상되는 전체적 인 사면거동 양상을 고찰하였다.

쓰레기의 공학적 특성과 토목섬유재간의 마찰 특성에 관한 연구 (Geotechnical Characterization of Waste and Frictional Properties of Geosynthetics Interface)

  • 임학수;장연수;최정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21-628
    • /
    • 2003
  • To prevent the percolation of leachate through the bottom of waste landfills, the liner system of various layers, such as compacted clay, geomembrane, geonet, geotextiles, and geocomposite is designed. Since the friction angle between a geomembrane and other geosynthetics is usually lower than that of the soil alone, the interfaces between soil and geosynthetic or geosynthetic-geosynthetic may become a possible plane of weakness, which leads to potential instability of the system under load of waste at side slopes. In this study, large triaxial tests are carried out with samples of remoulded wastes and direct shear interface friction tests a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frictional properties of geosynthetic-geosynthetic interfaces, which are required for analyzing the safety of side-slope liner systems.

  • PDF

Hydromechanical behavior of a natural swelling soil of Boumagueur region (east of Algeria)

  • Mebarki, Mehdi;Kareche, Toufik;Derfouf, Feth-Ellah Mounir;Taibi, Said;Abou-bekr, Nabil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1호
    • /
    • pp.69-79
    • /
    • 2019
  • This work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hydromechanical behavior of a natural swelling soil taken from Boumagueur region east of Algeria. Several pathological cases due to the soil shrinkage / swelling phenomenon were detected in this area. In a first part, the hydric behavior on drying-wetting paths was made, using the osmotic technics and saturated salts solutions to control suction. In The second part, using a new osmotic oedometer, the coupled behavior as a function of applied stresses and suction was investigated. It was shown that soil compressibility parameters was influenced by suction variations that an increase in suction is followed by a decrease in the virgin compression slope. On the other hand, the unloading slope of the oedometric curves was not obviously affected by the imposed suction. The decrease in suction strongly influences the apparent preconsolidation pressure, ie during swelling of the samples after wetting.

산록경사지 토양인 안룡통의 분류 및 생성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Anryong Series Distributed on Mountain Foot Slope)

  • 송관철;현병근;손연규;장용선;박찬원;장병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32
    • /
    • 2010
  • Soil Taxonomy 분류체계 변화에 대응하여 산록경사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안룡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안룡통 대표단명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안룡통은 0~22 cm 깊이에서 ochric 감식표층을 보유하고, 22~120 cm 깊이에서 점토피막과 같은 점토 이동의 근거를 보유하는 arfillic층을 보유하고있다. 그러나 기준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양이온 합)가 32.3%로 35% 미만이므로 Alfisols이 아나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안룡통은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Udults로 분류할 수 있으며, Hapludults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Typic 아군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므로 Typic Hapludults로 분류할 수 있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식양질이고, 토양온도상이 mesic 온도상이기 때문에 안룡통은 Fine loamy, mesic family of Ultic Hapludalfs가 아니라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안룡통은 산록경사지에 분포하고 있으면서도 안정한 지형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새로운 붕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을 받았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는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 또한 Alfisols 과 Ulrisols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기준인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호서 Alfisols이 아니라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발달하였다.

연약점토지반에 적용한 우산형 마이크로파일의 지진시 수평거동 특성 (Horizont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Umbrella-Type Micropile Applied in Soft Clay Ground subjected to Seismic Motion)

  • 김수봉;손수원;김진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87-695
    • /
    • 2020
  •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최종용 투고요령입니다. 마이크로파일은 기존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면활동 억제, 옹벽의 전단키 등 다양한 지반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기존 마이크로파일 공법은 연직력에 대해서는 PHC파일이나 강관파일에 비교하여 어느 정도 지지력을 확보하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파일 직경으로 인해 수평력에 대해서는 연직력에 비해 현저히 낮은 지지력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내진성능 향상에 우수한 우산형 마이크로파일 공법을 개발하여 기존시설물 내 국한된 협소한 장소에서 시설물의 및 지반 교란영역을 최소화하면서 경제적으로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마이크 로파일의 수평지지력이 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항과 연직말뚝을 일체형으로 제작한 우산형 마이크로파일에 대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연약점토 지반에서의 지진시 수평거동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연약점토지반에서 우산형 마이크로파일은 수평변위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경사말뚝의 근입심도가 15m이상일 경우에 수평변위 저감 효과가 뚜렷했다. 마이크로파일의 근입심도와 수평변위 억제효과가 비례하였다. 이에 우산형 마이크로파일이 연약점토 지반에서 지진시 수평변위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점토를 포함한 세립분 함유량이 실트의 액상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nes Content Including Clay on Liquefaction of Silt)

  • 허성훈;이성철;김태형;김병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8호
    • /
    • pp.5-1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점토를 포함한 세립분의 함유량이 50% 이상인 두 실트(No.1 시료는 실트 44.1% 점토 8.8%, No.2 시료는 실트 57.2% 점토 12.4%)의 액상화거동을 반복삼축압축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세립분 함유량이 50% 이상인 시료에서, 세립분 함유량의 증가는 시료의 액상화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료에서 세립분 함유량이 증가하면 적은 반복재하 횟수에서 시료는 액상화 상태에 도달한다. 과잉간극수압비와 반복횟수의 관계에서 과잉간극수압비 증가 기울기는 세립분이 증가하는 경우 더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두 실트 시료의 액상화 거동을 세립분에 포함된 점토의 함유량으로 분석해 본 결과, 점토의 함유량이 높은 No.2 실트에서 액상화가 더 쉽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세립분에 포함된 점토가 실트의 액상화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보여준다.

강우 시 석회암 풍화토 사면의 안정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lope Analysis of Weathered Limestone Soils during Rainfalls)

  • 김종렬;강승구;강희복;박승균;박철원
    • 지질공학
    • /
    • 제15권1호
    • /
    • pp.9-17
    • /
    • 2005
  • 본 연구는 전라남도 장성군 일대의 석회암지대에서 강우로 인해 파괴된 절개사면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적ㆍ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강우로 인한 사면 안정 해석을 통해 사면구배의 변화에 따른 안전율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지역 석회암 풍화토는 석영, 정장석, 깁사이트, 침철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중은 2.73, 통일분류상 SC에 해당되며 모암에서 풍화가 진행되면서 칼슘성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투수계 수는 2.56×10/sup -4/ cm/ sec 로서 실트 성 점토의 투수계수와 비슷한 값을 보였고 전단시험결과 불포화토에서 포화토로 변할수록 점착력은 3.0 t/㎡에서 0.72 t/㎡로 현저하게 줄어들며 내부마찰각 Φ 값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우로 인한 사면안정 해석시 강우강도를 고려한 침투심도를 구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사면안정해석결과 침투심도가 클수록 사면의 안전율은 낮아져서 불안정하게 되고 침윤선을 고려한 절토사면의 최소안전율 1.5와 비교 시 강우를 고려한 석회암 풍화토의 절토사면 구배는 1 : 1.2이상 되어야 안전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포화토에서 포화토로 변할수록 점착력의 감소는 사면의 안전율감소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시간경과에 따른 임도 절토비탈면의 식생피복도 변화 (Changing of Vegetation Coverage through Elapsed Years on Cutting Slope in Forest Roads)

  • 전권석;마호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2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the change of vegetation coverage by elapsed years on the cut slope of forest road in Jinju-si. The results obtained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lant coverage on the cut slope of forest road was decreased hastily in first and second year after seeding. The plant coverage on the cut slope of forest road was increased as growth of seed-sprayed from third year. But the plants were began to competition with between sprayed seeds and invaded plants from third to fifth year after seed-spray. The numbers of invading plants were gradually increased as 581 individuals from sixth year after seed-spray. The cut slopes of the forest roads turned to a good site condition for growing of invasion plants. And also the total coverage on cut slope of forest roads by invading of surrounding plants was increased more. It showed that plant invasion on cut-slopes of forest roads would be mostly influenced by surrounding plants. The number of surrounding plants on the cut-slopes of forest roads was 59 species, and the number of invading plants showed 65 species. The invading species were high in order of Boehmeria tricuspis, Oplismens undulatifoliu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Erechtites hieracifolia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ain factors affecting the coverage of vegetation on the cut-slopes of forest road showed in order of elapsed years, gravel contents(30~50%), middle, sandy loam, sandy clay-loam, soil hardness, aspect(NS), concave(凹) type and gravel contents(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