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ication of photograph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5초

사진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민주화운동 사진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tructing of Photographic Digital Archive : Focusing on the Photographs of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 김명훈;현종철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3호
    • /
    • pp.139-16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민주화운동 관련 사진들을 기반으로 한 사진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사진 디지털아카이브를 디지털 객체를 대상으로 수집, 분류, 기술, 저장, 활용시키는 통합적 시스템으로 규정한 후, 사진의 고유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의 도출 및 분류체계 수립 사례를 제시하였다. 특히 사진 디지털아카이브의 분류체계 수립 시, 기존의 기본분류체계 외에 다양한 검색어를 활용한 다원분류체계를 설계함으로써, 문자화된 의미전달이 부재한 사진들 간의 통합성 및 상호연계성을 창출시켜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를 이용한 자동사진분류 (Automatic Photograph Classification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 홍영진;김성운;유명현;이영범;김상룡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92-698
    • /
    • 2006
  • 점점 더 많은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폰이 고해상도 카메라가 장착되고 대용량의 저장공간이 제공되면서 사용자들의 사진촬영 빈도가 증대하고 있다. 조만간 휴대폰의 저장된 사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브라우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시기가 올 것이다. 본 논문은 휴대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혹은 카메라가 장착되어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개인사진을 지리적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기존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시간의 근접성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자동 분류하는 시스템과는 달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위치에 따라 비순차적으로 자동 분류한다. 촬영위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해 밀도기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체 사진을 대분류하고 기존의 자동사진 분류방식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일상사진과 비일상사진을 분류하고, 대분류된 사진을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소분류 함으로서 자동 사진분류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 PDF

현대미술에 나타난 사진의 활용과 그 유형학적 분류 (Application and Its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Photographs Shown in Contemporary Art)

  • 이경률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193-239
    • /
    • 2013
  • A photograph, which was applied to contemporary ar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whole of the multiplied and diversified contemporary arts today. The application of photos, which were shown in contemporary art following the 1950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role and function of a photo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work. However, this classification is shown a little ambiguously. That is because photos of being utilized by artists are indicated very diversely depending on their artistic strategy and situation. As the first type, a few painters utilize a photo as mirror of reality in order to materialize a challenging and revolutionary idea with going against traditional picture in their pictorial practice. As the second classification, especially American painters utilize a photo as material component of forming their picture like photo-montage or collage. The combined application of this medium is first doing genre de-construction and hybridization of post-modernism in the 1980s while ultimately aiming at social criticism or political satire. The third type implies particularly a case that avant-garde artists utilize a photo as evidence of a work. In this case, a photo is employed as evidence of a work, which disappears in the temporal space essentially like body art, land art, and performance. Also, as the fourth type is a case of utilizing a photo for artistic concept of a work, not pictorial practice of picture, it is utilized often as important artistic strategy of conceptual artists. The final type of utilizing photo is a case of applying photo as formative tool on behalf of dye-stuffs or crayon in order to record a section of reality, which always continues regardless of event or meaning any more, in the traditional picture. In this case, a work is indicated as a photo of having a form of picture, namely, as Forme-tableau. The main subject is indicated there as a daily case of being repeated always the extremely common and revived theme.

지형형태와 변화를 반영한 대조차 해빈 분류: 태안지역 해빈을 사례로(2017-2018) (Macrotidal Beach Classifications Considering Beach Profiles and Changes: The Case of Beaches in Taean Region (2017-2018))

  • 김찬웅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65
    • /
    • 2019
  •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Taean region to seek a more detailed macrotidal beach classification than existing beach classification models (Masselink and Short, 1993). Seepage and ridge & runnel were used for classification. On 20 beaches, 68 transects were surveyed 5 times using VRS-GPS. Cross-section area from the transect profiles, mean grain size from sediment analysis, significant wave height from Swan-wave modeling and beach embaymentization from aerial photograph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ypes. The transect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in Taean region; Type 1: low tidal terrace, Type 2: low tidal terrace & ridge, Type 3: dissipative, Type 4: seasonal ridge, and Type 5: ridge & runnel. Generally, seepage was related to coarse sediment size and ridge & runnel was related to high significant wave height. Each typ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here was a tendency between the types. The low tidal terrace type had coarse sediments, because this type is excluded from the littoral cell. In this study, the ridge and runnel type could be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because the study area is limited only to the macrotidal environment in Taean region.

유아의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 외모와 언어 단서에 따른 내집단 범주화 및 선호도 (Children's Awareness of Racial Features, Racial In-Group Classification and Racial Preference According to Visual and Language Features)

  • 이정민;이강이
    • 아동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5-10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racial features, racial in-group classification and preference by Korean children.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89 children aged 3-5 years. The children performed photograph description and choice task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lde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younger children to use racial feature and less likely to use general physical feature to describe the stimuli. Second, children tended to select the South-Asian person speaking in Korean language as a Korean, rather than the Korean person speaking in English. Third, children tended to select the person of Korean appearance speaking in English as a playmate. The result revealed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racial awareness. Furthermore the correspondence of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children's in-group classification whereas the correspondence of appearance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children's preference.

IKONOS 영상자료를 이용한 농업지역 토지피복 분류기준 설정 (Standardizing Agriculture-related Land Cover Classification Scheme using IKONOS Satellite Imagery)

  • 홍성민;정인균;김성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3-259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공간해상도의 위성영상(Landsat + ETM, KOMPSAT-1 EOC, ASTER VNIR, IKONOS 전정색 및 다중분광)을 비교하여 각 영상에서의 농업관련 정보의 분류기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농업관련 정보는 식별이 가능한 농업지역, 작물형태, 농업시설과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국토지리정보원과 환경부의 분류기준과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농업관련정보의 기준을 IKONOS 영상에 적용하여 농업관련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IKONOS 영상에 대하여 분석된 결과는 KOMPSAT-2의 농업분야 활용에 적용될 것이다.

훈련지역의 취득방법 및 규모에 따른 JERS-1위성영상의 토지피복분류 정확도 평가 (Estimation of Classification Accuracy of JERS-1 Satellite Imagery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Method and Size of Training Reference Data)

  • 하성룡;경천구;박상영;박대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7-37
    • /
    • 2002
  • 정량적인 토지피복도의 확보는 유역에 분포하는 비점오염원의 규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과정에 있어서, 훈련지역의 취득방법 및 규모가 분류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JERS-1 OPS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평가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지역 중에서 0.3%, 0.5%, 1.0%를 훈련지역으로 추출함에 있어서 두 가지 기법을 제안하였다. 첫번째 기법은 해당지역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춘 연구자가 훈련지역을 추출하였으며, 두번째 기법은 기하학적 보정을 행한 항공사진과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훈련지역을 추출하였다. 영상의 토지피복 분류는 최대우도분류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자에 의한 훈련지역 취득기법보다 항공사진과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훈련지역을 추출하여 최대우도분류법을 적용할 경우 전체정확도가 최대 18% 정도 향상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토지이용을 가진 지형에서 JERS-1 영상을 이용하여 95%의 신뢰도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훈련지역을 전체지역의 약 1% 이상 추출하여야 만족할 만한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EXIF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웹 기반 사진 자동분류 (Web-based Photo Classification using EXIF Metadata)

  • 최홍선;이강희;임광혁;김수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301-30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웹 서버에 사진을 등록(upload)하면 서버에서 자동으로 사진의 메타데이터(EXIF)의 GPS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이된 정보와 비교하여 사진이 촬영된 장소를 표시하고, 좌표 값을 활용하여 구글 지도(google map)과 연계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진등록으로 사용되는 서버 웹페이지로는 php를 사용하여 그림을 등록하고, exif_read_data함수를 사용하여 메타데이터에 접근하고 메타데이터 안의 GPS의 값을 추출하여 정의된 분류표에 의해 사진을 분류하고, 구글지도와 연계하여 촬영된 위치를 지도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Landsat TM Data와 흑백적외선(黑白赤外線)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한 임상구분(林相區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Classification and Mapping of Forest Type Using Landsat TM Data and B/W Infrared Aerial Photograph)

  • 김갑덕;이승호;김철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3호
    • /
    • pp.263-273
    • /
    • 1989
  • 우리나라 국토(國土)의 65%를 차지하는 삼림(森林)은 국민경제적(國民經濟的) 측면(側面)과 국토보전적(國土保全的) 측면(側面)에서 모두 중요하다. 따라서 삼림(森林)의 내용(內容)과 현황(現況)을 정확히 조사하여 평가(評價)하는 일은 큰 의미를 가지며, 그 목적(目的)을 위해서 항공사진(航空寫眞)이나 원격탐사기술(遠隔探査技術)이 효과적으로 이용(利用)된다. Landsat 4호(號)와 5호(號)에 탑재(搭載)되어 있는 TM은 지상해상능력(地上解像能力)이 뛰어나고 넓은 범위의 파장영역(波長領域)을 해석(解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Landsat-5에서 수신(受信)한 TM data를 사용하여 경상북도(慶尙北道)의 한 지역(地域)을 대상으로 하여 토지(土地)의 이용형태(利用形態)와 임상구분(林相區分)을 실시(實施)하였고, 흑백적외선(黑白赤外線) 항공사진(航空寫眞)을 판독(判讀)하여 제작(製作)한 임상도(林相圖)와 분류(分類) 결과(結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結果) TM data는 전반적인 토지이용분류(土地利用分類)의 측면(側面)에서 효과가 높았으며, 임상구분(林相區分)은 항공사진(航空寫眞)을 판독(判讀) 결과(結果)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었다. 복잡하고 변화(變化)가 심한 삼림지역(森林地域)의 계절(季節)에 따른 반사특성(反射特性)을 이해하고, 임상간(林相間) 분리도(分離度)를 크게 하는 band의 선정(選定)과 조합(調合) 방법(方法)이 앞으로 해결해야 한 문제점(問題點)으로 제기되었다.

  • PDF

새로운 욕창분류와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교육이 간호사의 욕창 지식 및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about New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Pressure Ulcer among Nurses)

  • 박승미;차선경;김철규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6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ducation about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pressure ulcer among nurses. Method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41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A 90 minutes lecture was delivered. The self-reported-questionnaire 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and photograph test for knowledge were done at pre- and post-education. Results: After education,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ore of knowledge measured by questionnaire (mean 1.76, p<.001), in the score of knowledge measured by photographs (mean 2.00, p<.001) and in the score of self-efficacy (mean 5.17, p<.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pressure ulcer were improved by the education about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This program may be used for enhancing nurses' abilities of caring pressure ulcer.